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페겔라인
![]() Hans Georg Otto Hermann Fegelein | |
![]() 연대지도자 계급장을 단 페겔라인 | |
생애 | 1906년 10월 30일 ~ 1945년 4월 28일 (38세) |
---|---|
출생지 |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안스바흐 |
사망지 | 나치 독일 프로이센 자유주 베를린 |
친척 | 발데마르 페겔라인(형제) 그레틀 브라운(아내) 에바 브라운(처형)[1] 아돌프 히틀러(동서) |
복무 | ![]() |
복무 기간 | 1925년 ~ 1945년 |
최종 계급 | ![]() |
지휘 | SS기병여단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
주요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서훈 내역 | ![]() ![]() |
한스 게오르크 오토 헤르만 페겔라인(독일어: Hans Georg Otto Hermann Fegelein, 1906년 10월 30일 ~ 1945년 4월 28일) 은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 대원으로 최종 계급은 집단지도자(중장급)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인척으로, 에바 브라운의 여동생 그레틀 브라운과 결혼하여 히틀러에게는 동서가 된다.
약력[편집]
1925년 바이마르 공화국 국가방위군의 제17기병연대에 입대하여 군인이 되었고 1933년 4월 10일 친위대로 옮긴다. 이후 친위대 기병대 대장이 되어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의 기마행사를 준비감독했다.
1939년 9월 폴란드 침공이 성공한 뒤 페겔라인은 친위대 해골기병연대(Totenkopf Reiterstandarte)를 지휘하게 되어 12월까지 바르샤바에 주둔했다. 1940년 5-6월 벨기에 공방전 및 프랑스 공방전때 친위대 특무부대(무장친위대의 전신)의 일원으로서 종군한다. 프랑스 전역에서의 공적으로 1940년 12월 15일 2급 철십자장을 수훈받았다. 1941년 동부전선에서 페겔라인이 지휘하는 부대는 벨로루시 SSR에서 17,000 명 이상의 민간인을 살해했다(프리피야트 늪). 1943년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의 사단장이 된 페겔라인은 파르티잔 토벌 및 붉은 군대에 대한 방어전에 참여하여 동백병전장을 수훈한다.
1943년 9월 심각한 부상을 입은 페겔라인은 하인리히 히믈러의 명령에 의해 전선에서 물러나 히틀러의 본부에 머무르며 친위대를 대표하는 연락장교 일을 하게 된다. 1944년 7월 20일 음모 당시 페겔라인은 히틀러와 함께 늑대소굴에 있었고 죽을 뻔 했다. 1945년 봄, 전쟁 막바지에 이르러 페겔라인은 히틀러 및 다른 나치 수뇌부와 함께 총통엄폐호에 들어갔다. 히틀러가 자살하기 이틀 전인 4월 28일 중립국(스웨덴 또는 스위스)으로의 도피를 꾀하여 엄폐호를 빠져나와 민간인으로 변장하고 도망치다가 국가보안국(RSD)에게 잡혀 처형당했다.
각주[편집]
전임 (신설) |
제1대 SS기병여단 여단장 1941년 8월 5일 – 1942년 3월 2일 |
후임 여단지도자 빌헬름 비트리히 |
전임 예비역 연대지도자 구스타프 롬바르트 |
제4대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사단장 1943년 4월 20일 – 1943년 9월 30일 |
후임 집단지도자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
전임 집단지도자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
제6대 제8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사단장 1943년 10월 22일 – 1944년 1월 1일 |
후임 집단지도자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
부상 | ||
---|---|---|
사망 |
형제 수훈자 |
|
---|---|
처남매부 수훈자 | |
사촌 수훈자 |
|
부자 수훈자 | |
옹서 수훈자 | |
계부자 수훈자 |
|
숙질 수훈자 |
| ![]() | |
가나다순 정렬.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
참모부 | ![]() | |
---|---|---|
SS기병여단 |
| |
제1SS기병연대 플로리안 가이어 /제1SS기사연대 | ||
제2SS기사/기병연대 | ||
제15SS기병연대 플로리안 가이어 | ||
제16SS기병연대 플로리안 가이어 | ||
제18SS기병연대 플로리안 가이어 | ||
제8SS포병연대 플로리안 가이어 | ||
제8대전차자주포분견대 플로리안 가이어 | ||
제9SS수색분견대 플로리안 가이어 | ||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
정치 | |||||
---|---|---|---|---|---|
사건사고 | |||||
거처들 |
| ||||
개인사 | |||||
개인소지품 | |||||
인식 | |||||
가족 |
| ||||
그 외 |
1945년 총통엄폐호 입주자들의 운명 | ||
---|---|---|
4월 20일 탈출 | ||
4월 21일 탈출 | ||
4월 22일 탈출 | ||
4월 23일 탈출 | ||
4월 24일 탈출 | ||
4월 24일 자살 | ||
4월 28일 탈출 | ||
4월 29일 탈출 | ||
4월 29일 피살 | ||
4월 30일 탈출 | ||
4월 30일 자살 | ||
5월 1일 피살 | ||
5월 1일 자살 | ||
5월 1일 탈출 |
| |
5월 2일 자살 | ||
5월 2일 탈출 | ||
5월 2일까지 잔류 (엄폐호를 접수한 소련군에게 항복) | ||
생사불명 | ||
|
전거 통제 ![]() |
|
---|
![]() |
이 글은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