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뱅이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문장 부호 | ||||||||||||||||||||||||||||||||||||||||||||||||||||||||||||||||||||||||||||||||||||||||||||||||||||||||||||||||||||||||||||||||||||||||||||||||||||||||||||||||||||||||||||||||||||||||||||||||||||||||||||||||||||||||||||||||||||||||||||||||||||||||||||||||||||||||||||||||||||||||||||||||||||||||||||||||||||||
---|---|---|---|---|---|---|---|---|---|---|---|---|---|---|---|---|---|---|---|---|---|---|---|---|---|---|---|---|---|---|---|---|---|---|---|---|---|---|---|---|---|---|---|---|---|---|---|---|---|---|---|---|---|---|---|---|---|---|---|---|---|---|---|---|---|---|---|---|---|---|---|---|---|---|---|---|---|---|---|---|---|---|---|---|---|---|---|---|---|---|---|---|---|---|---|---|---|---|---|---|---|---|---|---|---|---|---|---|---|---|---|---|---|---|---|---|---|---|---|---|---|---|---|---|---|---|---|---|---|---|---|---|---|---|---|---|---|---|---|---|---|---|---|---|---|---|---|---|---|---|---|---|---|---|---|---|---|---|---|---|---|---|---|---|---|---|---|---|---|---|---|---|---|---|---|---|---|---|---|---|---|---|---|---|---|---|---|---|---|---|---|---|---|---|---|---|---|---|---|---|---|---|---|---|---|---|---|---|---|---|---|---|---|---|---|---|---|---|---|---|---|---|---|---|---|---|---|---|---|---|---|---|---|---|---|---|---|---|---|---|---|---|---|---|---|---|---|---|---|---|---|---|---|---|---|---|---|---|---|---|---|---|---|---|---|---|---|---|---|---|---|---|---|---|---|---|---|---|---|---|---|---|---|---|---|---|---|---|---|---|---|---|---|---|---|---|---|---|---|---|---|---|---|---|---|---|---|---|---|---|
| ||||||||||||||||||||||||||||||||||||||||||||||||||||||||||||||||||||||||||||||||||||||||||||||||||||||||||||||||||||||||||||||||||||||||||||||||||||||||||||||||||||||||||||||||||||||||||||||||||||||||||||||||||||||||||||||||||||||||||||||||||||||||||||||||||||||||||||||||||||||||||||||||||||||||||||||||||||||
@은 아스키의 64번째 부호로, 현대에는 전자 우편 주소를 표기할 때 주로 쓰인다. 영어로는 at sign이라고 부르며 흔히 at(앳)이라고 읽는다. 한국에서는 흔히 골뱅이라고 부른다.
전자우편 주소 표기에 널리 사용되기 이전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영어 단어 at과 뜻인 일반적인 상업부호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사과 15개가 2달러인 경우 장부에 간략하게 "apple 15 @ 2$"로 기입하였다.
2004년에 모스 부호에 포함되었고, 콤마트(commat)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모스 부호로는 A와 C의 연타(.--.-.)로 표시한다.
트위터 등에서는 누군가에게 답장을 쓸 때 "OO에게"라는 의미로 사용자이름 앞에 @를 쓴다. (예: @사용자이름)
모두(http://www.modoo.at)[1] 에서는 홈페이지를 찾을때 홈페이지명 뒤에 @을 붙여서 검색한다.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의미는 같지만 성별을 나타내기 위해 a와 o로 끝나는 단어를 동시에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한다. (예: extranjer@)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권마다 @을 부르는 방법은 다양하다.[2][3][4][5]
- 네덜란드어 - apestaart (원숭이 꼬리)
- 노르웨이어 - grisehale (돼지 꼬리)
- 덴마크어 - snabel (코끼리 코)
- 독일어 - Klammeraffe (거미 원숭이)
- 러시아어 - собака (사바까: 작은 개)
- 바스크어 - bildua (동그란 a)
- 불가리아어 - кльомба (클렴빠: 뜻 없음) 또는 маймунско A (마이문스꼬: 원숭이 A)
- 일본어 - 単価記号 (단가 기호) 또는 アットマーク (at mark의 일본어 발음)
- 이탈리아어 - chiocciola (지렁이)
- 중국어
- 체코어 - zavinac (청어 절임)
- 핀란드어 - kissanhäntä (고양이 꼬리)
- 한국어 - 골뱅이, 앳, 동그람 에이(인쇄용어)
- 헝가리어 - kukac (벌레)
- 말레이시아어 - lion (사자)
- 히브리어 - שטרודל (슈트루 델)
유니코드[편집]
기호 | 유니코드(16진) | 참조 문자(10진) | 명칭 |
---|---|---|---|
@ | U+0040 | @ | 상업용 앳(Commercial At) |
﹫ | U+FE6B | ﹫ | 작은 상업용 앳(Small Commercial At) |
@ | U+FF20 | @ | 전각 상업용 앳(Fullwidth Commercial At) |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모두(modoo.at) - 네이버
- ↑ What do you call the @ symbol used in e-mail addresses?
- ↑ “세계 각국의 @세대는 '@'을 어떻게 부를까?”. 2007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바람직한 `@세상`”.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A Natural History of the @ 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