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Afrikaans
- Aragonés
- العربية
- مصرى
- Azərbaycanca
- تۆرکجه
- Беларуская
- 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
- Български
- Bosanski
- Català
- Čeština
- Dansk
- Deutsch
- Ελληνικά
- English
- Esperanto
- Español
- Eesti
- Euskara
- فارسی
- Suomi
- Français
- Frysk
- עברית
- Hrvatski
- Magyar
- Հայերեն
- Bahasa Indonesia
- Ido
- Italiano
- 日本語
- ქართული
- Latina
- Lëtzebuergesch
- Lietuvių
- Македонски
- Монгол
- मराठी
- Bahasa Melayu
- Nederlands
- Norsk bokmål
- Polski
- Português
- Română
- Русский
- 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
- Simple English
- Slovenčina
- Slovenščina
- Српски / srpski
- Svenska
- ไทย
- Türkçe
- Татарча / tatarça
- Українська
- Tiếng Việt
- 吴语
- 中文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5월) |
![]() Friedrich Wilhelm Ernst Paulus | |
![]() | |
생몰 | 1890년 9월 23일 - 1957년 2월 1일 |
---|---|
출생지 |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 국스하겐 |
사망지 | 독일민주공화국 드레스덴 |
복무 | ![]() ![]() ![]() ![]() ![]() |
복무기간 | 1910년 ~ 1943년 |
최종계급 | ![]() |
지휘 | 제6군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
서훈 | ![]() ![]() ![]() ![]() ![]() ![]() ![]() ![]() ![]() |
프리드리히 빌헬름 에른스트 파울루스(독일어: Friedrich Wilhelm Ernst Paulus , 1890년 9월 23일 - 1957년 2월 1일)는 제2차 세계대전에 활약한 독일의 군인이다.
중류층의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제1차세계대전에서 종군했고. 종전 후에도 군에 남아 주로 참모로 일했다. 제2차대전이 개시되자 참모본부에서 참모차장으로 일하면서 독일군의 각종 작전을 입안했고, 바르바로사 작전 이후 발터 폰 라이헤나우 지휘의 제6군의 참모장으로 일했다. 라이헤나우가 남방집단군 최고사령관이 되자(그러나 그 직후 사망한다), 그의 뒤를 이어 제6군의 사령관이 되었고, 이는 그가 최초이자 최후로 맡은 야전부대의 지휘관이었다. 1942년 여름의 청색 작전에서 스텝 평원을 지나 소련군을 격파하고 볼가강 유역의 스탈린그라드까지 도달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시가전을 벌이던 중 천왕성 작전, 고리 작전 등에 의하여 소련군에 역포위되어 2개월간 그야말로 극한의 상황속에서 처절하게 저항하였으나 제 6군을 구원하기 위하여 만슈타인이 계획한 겨울 천둥 작전이 결국 실패로 돌아가버리고 이후 소련군의 소토성 작전에 의한 대대적인 공세에 밀려 결국 항복하였다. 항복하기 직전 히틀러에 의해 원수로 승진하였다. 이는 자살하라는 무언의 암시였다(독일의 원수가 항복한 전례는 그때까지 없었음). 후에 비겁하게 포로가 되느니 자결해야 했다는 히틀러의 말을 전해듣고, 그는 “보헤미아의 상병(아돌프 히틀러의 최종 군계급이 상병이었다)을 위해서 죽을 수는 없지.”라고 응수했다고 한다.
항복 후 소련에서 포로 생활을 하다 1944년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7월 20일 음모)이 터지자 소련이 지원하는 자유 독일 국민위원회의 회장이 되어 소련군의 선무 활동에 앞장섰다. 전후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증인으로 활동했다. 1953년 포로 생활에서 석방된 이후 동독의 드레스덴에서 살다가 1957년 사망했다. 이 시기 경찰로 일했던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민간인 신분으로 동독 군사역사연구소장으로 일했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전임 야전원수 발터 폰 라이헤나우 |
제2대 제6군 사령관![]() |
후임 상급대장 카를아돌프 홀리트 |
제국원수(6성장군) (Reichsmarschall) ![]() ![]() |
| |||
---|---|---|---|---|
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 ![]() ![]() |
| |||
항공야전원수 (Generalfeldmarschall der Flieger) ![]() ![]() |
| |||
대제독 (Großadmiral) ![]() ![]() |
|
작전 |
| ||||||||||||||||||||||||||||||||||||||||||
---|---|---|---|---|---|---|---|---|---|---|---|---|---|---|---|---|---|---|---|---|---|---|---|---|---|---|---|---|---|---|---|---|---|---|---|---|---|---|---|---|---|---|---|
편제 |
| ||||||||||||||||||||||||||||||||||||||||||
관련자 |
| ||||||||||||||||||||||||||||||||||||||||||
주요 장소 | |||||||||||||||||||||||||||||||||||||||||||
기념물 | |||||||||||||||||||||||||||||||||||||||||||
국제 | |
---|---|
국가 | |
인물 | |
기타 |
![]() |
이 글은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위키데이터 속성 P1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7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27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44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8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6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691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006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22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31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1695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216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3430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293을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859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7902를 사용하는 문서
- 위키데이터 속성 P8189를 사용하는 문서
-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5월
- 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
- 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 FAST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BNFda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J9U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K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T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PLWA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DTBIO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Trove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NAR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NAC-I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SUDOC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군인에 관한 토막글
- 큰 토막글 문서
- 모든 토막글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