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이름의
숫자 기호 ,
№ 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비슷한 이름의
井 ,
♯ 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문장 부호
아포스트로피
( ’ ' )
괄호
( [ ], ( ), { }, ⟨ ⟩ )
쌍점
( : )
쉼표
( , )
줄표
( ‒, –, —, ― )
줄임표
( …, ... )
느낌표
( ! )
마침표
( .。 )
붙임표
( -, ‐ )
물음표
( ? )
따옴표
( ‘ ’, “ ” )
쌍반점
( ; )
빗금
( / )
공백 문자
(
) (
) (
) (␠) (␢) (␣)
가운뎃점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표
( @ )
별표
( * )
역슬래시
( \ )
불릿
( • )
캐럿
( ^ )
저작권 기호
( © )
통화 기호
( ¤ )
칼표
( †, ‡ )
도 기호
( ° )
중복 부호 (같음표)
( 〃 )
역느낌표
( ¡ )
역물음표
( ¿ )
번호 기호
( # )
숫자 기호
( № )
서수 기호
( º, ª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단락 기호
( ¶ )
프라임 기호
(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부분 기호
( § )
서비스 기호
(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
물결표
( ~ )
상표 기호
( ™ )
밑줄 문자
( _ )
수직선
( |, ¦ )
별자리표
( ⁂ )
손가락표
( ☜, ☞ )
그러므로 기호
( ∴ )
왜냐하면 기호
( ∵ )
물음느낌표
( ‽ )
아이러니 기호
( ⸮ )
마름모
( ◊ )
참고표
( ※ )
붙임줄
( ⁀ )
전화 기호
( ☏, ☎ )
온천 기호
( ♨ )
성별 기호
( ♂ , ♀ )
오전 /오후 기호
( ㏂, ㏘ )
한글 부호
오전 /오후 기호
( ㈝, ㈞ )
참고 기호
( ㉼ )
주식회사 기호
( ㈜ )
우편번호 기호
( ㉾ )
v • d • e • h
샵# 은 번호 기호 (number sign 넘버 사인[* ] ),[1] 해시 (hash),[2] 또는 파운드 기호 (pound sign)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3] 이 기호는 역사적으로 서수 지정 및 지금은 드문 ℔ .[4] 에서 상형 파운드 의 합자 약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기호의 모양이 올림표 나 한자 의 '우물 정'(井)과와 비슷하여 대한민국에서는 샵 이나 우물정자 로도 불린다.
해시 기호 뒤에 숫자가 붙으면 "몇 번째"라는 뜻을 가진다.
전화 에서, 해시 기호는 * 과 함께 특별한 기능을 가진다.
미디어위키 에서 글자 앞에 #를 붙이면 숫자 목록이 된다.
트위터 와 같은 SNS 에서 해시태그 라는 태그 용도로 사용된다.
부호 위치 [ 편집 ]
같이 보기 [ 편집 ]
↑ “number sign” .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8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hash” .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7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pound sign” .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8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5일에 확인함 .
↑ Houston, Keith (2014년 10월 20일). 《Shady Characters: The Secret Life of Punctuation, Symbols, and Other Typographical Marks》. W W Norton & Company.
↑ Steele, Shawn (1996년 4월 24일). “cp037_IBMUSCanada to Unicode table” .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
↑ Steele, Shawn (1996년 4월 24일). “cp500_IBMInternational to Unicode table” .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
↑ Umamaheswaran, V.S. (1999년 11월 8일). “3.3 Step 2: Byte Conversion” . 《UTF-EBCDIC》. Unicode Consortium . Unicode Technical Report #16.
↑ Steele, Shawn (1996년 4월 24일). “cp1026_IBMLatin5Turkish to Unicode table” .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
↑ Unicode Consortium (2015년 12월 2일) [1994-03-08]. “Shift-JIS to Unicode” .
↑ Unicode Consortium ; IBM . “EUC-JP-2007” .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 Unicode Consortium ; IBM . “IBM-970” .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 Steele, Shawn (2000). “cp949 to Unicode table” .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
↑ van Kesteren, Anne . “big5” . 《Encoding Standard》. WHATWG .
↑ Pakin, Scott (2020년 6월 25일). “The Comprehensive LATEX Symbol List” (PDF) .
↑ Unicode Consortium . “Unicode Named Character Sequences” . 《Unicode Character Database》.
↑ IBM ; Apple . “Docomo emoji mappings” .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59180.0.1》.
↑ IBM ; Apple . “Softbank emoji primary mappings” .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59180.0.1》.
↑ IBM ; Apple . “KDDI emoji mappings” . 《International Components for Unicode , 59180.0.1》.
↑ Scherer, Markus; Davis, Mark; Momoi, Kat; Tong, Darick; Kida, Yasuo; Edberg, Peter. “Emoji Symbols: Background Data—Background data for Proposal for Encoding Emoji Symbols” (PDF) . UTC L2/10-132.
↑ JoyPixels. “Emoji Alpha Codes” . 《Emoji Toolk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