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처리 장치
물리 처리 장치(PPU, Physics Processing Unit)는 물리 계산을 다루는 전용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특히 비디오 게임의 물리 엔진에 쓰인다. PPU를 이용한 계산은 이를테면 강체동역학, 연체동역학, 충돌 감지, 유동역학, 두발 의상 시뮬레이션, 유한요소법, 물체 분열을 들 수 있다. 이 용어는 에이지아가 피직스 칩을 소비자에게 설명할 때의 마케팅에서 비롯한 것이다. 최초의 PPU는 SPARTA와 HELLAS였다.
역사[편집]
SPARTA(Simulation of Physics on A Real-Time Architecture)라는 이름의 최초의 학술적 PPU 연구 프로젝트[1][2]는 펜 스테이트와 조지아 대학교에서 수행되었다.[3] 이 프로젝트는 HELLAS라는 이름의 상당히 더 진보한 ASIC 기반 시스템으로 확장되었다.
AGEIA PhysX[편집]
PPU로 광고된 최초의 프로세서는 PhysX 칩으로서, AGEIA라는 팹리스 반도체 기업에 의해 도입되었다.
하복 FX[편집]
하복 SDK는 PhysX SDK의 주된 경쟁 소프트웨어이다. 150개 이상의 게임에 사용되며, 여기에는 하프라이프 2, 헤일로 3, 데드 라이징과 같은 메이저 타이틀을 포함한다.[4]
인텔 제온 파이[편집]
셀처럼, 제온 파이는 CPU와 GPU 사이에 위치하며 범용 목적 처리(general purpose processing)에서부터 전문적인 고성능 백엔드 처리에 이르기까지 용도가 다양하다. 그러므로 스크래치패드 보다 캐시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높은 스루풋을 달성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S. Yardi, B. Bishop, T. Kelliher, "HELLAS: A Specialised Architecture for Interactive Deformable Object Modeling", ACM Southeast Conference, Melbourne, FL, March 10–12, 2006, pp. 56–61.
- ↑ B. Bishop, T. Kelliher, "Specialized Hardware for Deformable Object Modeling,"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13(11):1074–1079, Nov. 2003.
- ↑ “SPARTA Homepage”. Cse.psu.edu. 2010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Games using Havok”. 2012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