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크렙스 (189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스 크렙스
Hans Krebs | |
---|---|
![]() | |
![]() ![]() | |
임기 | 1945년 3월 29일-1945년 5월 1일 |
전임 | 하인츠 구데리안 |
후임 | (폐지) |
장관 | 빌헬름 카이텔 |
지휘관 | 아돌프 히틀러(1941년 12월 19일-1945년 4월 30일) 페르디난트 쇠르너(1945년 4월 30일-1945년 5월 8일) |
신상정보 | |
출생일 | 1898년 3월 4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헬름슈테트 |
사망일 | 1945년 5월 1/2일 |
사망지 | 나치 독일 베를린 퓌러엄폐호 |
군사 경력 | |
복무 | ![]() ![]() ![]() |
복무기간 | 1914년-1945년 |
소속군 | ![]() |
근무 | 육군최고사령부 |
최종계급 | ![]()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서훈 | ![]() ![]() ![]() ![]() ![]() ![]() ![]() ![]() ![]() ![]() ![]() ![]() ![]() ![]() ![]() |
한스 크렙스(독일어: Hans Krebs: 1898년 3월 4일 – 1945년 5월 1/2일)는 독일의 군인이다. 독일 국방군 육군에서 보병대장을 지냈다.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이다. 크렙스는 2차대전 마지막 시기(1945년 4월 1일에서 5월 1일) 육군최고사령부 마지막 장군참모장을 지냈다. 1945년 5월 1일에서 2일로 넘어가는 밤 퓌러엄폐호에서 자살했다.
전임 하인츠 구데리안 |
제6대 육군최고사령부 장군참모장 1945년 3월 29일 – 1945년 5월 1일 |
후임 폐지 |
C 집단군 (1939년 8월 -1945년 5월) |
| ||||||||||||||||||||
---|---|---|---|---|---|---|---|---|---|---|---|---|---|---|---|---|---|---|---|---|---|
북부 집단군 (1939년 9월 -1945년 4월) |
| ||||||||||||||||||||
남부 집단군 (1939년 9월 -1945년 4월) |
| ||||||||||||||||||||
A 집단군 (1939년 10월 -1945년 2월) |
| ||||||||||||||||||||
OB West (1940년 10월 -1945년 4월) |
| ||||||||||||||||||||
중부 집단군 (1941년 6월 -1945년 5월) |
| ||||||||||||||||||||
OB Süd (1941년 12월 -1945년 5월) |
| ||||||||||||||||||||
돈 집단군 (1942년 11월 -1943년 2월) |
| ||||||||||||||||||||
E 집단군 (1943년 1월 -1945년 5월) |
| ||||||||||||||||||||
아프리카 (1943년 2월 -1943년 5월) |
| ||||||||||||||||||||
F 집단군 (1943년 8월 -1945년 3월) |
| ||||||||||||||||||||
북우크라이나 (1944년 3월 -1944년 9월) |
| ||||||||||||||||||||
남우크라이나 (1944년 3월 -1944년 9월) |
| ||||||||||||||||||||
상라인 강 (1944년 12월 -1945년 1월) |
| ||||||||||||||||||||
쿠를란트 (1945년 1월 -1945년 5월) |
| ||||||||||||||||||||
바이흐젤 (1945년 1월 -1945년 4월) |
| ||||||||||||||||||||
동부변경 (1945년 4월 -1945년 5월) |
|
1945년 퓌러엄폐호 입주자들의 운명 | ||
---|---|---|
4월 20일 탈출 | ||
4월 21일 탈출 | ||
4월 22일 탈출 | ||
4월 23일 탈출 | ||
4월 24일 탈출 | ||
4월 24일 자살 | ||
4월 28일 탈출 | ||
4월 29일 탈출 | ||
4월 29일 피살 | ||
4월 30일 탈출 | ||
4월 30일 자살 | ||
5월 1일 피살 | ||
5월 1일 자살 | ||
5월 1일 탈출 |
| |
5월 2일 자살 | ||
5월 2일 탈출 | ||
5월 2일까지 잔류 (엄폐호를 접수한 소련군에게 항복) | ||
생사불명 | ||
|
![]() |
| ![]() |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