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대한민국의 국보 | |
종목 | 국보 제2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
---|---|
수량 | 1 |
시대 | 조선 시대 |
소유 | 국유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 탑골 공원 |
좌표 | 북위 37° 34′ 18″ 동경 126° 59′ 18″ / 북위 37.57167° 동경 126.98833°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首爾 圓覺寺址 十層石塔)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 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탑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2호이다. 석탑은 1467년(세조 13년)에 세워졌으며 3층의 기단과 10층의 탑신으로 되어 있고 인물과 화초 무늬 따위가 양각되어 있다. 맨 위 3층은 오랫동안 무너져 내려져 있던 것을(새똥으로 인해 부식되었다.) 1947년에 원상태로 복구하였다. 2000년에는 표면 훼손이 심각해 유리보호 장치를 씌워 놓은 상태다.
개요
[편집]원각사는 지금의 탑골공원 자리에 있었던 절로, 조선 세조 11년(1465)에 세웠다. 조선시대의 숭유억불정책 속에서도 중요한 사찰로 보호되어 오다가 1504년 연산군이 이 절을 ‘연방원(聯芳院)’이라는 이름의 기생집으로 만들어 승려들을 내보냄으로써 절은 없어지게 되었다. 이 탑은 조선시대의 석탑으로는 유일한 형태로, 높이는 약 12m이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탑 구석구석에 표현된 화려한 조각이 대리석의 회백색과 잘 어울려 더욱 아름답게 보인다. 탑을 받쳐주는 기단(基壇)은 3단으로 되어있고,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이다. 기단의 각 층 옆면에는 여러 가지 장식이 화사하게 조각되었는데 용, 사자, 연꽃무늬 등이 표현되었다. 탑신부(塔身部)는 10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을 하고 있고 4층부터는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각 층마다 목조건축을 모방하여 지붕, 공포(목조건축에서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얹는 부재), 기둥 등을 세부적으로 잘 표현하였다. 우리나라 석탑의 일반적 재료가 화강암인데 비해 대리석으로 만들어졌고, 전체적인 형태나 세부구조 등이 고려시대의 경천사지 10층석탑과 매우 비슷하여 더욱 주의를 끌고 있다. 탑의 윗부분에 남아있는 기록으로 세조 13년(1467)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형태가 특이하고 표현장식이 풍부하여 훌륭한 걸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명칭 변경
[편집]2010년 12월 27일 문화재청은 종전 명칭인 '원각사지십층석탑'을 행정지역 명칭 표기 부기 및 한글맞춤법(띄어쓰기)을 적용하여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으로 변경하였다.[1]
사진
[편집]-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현재 모습
-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또 다른 현재 모습
-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원각사지 십층석탑의 측면 모습. 1947년 복구 이전의 모습이다.
-
부분 확대한 모습
-
십층석탑의 부분 모습
-
십층석탑의 부분 모습
같이 보기
[편집]- 원각사지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 국보 제86호
각주
[편집]- ↑ 문화재청고시 제2010-133호, 국가지정문화재(국보·보물/석조) 지정명칭 변경, 대한민국 관보, 2010년 12월 27일.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