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하계 패럴림픽
2000년 하계 패럴림픽 | |
---|---|
대회 | 제11회 하계 패럴림픽 경기 대회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 도시 | 시드니 |
모토 | 성과, 힘, 자부심 영어: Performance, Power and Pride |
참가국 | 123개국 |
참가 선수 | 3,846명 (남자: 2,867명, 여자: 979명) |
경기 종목 | 20개 종목, 551개 세부 종목 |
개막식 | 2000년 10월 18일 |
폐막식 | 2000년 10월 29일 |
개회 선언 | 윌리엄 패트릭 딘 총독 |
성화 점화 | 루이스 서버지 |
주경기장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하계 패럴림픽(영어: 2000 Summer Paralympics, XI Paralympic Games)은 2000년 10월 18일부터 10월 29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개최된 하계 패럴림픽이다.
참가국[편집]
2000년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한 국가는 총 123개국이다. 바베이도스, 베냉, 캄보디아, 엘살바도르, 라오스, 레바논,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리타니, 몽골, 팔레스타인, 르완다, 사모아, 통가, 투르크메니스탄, 바누아투, 베트남 18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하였다. 이외에 당시 유엔의 지원을 통해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을 준비하고 있던 동티모르 선수단이 패럴림픽 독립 선수단 형식을 띤 개인 선수단 자격으로 참가했다.
|
종목[편집]
메달 집계[편집]
순위 | 국가 | ![]() |
![]() |
![]() |
합계 |
---|---|---|---|---|---|
1 | ![]() |
63 | 39 | 47 | 149 |
2 | ![]() |
41 | 43 | 47 | 131 |
3 | ![]() |
38 | 33 | 25 | 96 |
4 | ![]() |
38 | 30 | 38 | 106 |
5 | ![]() |
36 | 39 | 34 | 109 |
6 | ![]() |
34 | 22 | 17 | 73 |
7 | ![]() |
30 | 28 | 28 | 86 |
8 | ![]() |
19 | 22 | 12 | 53 |
9 | ![]() |
18 | 7 | 7 | 32 |
10 | ![]() |
16 | 41 | 38 | 95 |
사건 및 논란[편집]
2000년 하계 패럴림픽 지적 장애 농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던 스페인 농구 대표팀 선수 12명 가운데 10명이 지적 장애가 없는 부적격 선수로 밝혀졌다.[1] 이 사건으로 인해 스페인은 금메달을 박탈당했으며 지적 장애인 선수의 패럴림픽 참가가 한동안 금지되었다.[2][3] 지적 장애인 선수의 패럴림픽 참가 금지 조치는 2012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폐지되었다.[4]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스포츠 클릭/ 스페인 선수단, 金(금)욕심에 정신장애 행세”. 경향신문. 2000년 12월 16일.
- ↑ “스페인, 장애인올림픽에 정상인 출전 의혹”. 매일경제. 2000년 11월 25일.
- ↑ “가짜 피, 마라톤 나눠뛰기, 나이 속이기···'역대급' 속임수들”. 스포츠경향. 2015년 6월 19일.
- ↑ “<패럴림픽> 지적장애 종목 패럴림픽에 '컴백'”. 연합뉴스. 2012년 8월 25일.
하계 패럴림픽 | ||
이전 대회 | 2000년 하계 패럴림픽 시드니 2000 |
다음 대회 |
애틀랜타 1996 | 아테네 2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