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티니 부분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론에서 프라티니 부분군(Frattini部分群, 영어: Frattini subgroup)은 어떤 군의, “매우 작은” 원소들만으로 구성된 정규 부분군이다. 구체적으로, “너무 작아서” 군을 생성할 때 불가결할 경우가 절대 없으며, 또한 모든 극대 진부분군에 속하는 원소들만으로 구성된다.

정의[편집]

의 부분군들의 족을

라고 하자. 이는 부분 집합 관계에 따라서 부분 순서 집합을 이루며, 이는 사실 완비 격자를 이룬다. 이 완비 격자에서, 하한교집합이다. (그러나 상한합집합이 아니다.) 그 최대 원소는 물론 이다.

이제, 극대 원소들의 집합

을 생각하자. (이는 공집합일 수 있다.)

의 원소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비생성원(非生成元, 영어: non-generating element)라고 하자.

  • 만약 부분 집합 를 생성하며, 라면, 역시 를 생성한다.

이제, 다음 두 부분 집합이 일치하며, 이를 프라티니 부분군이라고 하고, 로 표기한다.

  • (즉, 의 모든 극대 진부분군들의 교집합)
  • 의 비생성원들의 집합

(여기서, 이다. 즉, 만약 극대 진부분군이 없다면, 프라티니 부분군은 전체이다.)

증명 (비생성원 ⇒ 모든 극대 진부분군에 속함):

가 비생성원이라고 하고, 의 극대 진부분군이라고 하자. 이제, 이라면, 로 생성되는 부분군을 생각하자. 이 극대 진부분군이므로, 이는 이다. 그런데 의 생성 집합이지만 의 생성 집합이 아니다. 따라서 이는 모순이다.

증명 (비생성원이 아님 ⇒ 속하지 않는 극대 진부분군이 존재):

어떤 원소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만약 를 생성하지만, 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하자.

이제, 를 포함하며, 를 포함하지 않는 모든 부분군들의 족

을 생각하자. 초른 보조정리에 따라, 이는 적어도 하나의 극대 원소 를 갖는다. 이제, 이 부분군이 의 극대 진부분군임을 보이면 족하다.

을 포함하는 임의의 부분군 를 생각하자. 이제, 극대 원소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이다. 따라서, 를 포함하지 않는, 의 극대 진부분군이다.

성질[편집]

의 프라티니 부분군은 항상 정규 부분군이다.

증명:

의 프라티니 부분군은 의 부분군들의 완비 격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의 극대 진부분군의 집합은 의 모든 자기 동형 사상 아래 불변이며, 따라서 그 교집합인 프라티니 부분군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켤레 사상은 군의 자기 동형 사상이므로, 프라티니 부분군은 정규 부분군이다.

만약 유한군이라면, 그 프라티니 부분군은 멱영군이다.

임의의 두 유한군 , 에 대하여,

이다.

[편집]

크기 8의 정이면체군 의 부분군들의 하세 도표는 다음과 같다.

이 경우, 극대 진부분군들은 위에서 둘째 줄의 세 부분군들이다. 의 프라티니 부분군은 이들의 교집합(하한)인, 셋째 줄의 가운데에 있는 부분군 {F, Ⅎ}이다.

초특별군의 프라티니 부분군은 그 중심과 일치하며, 소수 크기의 순환군이다.

극대 진부분군이 없는 군[편집]

유리수체의 덧셈군 을 생각하자. 이는 극대 진부분군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그 프라티니 부분군은 전체이다.

마찬가지로, 자명군은 극대 진부분군을 갖지 않으며, 그 진부분군은 자명군이다.

역사[편집]

프라티니 (1900년대 촬영 사진)

조반니 프라티니(이탈리아어: Giovanni Frattini, 1852~1925)가 1885년에 도입하였다.[1] 이 논문에서 프라티니는 프라티니 부분군의 두 정의가 서로 동치임을 증명하였다.

참고 문헌[편집]

  1. Frattini, Giovanni (1885). “Intorno alla generazione dei gruppi di operazioni”. 《Atti della Reale Accademia dei Lincei. Serie Quarta》 (이탈리아어) 1: 281–285, 455–457. JFM 17.0097.0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