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원어 명칭 | 韓國情報通信振興協會 Korea Association for ICT Promotion |
---|---|
결성 | 1987년 4월 |
형태 | 협회 |
목적 | 회원의 협력과 유대강화를 통하여 방송통신의 발전 및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1] |
본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11 |
회장 | 박정호[2] |
웹사이트 | https://www.kait.or.kr/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韓國情報通信振興協會, Korea Association for ICT Promotion, KAIT)는 회원의 협력과 유대강화를 통하여 방송통신의 발전 및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법정 사단법인이며,[3][4][5][6]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11 (역삼동 831-44)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사업[편집]
- 방송통신 신용정보 공동관리
-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 분실 단말기 집중관리
- 유료방송미환급액정보조회서비스
- 정보통신 자격검정
-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
- 리눅스마스터
- 인터넷정보관리사
- 모바일앱개발전문가(MAP)
- 디지털영상편집
- 검색광고마케터
- 파이썬마스터
- 해외진출지원 및 협력 네트워크
- ICT 정보제공
- 이용자보호센터 운영
-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
- IMEI통합관리센터운영
- 글로벌 창업지원센터
- 정보통신ISAC
- 통신시장 자율정화 협력사업
- 한국IT리더스포럼, 빅데이터포럼 사무국 운영
연혁[편집]
- 1987년 4월 정보통신진흥협회 창립총회. 초대 구자두 회장 취임 ((주)금성사)
- 1988년 2월 제2대 김지주 회장 취임 ((주)금성사)
- 1987년 12월 월간 ”정보화사회” 창간
- 1989년 2월 제3대 한태희 회장 취임 ((주)금성사)
- 1991년 2월 제4대 정용문 회장 취임 (삼성전자(주))
- 1992년 2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로 법인명 변경
- 1992년 7월 정보통신산업DB구축 및 서비스 개시
- 1994년 2월 제5대 정장호 회장 취임 (금성정보통신(주))
- 1994년 3월 “EC협의회” 발족
- 1994년 8월 “멀티미디어협의회” 발족
- 1994년 12월 "(재)한국데이터베이스 진흥센터" 설립추진위원회 구성
- 1995년 2월 제6대 남궁 석 회장 취임 (삼성전자(주))
- 1997년 2월 제7대 남궁 석 회장 취임 (삼성SDS(주)) 및 “인터넷인증시험위원회” 구성
- 1997년 4월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분리 독립
- 1998년 2월 제8대 정장호 회장 취임 (LG텔레콤(주))
- 1998년 3월 “부가통신사업자 위원회” 발족
- 1998년 4월 “별정통신사업자위원회” 발족
- 1998년 7월 정보통신 신용정보 공동관리시스템 개통
- 1999년 4월 “분실도난단말기 집중관리센터” 개원
- 1999년 10월 “한국리눅스협의회” 발족
- 2000년 2월 제9대 정장호 회장 취임 ((주)LG정보통신)
- 2000년 3월 "한국ASP산업컨소시엄" 창립
- 2000년 4월 "부설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개원
- 2000년 5월 "인터넷사이트안전마크 위원회" 및 "인터넷정보가전산업협의회" 발족
- 2000년 9월 "인터넷사이트 방문통계 인증위원회" 발족
- 2001년 2월 "음성정보처리산업협의회" 발족
- 2001년 4월 "남북IT민간협의회" 발족
- 2001년 6월 "무선인터넷산업발전협의회" 사무국 설치
- 2001년 7월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로 명칭 변경
- 2002년 5월 "홈네크워크협의회" 발족
- 2003년 1월 "LBS산업협의회" 발족
- 2003년 6월 "한국IT리더스포럼" 발족
- 2003년 8월 "디지털 홈 포럼" 발족 및 "한국 로봇 공학회" 발족
- 2005년 2월 제11대 이기태 회장 취임 (삼성전자(주))
- 2005년 3월 FTTH 산업협의회 발족 및 IHD,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지정 (노동부)
- 2005년 4월 IT통계정보센터, IT통계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온라인조사시스템(e-Survey) 개발
- 2005년 5월 명의도용방지서비스(M-Safer) 개통
- 2005년 6월 IHD, 지역공개 SW 기술지원운영 사업 실시
- 2006년 1월 LBS 기술 및 산업 현황 연구보고서 발간
- 2006년 2월 IHD, "개인정보관리자 전문교육 과정" 신설
- 2006년 9월 정보화사회 e-book서비스 개시 및 IHD, 국가공인 공무원 NIT자격검정 인수운영
- 2006년 10월 민간협의체 "기업정보화컨소시엄" 출범 및 IHD, 온라인 교육사이트 e-campus 구축
- 2007년 3월 통신민원조정센터 설립 및 업무개시
- 2008년 6월 제12대 김신배 회장 선임 ((주)SK Telecom)
- 2009년 8월 부설「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심사센터」개원
- 2010년 1월 한국양방향방송콘텐츠협의회 출범
- 2010년 3월 「방송통신이용자보호센터」개소
- 2010년 9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로 명칭 변경
- 2013년 9월 글로벌 창업지원센터 개관
- 2014년 2월 휴대전화 명의변경통보서비스 개시
- 2014년 3월 일・학습 병행제 사업 전담 조직 설치
- 2014년 5월 허위과장 광고 신고센터 개소
- 2014년 6월 한국 빅데이터연합회 출범식
- 2015년 2월 장동현 제 16대 회장 취임
- 2015년 5월 알뜰폰 온라인 허브사이트 구축 및 운영 개시
- 2015년 10월 미국 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ITI)와 빅데이터 공동연구 협력 Joint Resolution 체결
- 2015년 12월 정용환 제8대 상근부회장 취임
- 2017년 2월 박정호 제 17, 18대 회장 취임
- 2017년 3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독립청사로 이전(강남구 역삼로 111)
- 2019년 3월 양환정 제9대 상근부회장 취임
- 2022년 2월 유영상 제 19대 회장 취임
조직[편집]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장[편집]
- 이사회
- 감사
부회장[편집]
- 검사역
사무국[편집]
- 기획조정팀
- 경영지원팀
- 재무회계팀
- 대외협력팀
- 정보기술지원팀
통신사업본부[편집]
- 통신정보팀
- 모바일사업팀
- 통신서비스팀
ICT기반본부[편집]
- 통계정보팀
- 자격검정팀
- 데이터사업기획실
- 데이터전략팀
- 데이터사업팀
통신시장협력본부[편집]
- 시장정보팀
- 유통망기반팀
- 시장협력팀
- 공정경쟁지원팀
이용자보호센터[편집]
- 유해정보방지팀
- 이용자권익실
- 권익보호팀
- 분쟁조정팀
정보통신인증센터[편집]
- 네트워크인증팀
- 정보보호인증심사팀
- 정보보호사업팀
본투글로벌센터(B2G)[편집]
- 사업지원팀
- 발굴육성팀
- 컨설팅팀
- 시장개척팀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설립목적 및 연혁”.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21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0일에 확인함.
-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회장인사말”.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21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2월 20일에 확인함.
-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제9대 양환정 부회장 취임《전자신문》2019년 3월 5일
-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20 빅콘테스트' 개최...《전자신문》2020년 7월 20일
- ↑ KAIT-이통3사 온라인 자율정화 협의체 운영 시작《전자신문》2020년 6월 18일
- ↑ 자격종목 관련 취업정보 안내서비스 제공《디지털타임스》2020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