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케팔린
식별자 | |||||||
---|---|---|---|---|---|---|---|
상징 | PENK | ||||||
NCBI 유전자 | 5179 | ||||||
HGNC | 8831 | ||||||
OMIM | 131330 | ||||||
RefSeq | NM_006211 | ||||||
UniProt | P01210 | ||||||
다른 정보 | |||||||
유전자 자리 | Chr. 8 q23-q24 | ||||||
|
엔케팔린(영어: enkephalin)은 신체의 통각(통증 감각)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펜타펩타이드이다. 엔케팔린은 신체 내부에서 유래(따라서 내인성)되고 신체의 오피오이드 수용체에 리간드로 결합하기 때문에 내인성 리간드라고 한다. 1975년에 발견된 엔케팔린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류신("Leu")을 함유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메티오닌("Met")을 함유하고 있다. 둘 다 프로엔케팔린 유전자의 산물이다.[2]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타이드
[편집]신체에서 생성되는 오피오이드 펩타이드에는 엔케팔린, β-엔도르핀, 디노르핀의 세 가지 뚜렸한 특징이 있는 계열이 있다. Met-엔케팔린 펩타이드 서열은 엔케팔린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으며, Leu-엔케팔린 펩타이드 서열은 엔케팔린 유전자와 디노르핀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다.[3]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 유전자도 β-엔돌핀의 N-말단에 메트-엔케팔린 서열을 포함하지만, 엔돌핀 펩타이드는 엔케팔린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편집]엔케팔린은 신경펩타이드로 간주되는데, 인체에서는 뇌에서 중요한 신호전달 분자 역할을 한다. 엔케팔린은 뇌와 부신속질 세포에서 높은 농도로 발견된다. 통증에 반응하여 투쟁 도피 반응에서 활성화되는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이 엔도르핀과 함께 방출된다.[4] 2017년의 연구에 따르면 이 펜타펩타이드는 스트레스 반응 중의 뇌 기능, 특히 해마와 전전두엽피질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의 일부로 여러 Met-엔케팔린 유사체의 해마 활성이 증가한 반면, Leu-엔케팔린 유사체와 소마토스타틴은 스트레스 동안 하향 조절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스트레스 요인은 특정 뇌 영역에만 작용하는 신경펩타이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엔케팔린 수용체
[편집]엔케팔린에 대한 수용체는 델타-오피오이드 수용체와 뮤-오피오이드 수용체이다.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그룹이며, 다른 오피오이드도 리간드로 포함된다. 다른 내인성 오피오이드는 디노르핀(카파 수용체에 결합), 엔도르핀(뮤 수용체), 엔도모르핀, 노시셉틴/오르파닌 FQ이다.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SSTR)와 약 40%가 동일하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DB 1plx; Marcotte I, Separovic F, Auger M, Gagné SM (March 2004). “A multidimensional 1H NMR investigation of the conformation of methionine-enkephalin in fast-tumbling bicelles”. 《Biophys. J.》 86 (3): 1587–600. Bibcode:2004BpJ....86.1587M. doi:10.1016/S0006-3495(04)74226-5. PMC 1303993. PMID 14990485.
- ↑ Noda M, Teranishi Y, Takahashi H, Toyosato M, Notake M, Nakanishi S, Numa S (June 1982). “Isolation and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human preproenkephalin gene”. 《Nature》 297 (5865): 431–4. Bibcode:1982Natur.297..431N. doi:10.1038/297431a0. PMID 6281660. S2CID 4371340.
- ↑ Opioid peptides: Molecular pharmacology, biosynthesis and analysis 보관됨 2009-08-26 - 웨이백 머신, R.S. Rapaka and R. L. Hawks (editors) in a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Research Monograph (#70), 1986.
- ↑ Pasternak, Gavril W. “Endorphins”. 《AccessScience》. doi:10.1036/1097-8542.232500.
- ↑ Henry MS, Gendron L, Tremblay ME, Drolet G (2017). “Enkephalins: Endogenous Analgesics with an Emerging Role in Stress Resilience”. 《Neural Plasticity》 2017: 1546125. doi:10.1155/2017/1546125. PMC 5525068. PMID 28781901.
외부 링크
[편집]- 의학주제표목 (MeSH)의 Enkephalins
- Nosek, Thomas M. 〈Section 6/6ch2/s6ch2_36〉. 《Essentials of Human Physiology》. 2016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