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4부대
2325부대 209파견대 | |
---|---|
활동 기간 | 1968. 4. ~ 1971. 8. |
국가 | ![]() |
소속 | ![]() |
종류 | 특수부대, 북파공작원 |
역할 | 김일성 암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침투 |
규모 | 31명 |
명령 체계 | 20특무전대 |
본부 | 실미도 |
별명 | "684" 부대, 실미도 부대 |
684부대는 공식적으로 2325부대 209파견대로, 1968년 4월부터 1971년 8월까지 존재하던 대한민국 공군의 북파공작 부대였다. 이 부대는 경기도 부천군 용유면 무의리(현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실미도에 있었다.
개요[편집]
1968년 1월 2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인민군 124부대 소속의 김신조 등 31명을 대한민국에 침투시켜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할 목적으로 1·21사태을 일으켰다.
당시 김형욱 중앙정보부장과 이철희 중앙정보부 제1국장은 이를 보복하기 위하여 각 군별로 보복 부대를 만들도록 지시했는데, 공군 정보부가 대북 정보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공군 2325부대에 명령하여 같은 해 4월에 창설한 부대가 209파견대이다. 209파견대는 청와대를 기습한 31명과 인원수를 맞춰 부대를 꾸렸고, 창설된 연도와 달의 숫자를 따서 684부대라는 위장명을 썼다.[1]
684부대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침투하여 김일성을 암살하기 위해 철저한 인민군식 실전 훈련을 받았고, 훈련 과정에서 7명이 사망하였다. 불과 몇 개월 만에 북파가 가능한 인간병기로 만들어진 이들은 3년 가까이 북파 명령을 기다렸으나, 1971년 국제적인 긴장완화와 남북적십자회담 등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작전 자체가 불확실해졌다.
가혹한 훈련과 장기간의 기다림에 불만을 품은 684부대원들은 1971년 8월 23일 교관 및 감시병 18명을 살해하고, 인천에서 시내버스(현대 R-192)를 탈취하여 청와대로 향하던 중 이를 제지하는 군(軍), 경찰과 총격전을 벌였다. 탈취한 시내버스의 타이어가 터져 움직일 수 없게 되자 이들은 수원-인천간 태화상운 시외버스(신진 FB100L)를 다시 탈취하여 서울 영등포구 대방동까지 진입하였다. 이곳에서 군의 방어에 막히자 부대원 대부분이 대방동 유한양행 앞에서 수류탄으로 자폭하고, 생존자 4명은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1972년 3월 10일 사형이 집행되었다.
이 부대의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2003년에 영화 《실미도》가 만들어졌는데 이 영화에 앞서 <쿠데타>가 개봉될 예정이었으나 제작비 등 여러 문제가 겹쳐 좌절됐으며[2] 이 과정에서 드라마 PD 출신 김종학 감독의 영화감독 데뷔도 무산됐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주석궁 대신 청와대로 한겨레21, 2003.12.3
- ↑ 김승모 (2013년 7월 31일). “[기고] 故 김종학 PD, ‘모래시계’ 그 후”. PD저널. 2018년 9월 13일에 확인함.
- 온라인
- 이정훈 (2004년 1월 1일). “북파공작원 보상 ‘앞으론 법대로’”. 주간동아. 2012년 4월 20일에 확인함.
- 이정훈 (2004년 1월 22일). “33년 전 실미도, 31명의 슬픈 추억”. 주간동아. 2012년 4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