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종 시스템 아키텍처
이기종 시스템 아키텍처(Heterogeneous System Architecture, HSA)는 공유 메모리와 태스크를 가지고 중앙 처리 장치와 그래픽 처리 장치가 동일한 버스에 연동될 수 있게 하는 업체들 간 사양의 집합이다.[1] HSA는 HSA 재단에 의해 개발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AMD와 ARM 등이 참여한다.
CUDA와 OpenCL뿐 아니라 다른 대부분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HSA를 사용하여 실행 성능을 높일 수 있다.[2]
원리[편집]
HSA의 원리는 계산을 GPU에 맡길 때 프로그래머의 짐을 덜어주는 것이다. 원래 AMD가 홀로 주도하여 FSA로 불렸던 이 개념은 GPU 이상의 처리 단위(예를 들어, 다른 하드웨어 설계 기업의 DSP)까지 아우르도록 확장되었다.
HSA가 아닌 시스템에서 GPU에 연산을 맡길 때 수행되는 단계.
현대의 GPU들은 SIMD와 SIMT를 수행하기에 매우 적절하지만 현대의 CPU들은 브랜치 등의 최적화가 진행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Tarun Iyer (2013년 4월 30일). “AMD Unveils its Heterogeneous Uniform Memory Access (hUMA) Technology”. 《Tom's Hardware》.
- ↑ Linaro. “LCE13: Heterogeneous System Architecture (HSA) on ARM”. 《slideshare.net》.
외부 링크[편집]
- HSA Heterogeneous System Architecture Overview - 유튜브 by Vinod Tipparaju at SC13 in November 2013
- (영어) HSA and the software ecosystem
- (영어) 2012 – HSA by Michael Hous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