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굴레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장르 | 멜로, 로맨스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KBS 2TV |
방송 기간 | 1989년 4월 22일 ~ 1989년 10월 8일 |
방송 시간 | 토, 일 저녁 7시 40분 ~ 8시 40분 |
방송 분량 | 50분 |
방송 횟수 | 총 50부작 |
기획 | 하강일 |
제작자 | KBS |
연출 | 염현섭 |
조연출 | 이강현 |
극본 | 홍승연 |
출연자 | 김미숙, 고두심, 노주현, 임성민, 정욱, 윤여정, 사미자, 이진숙, 정해창, 황화순, 전원주, 선우재덕, 이주경, 정재순, 장서희, 아역 배우: 조은정→문수인, 조현철. 천수현, 김경하, 임택선, 김애경, 박정수, 김종결, 김봉근. |
전편 | 은혜의 땅 |
후편 | 달빛가족 |
《사랑의 굴레》는 1989년 4월 22일부터 1989년 10월 8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주말연속극이며, 가난한 만학도인 대학생 선미가 어머니가 죽은 후 사업가 박인섭의 집에 가정교사로 들어가면서 결국 그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담은 멜로 드라마이다.[1][2]
한편, 인섭의 아내로 히스테리한 여자 한정숙 역을 맡은 고두심은 “잘났어 정말!”이란 유행어로 큰 인기를 누렸으며,[3] 이 작품으로 연기대상에서 대상까지 거머쥐었다.
등장 인물[편집]
- 김미숙 : 이선미 역
- 노주현 : 박인섭 역
- 임성민 : 고영국 역
- 고두심 : 한정숙 여사 역
- 유동근 : 유동호 역
- 사미자 : 정은, 정숙, 정희 자매의 어머니 역
- 이진숙 : 한정은 여사 역
- 정해창 : 선미의 이모부 역
- 백수련 : 선미의 이모 역
- 윤여정 : 신지원 역
- 정재순 : 영국의 누나 역
- 전원주 : 개성댁 역
- 김경하
- 임택선
- 박태민
- 천수현 : 미스 진 역
- 장서희 : 영국의 조카 역
- 조은정 : 박미애 역
- 조현철 : 박승우 역
- 이주경 : 한정희 역
- 최항석
- 윤병훈
- 박영목
- 윤덕용
- 박해상
- 박상만
- 이현실
제작진[편집]
- 기획: 하강일
- 극본: 홍승연
- 연출: 염현섭
- 보조출연: (주) 한국예술
- 기술감독: 안규갑
- 조명감독: 유용우
- 영상: 이웅주
- 녹화: 안혁석
- 음향: 엄재섭, 유병수, 유영조
- 조명: 박영현, 장현기
- 미술감독: 이석우
- 무대 디자인: 황봉익
- 타이틀 디자인: 김태준
- 사식: 권도희
- 소품: 윤재흠, 유조현
- 의상: 이명종
- 분장: 심성보 → 이대현
- 미용: 조순열
- 장치: 김군석, 홍사문
- 작화: 권혁태
- 컴퓨터 그래픽: 이대승
- 타이틀 사진: 조항윤
- 편집: 장영국, 정동완
- 녹음: 이상봉
- 무대감독: 장동국
- 음악효과: 임택수
- 음향효과: 박용기
- 주제가 작곡: 김희갑
- 작사: 지명길
- 노래: 임희숙
- 야외촬영: 성재환, 엄태만
- 야외조명: 김종덕, 김장면
- 카메라 감독: 임재완
- 카메라: 김성수, 조남호, 박종관
- 스크립터: 한은미
- 의상협조: 성도어패럴, 소니아 정
- 촬영협조: 백산 스포션, 하얏트 리젠시 서울, 고대부속 구로병원
- 가구협찬: 라자가구
- 조연출: 이강현
수상[편집]
주제가[편집]
촬영협조[편집]
- 동서증권
- 교남소망의집
차량협찬[편집]
회차별 다시보기[편집]
1회 ~ 50회[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방송 회차 | 방송 일자 | 다시보기 |
---|---|---|
1회 | 1989년 4월 22일 | ![]() |
2회 | 1989년 4월 23일 | ![]() |
3회 | 1989년 4월 29일 | ![]() |
4회 | 1989년 4월 30일 | ![]() |
5회 | 1989년 5월 6일 | ![]() |
6회 | 1989년 5월 7일 | 유실됨 |
7회 | 1989년 5월 13일 | ![]() |
8회 | 1989년 5월 14일 | ![]() |
9회 | 1989년 5월 20일 | ![]() |
10회 | 1989년 5월 21일 | ![]() |
11회 | 1989년 5월 27일 | ![]() |
12회 | 1989년 5월 28일 | ![]() |
13회 | 1989년 6월 3일 | ![]() |
14회 | 1989년 6월 4일 | ![]() |
15회 | 1989년 6월 10일 | ![]() |
16회 | 1989년 6월 11일 | ![]() |
17회 | 1989년 6월 17일 | ![]() |
18회 | 1989년 6월 18일 | ![]() |
19회 | 1989년 6월 24일 | ![]() |
20회 | 1989년 6월 25일 | ![]() |
21회 | 1989년 7월 1일 | ![]() |
22회 | 1989년 7월 2일 | ![]() |
23회 | 1989년 7월 8일 | ![]() |
24회 | 1989년 7월 9일 | ![]() |
25회 | 1989년 7월 15일 | ![]() |
26회 | 1989년 7월 16일 | ![]() |
27회 | 1989년 7월 22일 | ![]() |
28회 | 1989년 7월 23일 | 유실됨 |
29회 | 1989년 7월 29일 | 유실됨 |
30회 | 1989년 7월 30일 | ![]() |
31회 | 1989년 8월 5일 | ![]() |
32회 | 1989년 8월 6일 | ![]() |
33회 | 1989년 8월 12일 | ![]() |
34회 | 1989년 8월 13일 | ![]() |
35회 | 1989년 8월 19일 | ![]() |
36회 | 1989년 8월 20일 | ![]() |
37회 | 1989년 8월 26일 | ![]() |
38회 | 1989년 8월 27일 | ![]() |
39회 | 1989년 9월 2일 | ![]() |
40회 | 1989년 9월 3일 | ![]() |
41회 | 1989년 9월 9일 | ![]() |
42회 | 1989년 9월 10일 | ![]() |
43회 | 1989년 9월 16일 | ![]() |
44회 | 1989년 9월 17일 | ![]() |
45회 | 1989년 9월 23일 | ![]() |
46회 | 1989년 9월 24일 | ![]() |
47회 | 1989년 9월 30일 | ![]() |
48회 | 1989년 10월 1일 | ![]() |
49회 | 1989년 10월 7일 | ![]() |
50회 | 1989년 10월 8일 | ![]() |
참고 사항[편집]
- 당시 조연출이었던 이강현은 고두심에게 "연출자가 되면 반드시 함께 하자"며 약속을 했으며 이강현은 훗날 자신이 담당 PD로 참여한 작품인 《그대는 별》에서 고두심과 연출자-연기자로 만났다.
- 2019년 KBS디지털미디어국에서는 당시 연출자였던 염현섭 PD로부터 영상을 기증받아 대부분 회차를 유튜브 채널 옛날티비를 통해 풀영상을 순차적으로 공개하고 있다.[4]
각주[편집]
- ↑ “「은혜의 땅」후속「사랑의 굴레」KBS,다음달 22일부터 放映(방영)”. 동아일보. 1989년 3월 29일.
- ↑ 최보은 (1989년 6월 3일). “'청순가련형'벗어나고 싶어 '사랑의 굴레'여주인공 김미숙”. 한겨레.
- ↑ 남달성 (1990년 9월 7일). “7년만의 영화외출…가슴설레요" 영화「ྖ 자유부인」주연맡은 탤런트 고두심”. 동아일보.
- ↑ 풀영상은 6화, 28화, 29화의 경우 유실되었기에 제외한다.
외부 링크[편집]
한국방송공사 주말연속극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은혜의 땅
(1988년 9월 17일 ~ 1989년 4월 16일) |
사랑의 굴레
(1989년 4월 22일 ~ 1989년 10월 8일) |
달빛가족
(1989년 10월 14일 ~ 1990년 4월 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