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시들해봇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구성군 - 구성군 (조선) 문서로 링크 바꿈
Abend (토론 | 기여)
반복 내용 정리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소한당}}
{{다른 뜻|소한당}}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다. [[신승선]]과 [[중모현주]]의 아들로 [[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처남이자 [[조선 중종|중종]]의 장인이며, 어머니 [[중모현주]]는 [[세종]]의 손녀이자 [[임영대군]]의 딸이다. 따라서 왕실과는 이중 인척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 외에도 그의 부인은 [[권남]]의 여섯째 딸로 [[남이]]의 처제가 된다. [[1506년]] [[중종반정]] 때 도의상 반정에 참여하기를 거절했다가 살해되었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 호는 소한당(所閒堂)이며, 시호는 신도(信度)이다.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다. [[신승선]]과 [[중모현주]]의 아들로 [[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처남이자 [[조선 중종|중종]]의 장인이며, [[조선 세종|세종]]의 외증손이다. 따라서 왕실과는 이중 인척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 외에도 그의 부인은 [[권람]]의 여섯째 딸로 [[남이]]의 처제가 된다. [[1506년]] [[중종반정]] 때 도의상 반정에 참여하기를 거절했다가 살해되었다. 본관은 [[거창 신씨|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 호는 소한당(所閒堂)이며, 시호는 신도(信度)이다.


==생애==
==생애==
[[신승선]]의 아들로 그의 어머니 [[중모현주]]는 [[임영대군]]의 딸이자 [[세종대왕]]의 손녀딸이었다. [[조선 성종]] 때 [[음서]]를 통해 [[장령]]이 되어 조정에 입문, 누이동생이 연산군의 비가 된 뒤로 [[우승지]], [[도승지]], [[이조 (행정기관)|이조]] [[판서]], [[우찬성]], [[우의정]], [[좌의정]]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또한 진성대군([[조선 중종|중종]])이 그의 사위가 되었다.
[[신승선]]의 아들로 어머니 [[중모현주]]는 [[임영대군]]의 딸이자 [[세종대왕]]의 손녀딸이었다. [[조선 성종|성종]] 때 [[음서]]를 통해 [[장령]]이 되어 조정에 입문하였고, 누이동생이 연산군의 비가 된 뒤로 [[우승지]], [[도승지]], [[이조 (행정기관)|이조]] [[판서]], [[우찬성]], [[우의정]], [[좌의정]]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또한 진성대군([[조선 중종|중종]])이 그의 사위가 되었다.
[[박원종]], [[성희안]] 등은 그에게 꾸준히 사람을 보내 [[조선 연산군|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조선 중종|진성대군]]을 추대할 것을 권고했으나 신수근은 자신의 사위를 위해 누이를 배신할 수 없다며 거절했다. [[1506년]] [[음력 9월 2일]] [[성희안]], [[박원종]] 등이 일으킨 [[중종반정]] 때 박원종 일파가 보낸 이심, [[신윤무]] 등에게 수각교에서 격살(擊殺)되었다.


1739년(영조 15년) 음력 3월 28일에야 김태남 등의 건의로 익창부원군으로 추증되었다.<ref>《영조실록》49권, 15년(1739년) 3월 30일 1번째 기사</ref>
[[박원종]], [[성희안]] 등은 그에게 꾸준히 사람을 보내 [[조선 연산군|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을 추대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자신의 사위를 위해 누이를 배신할수 없다며 거절한다. [[1506년]] [[음력 9월 2일]] [[성희안]], [[박원종]] 등이 일으킨 [[중종반정]] 때 사위인 [[진성대군]]을 옹립하자는 [[박원종]]의 제안을 거절하자 박원종 일파가 보낸 이심, [[신윤무]] 등에게 수각교에서 격살(擊殺)되었다.

[[조선 영조|영조]] 때인 1739년(영조 15년) 음력 3월 28일에야 김태남 등의 건의로 익창부원군으로 복위되었다.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5번째 줄: 14번째 줄:


== 가족 관계 ==
== 가족 관계 ==
[[조선 중종|중종]]의 장인이며, [[조선 연산군|연산군]]에게는 처남이 된다. 또 [[조선 세종|세종대왕]]에게는 외증손자가 되고, 사돈인 [[조선 성종|성종]]은 그의 외재종형이 되며, [[조선 성종|성종]]은 이들 부자와 사돈 관계를 맺게 된다.
[[조선 중종|중종]]의 장인이며, [[조선 연산군|연산군]] 처남이다. 또 [[조선 세종|세종대왕]] 외증손자로, 사돈인 [[조선 성종|성종]]은 그의 외재종형이 된다. 성종은 아들들을 신수근의 누이와 딸에게 각각 장가들게 해 이중으로 사돈 관계를 맺었다.


* 아버지 : [[신승선]](1436년 - 1502년)
* 아버지 : [[신승선]](1436년 - 1502년)
* 어머니 : [[중모현주]] 전주이씨, [[임영대군]]의 딸, [[조선 세종|세종]]의 손녀, [[조선 세조|세조]]의 조카
* 어머니 : [[중모현주]] 전주 이씨([[임영대군]]의 딸, [[조선 세종|세종]]의 손녀, [[조선 세조|세조]]의 조카)
** 여동생: [[폐비 신씨]]([[조선 연산군|연산군]]의 비)
** 여동생: [[폐비 신씨]]([[조선 연산군|연산군]]의 비)
** 매제 : 조선 10대 국왕 [[조선 연산군|연산군]]
** 매제 : 조선 10대 국왕 [[조선 연산군|연산군]]
* 부인 : 영가부부인 안동권씨, [[권람]]의 여섯째 딸
* 부인 : 영가부부인 안동 권씨, [[권람]]의 여섯째 딸
* 부인 : 청원부부인 청주한씨, [[한충인]](인수대비의 사촌)의 딸
* 부인 : 청원부부인 청주 한씨, [[한충인]](인수대비의 사촌)의 딸
** 딸: [[단경왕후]]([[1487년]] -[[1557년]])([[조선 중종|중종]]의 비)
** 딸: [[단경왕후]]([[조선 중종|중종]]의 비)
** 사위 : 조선 11대 국왕 [[조선 중종|중종]]
** 사위 : 조선 11대 국왕 [[조선 중종|중종]]
* 사돈 : 조선 9대 국왕 [[조선 성종|성종]]
* 사돈 : 조선 9대 국왕 [[조선 성종|성종]]
* 장인 : [[권람]], [[한충인]]
* 장인 : [[권람]], [[한충인]]
** 동서 : [[남이]], [[권람]]의 사위, [[조선 태종|태종]]의 외손자, [[조선 세조|세조]]의 외사촌
** 동서 : [[남이]]([[조선 태종|태종]]의 외증손, [[조선 세조|세조]]의 내종질)

* 외증조부 : 조선 4대 국왕 [[조선 세종|세종]]
* 외증조부 : 조선 4대 국왕 [[조선 세종|세종]]
** 외종조부 : 조선 7대 국왕 [[조선 세조|세조]]
** 외종조부 : 조선 7대 국왕 [[조선 세조|세조]]

2013년 5월 10일 (금) 15:17 판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다. 신승선중모현주의 아들로 연산군의 처남이자 중종의 장인이며, 세종의 외증손이다. 따라서 왕실과는 이중 인척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 외에도 그의 부인은 권람의 여섯째 딸로 남이의 처제가 된다. 1506년 중종반정 때 도의상 반정에 참여하기를 거절했다가 살해되었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근중(勤仲), 호는 소한당(所閒堂)이며, 시호는 신도(信度)이다.

생애

신승선의 아들로 어머니 중모현주임영대군의 딸이자 세종대왕의 손녀딸이었다. 성종음서를 통해 장령이 되어 조정에 입문하였고, 누이동생이 연산군의 비가 된 뒤로 우승지, 도승지, 이조 판서, 우찬성, 우의정, 좌의정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또한 진성대군(중종)이 그의 사위가 되었다. 박원종, 성희안 등은 그에게 꾸준히 사람을 보내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을 추대할 것을 권고했으나 신수근은 자신의 사위를 위해 누이를 배신할 수 없다며 거절했다. 1506년 음력 9월 2일 성희안, 박원종 등이 일으킨 중종반정 때 박원종 일파가 보낸 이심, 신윤무 등에게 수각교에서 격살(擊殺)되었다.

1739년(영조 15년) 음력 3월 28일에야 김태남 등의 건의로 익창부원군으로 추증되었다.[1]

중종실록》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신수근은 폐비 신씨(愼氏)의 오빠로 연산군의 총애를 얻어 세력과 지위가 극히 융성하니, 권세가 한때를 휩쓸었다. 오랫동안 이조(吏曹)를 맡아 거리낌없이 방자하였으며, 뇌물이 폭주(輻湊)하여 문정(門庭)이 저자와 같았고, 조그만 원수도 남기지 않고 꼭 갚았다. 주인을 배반한 노비(奴婢)들이 다투어 와서 그에게 투탁(投托)하였으며, 호사(豪奢)를 한없이 부려 참람됨이 궁금(宮禁)에 비길 만했다.[2]

가족 관계

중종의 장인이며, 연산군의 처남이다. 또 세종대왕의 외증손자로, 사돈인 성종은 그의 외재종형이 된다. 성종은 두 아들들을 신수근의 누이와 딸에게 각각 장가들게 해 이중으로 사돈 관계를 맺었다.

기타

그의 장인 권람의 아호도 소한당(所閑堂)이다.

신수근이 등장하는 작품

드라마

영화

주석

  1. 《영조실록》49권, 15년(1739년) 3월 30일 1번째 기사
  2.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중종실록》14 집 71 면.

관련 항목

관련 항목

  • 성종실록
  • 중종실록
  • 연산군일기
  • 대동야승
  • 연려실기술
  • 국조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