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의 지방은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지방은행(地方銀行)은 1967년 정부의 지방은행 설치 정책에 의해 지방의 금융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금융기관이다. 모두 10개[1]가 설립되었으며, 1997년 12월에 벌어진 IMF 구제금융사건의 여파로 퇴출 혹은 인수합병을 거치면서 충청권, 경인권, 강원권에서는 모두 소멸했고, 현재 남부권인 영호남과 제주특별자치도를 기반으로 하는 6개 은행만 남아 있다. 공동 상품으로 뱅크라인이 있다.

설립 조건[편집]

지방은행은 전국영업이 가능한 시중은행과 달리 정해진 영업 구역 내에서만 영업점의 개설 및 영업이 가능하며, 원화금융자금대출 증가액의 60% 이상을 중소기업에 지원해야 한다. 또한 금융위원회의 인허가 지침에 의해 설립시 250억 원의 자본금을 필수로 하고 있으며, 1인당 지분율은 15%를 넘을 수 없다. 영업구역은 각 도별로 분할되었다.

목록[편집]

현존[편집]

폐지[편집]

각주[편집]

  1. 대동은행동남은행서울특별시가 아닌 곳에 본점이 소재하였으며, 전국규모 시중은행으로 인가받았기 때문에 지방은행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수치는 해당 2개 은행을 제외한 수치다.
  2. 완전 자회사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