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재 이 문서는 주로 한국어, 일본어에 한정된 내용 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 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 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6월)
문장 부호
아포스트로피
( ’ ' )
괄호
( [ ], ( ), { }, ⟨ ⟩ )
쌍점
( : )
쉼표
( , )
줄표
( ‒, –, —, ― )
줄임표
( …, ... )
느낌표
( ! )
마침표
( .。 )
붙임표
( -, ‐ )
물음표
( ? )
따옴표
( ‘ ’, “ ” )
쌍반점
( ; )
빗금
( / )
공백 문자
(
) (
) (
) (␠) (␢) (␣)
가운뎃점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표
( @ )
별표
( * )
역슬래시
( \ )
불릿
( • )
캐럿
( ^ )
저작권 기호
( © )
통화 기호
( ¤ )
칼표
( †, ‡ )
도 기호
( ° )
중복 부호 (같음표)
( 〃 )
역느낌표
( ¡ )
역물음표
( ¿ )
해시 기호
( # )
숫자 기호
( № )
서수 기호
( º, ª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단락 기호
( ¶ )
프라임 기호
(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부분 기호
( § )
서비스 기호
(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
물결표
( ~ )
상표 기호
( ™ )
밑줄 문자
( _ )
수직선
( |, ¦ )
별자리표
( ⁂ )
손가락표
( ☜, ☞ )
그러므로 기호
( ∴ )
왜냐하면 기호
( ∵ )
물음느낌표
( ‽ )
아이러니 기호
( ⸮ )
마름모
( ◊ )
참고표
( ※ )
붙임줄
( ⁀ )
전화 기호
( ☏, ☎ )
온천 기호
( ♨ )
성별 기호
( ♂ , ♀ )
오전 /오후 기호
( ㏂, ㏘ )
한글 부호
오전 /오후 기호
( ㈝, ㈞ )
참고 기호
( ㉼ )
주식회사 기호
( ㈜ )
우편번호 기호
( ㉾ )
v • d • e • h
문장 부호 (文章符號)는 글 의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추가하는 부호이다.
한국어의 문장 부호 [ 편집 ]
한국어 에서 사용하는 문장 부호 중 일부는 대한민국 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 서로 다르다. ([ ]내는 북한에서 사용하는 이름이고, [X]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마침표 - 가로쓰기에는 온점(.)을 쓰고,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썼으나 최근에는 세로쓰기에도 온점을 찍는 경우가 많고, 결국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에서 삭제되었다. (북한에서는 세로쓰기에서도 온점으로 표기)
물음표 (?) - 의심이나 물음 혹은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운 경우에 쓴다.
느낌표 (!) -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강한 명령, 부르거나 대답할 때 쓴다.
쉼표 -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썼으나 세로쓰기가 잘 안쓰임에 따라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에서 삭제되었다. (북한에서는 반점도 모점도 모두 반점으로 표기)
가운뎃점 (·)[X]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뉠 때 혹은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나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쌍점 (:)[두점]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시와 분, 장과 절 등을 구별할 때 사용함.
쌍반점 (;)[반두점]
빗금 (/)[X] 대비되는 두 개 이상의 어구를 묶어 나타낼 때, 기준 단위당 수량을 표시할 때, 시의 행이 바뀌는 부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문장부호
따옴표
큰따옴표("" 또는 “ ”), 겹낫표(『 』)[《》인용표]
작은따옴표('' 또는 ‘ ’), 낫표(「 」)[〈〉거듭인용표]
괄호
소괄호( () )[반달괄호]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등에 쓰는 문장부호
중괄호( {} )[X]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쓰는 형태의 문장부호
대괄호( [] )[꺾쇠부호]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를 나타낼 때,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을 덧붙일 때 쓰는 형태의 문장부호
이음표
드러냄표[밑점]
안드러냄표
숨김표 (××, ○○)[ㅁㅁㅁ]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를 나타낼 때,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사항일 때 사용한다.
빠짐표(□)[X]
줄임표 (……) 할말을 줄였을 때,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사용함.
같음표 (〃)
일본어의 문장 부호 [ 편집 ]
。: 한국어의 온점과 같다.
、: 한국어의 반점과 같다.
반복 부호
々: 한자 반복 부호
ゝ: 히라가나 반복 부호
ゞ: 히라가나 탁점 반복 부호
ヽ: 가타카나 반복 부호
ヾ: 가타카나 탁점 반복 부호
같이 보기 [ 편집 ]
외부 링크 [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