본문으로 이동

순천 김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천김씨에서 넘어옴)

순천 김씨
順天金氏
나라한국
관향전라남도 순천시
시조김총(金摠)
원시조김알지(金閼智)
중시조김윤인(金允仁)
집성촌충청남도 천안시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담양군
경기도 고양시
주요 인물김승주, 김종서, 김승규, 김여물, 김류, 김경징, 김진표, 김채용, 김종철, 김종희, 김종식, 김승연, 김호연, 김동성, 김동관
인구(2015년)62,916명

순천 김씨(順天金氏)는 전라남도 순천시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편집]

시조 김총(金摠)은 신라 시대 김알지의 후예로, 후백제에서 인가별감(引駕別監)을 지내었고, 견훤 후백제 초대 군주로부터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졌다. 평양(平陽)은 순천(順天)의 고호이다.[1]

중시조는 역시 시조 김총(金摠)의 후손(후예)이자 전객서령 등을 지낸 김윤인(金允仁)으로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에 첵록된 김승주(金承霔)의 증조부이다.

김윤인의 증손 김승주(金承霔)는 검교(檢校) 좌의정(左議政)을 지냈으며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에 봉해지고 양경공(襄景公)의 시호를 받았다.

김승주(金承霔)의 5세손 김순고(金舜皐)는 무과에 급제하고 지중추(知中樞)를 지네고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졌다.

김순고(金舜皐)의 손자 김광화(金光譁)는 문과에 급제하고 응교(應敎)를 역임하였으며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승주(金承霔)의 6세손 김여물(金汝岉)은 문과에 급제하고 의주목사(義州牧使)를 지냈다.

김여물(金汝岉)의 아들 김류(金瑬)는 문과에 급제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역임하고 공신(功臣)으로 승평부원군(昇平府院君)에 봉해지고 문충공(文忠公)의 시호를 받았으며, 인조조(仁祖朝)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분파[편집]

  • 파조 지평(持平) 김태영(金台泳)
    • 손자 김종서(金宗瑞) 문과 급제 좌의정 역임, 시호 충익공(忠翼公), 서원 배향
  • 파조 판전교사사 김천호(金天皓)
  • 파조 대제학 김지선(金之宣)
  • 파조 직장 김제(金濟)
  • 파명 : 전서공파(典書公派), 지평공파(持平公派), 묵재공파(黙齋公派), 절재공파(節齋公派), 전직공파(殿直公派), 영주공파(寧州公派), 사예공파(司藝公派), 양경공파(襄景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판사공파(判事公派), 익찬공파(翊贊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 군수공파(郡守公派), 횡성공파(橫城公派), 상의원정공파(尙衣院正公派)

인물[편집]

정재계[편집]

성명 직업 교양 서훈 직위 국가
김승주(金承霔) 정치인 무과급제 시호영전 조선왕실 좌의정[2] 조선의 기 조선
김종서(金宗瑞) 정치인 문과급제 시호영전 조선왕실 좌의정[3] 조선의 기 조선
김진표(金震標) 정치인 문과급제 시호영전 조선왕실 공조참의[4] 조선의 기 조선
김종철(金鍾哲) 정치인 메이지대학교 상학 학사 미보유 제4공화국 국회의원[5]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종희(金鍾喜) 정치인 (근대)원산상업학교 학사 금탑산업훈장 한화그룹 회장[6]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종식(金鍾植) 정치인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학사 미보유 제6공화국 국회의원[7]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승연(金升淵) 기업인 드폴 대학교 국제정치학 석사 그리스최고훈장 한화그룹 회장[8]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호연(金豪淵) 정치인 히토쓰바시 대학 경제학 석사 프랑스최고훈장 제6공화국 국회의원[9]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동성(金東聖) 정치인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미보유 제6공화국 국회의원[10]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동관(金東官) 기업인 하버드 대학교 정치학 학사 미보유 한화그룹 부회장[1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동원(金東原) 기업인 예일 대학교 동아시아학 학사 미보유 한화생명 사장[12]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동선(金東善) 기업인 다트머스 대학교 정치학 학사 마장마술금메달 한화갤러리아 부사장[13]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항렬자[편집]

인구[편집]

  • 1985년 11,092가구 45,622명
  • 2000년 16,178가구 52,258명
  • 2015년 62,916명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출처 〈증보문헌비고〉, 〈조선씨족통보〉
  2. “김승주(金承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80년 4월 20일. 
  3. “김종서 (金宗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80년 5월 30일. 
  4. “김진표 (金震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81년 7월 15일. 
  5. “김종철 (金鍾哲) - 대한민국헌정회 - 대한민국 역사”. 대한민국헌정회. 1986년 11월 4일. 
  6. “대한민국 기업 명예의 전당 헌액 기념패”. 한국경영학회. 2018년 12월 7일. 
  7. “김종식 (金鍾植) - 대한민국헌정회 - 대한민국 역사”. 대한민국헌정회. 2009년 5월 18일. 
  8. “[Who Is ?]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비니지스포스트. 2024년 1월 5일. 
  9. “김호연(金豪淵) - 대한민국헌정회 - 대한민국 역사”. 대한민국헌정회. 2024년 5월 20일. 
  10. “김동성(金東聖) - 대한민국헌정회 - 대한민국 역사”. 대한민국헌정회. 2024년 6월 10일. 
  11. “[Who Is ?] 김동관 한화 및 한화솔루션 대표이사 부회장”. 비니지스포스트. 2023년 7월 6일. 
  12. “한화생명 4년 만에 다시 부회장 체제로, 오너3세 김동원 역할도 변화 전망”. 비니지스포스트. 2023년 9월 4일. 
  13. “김승연 3남 김동선 승진 속도에서 두 형 추월, 한화 유통사 승계 가속화 전망”. 비니지스포스트. 2023년 11월 13일.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