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선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otoko C. K.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2월 21일 (수) 21:25 판 (→‎관광)
정선군
정선군청
정선군청
정선군의 위치
정선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4, 5
청사 소재지정선읍 봉양3길 21 (봉양3리 267)
단체장전정환(자유한국당)
국회의원염동열(자유한국당)(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지리
면적1,220.67km2
인문
인구38,086[2] (2017.8년)
세대19,526[1] (2018.1년)
상징
나무생강나무
동강할미꽃
황조롱이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jeongseon.go.kr/

정선군(旌善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남부에 있는 이다. 정선군 여량면의 아우라지는 백두대간에서 발원한 골지천과 송천이 합쳐져 한강이 되는 곳이다.

정선은 한국 민요 아리랑의 발상지 중 하나이다. '아라리'라고도 불리는 민요 정선아리랑은 고려시대 말부터 불려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선아리랑은 한강 뗏목을 타고 강원도의 다른 지역은 물론 서울까지 전해져, 이후 전국 각지에서 각기 독특한 아리랑이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 정선은 20세기 후반 석탄 산업으로 발달하였다. 정선에는 자연발생 경승지 35개소, 문화유적지 69개소 등 관광 명소가 많다. 태백시와 인접한 사북읍에는 강원랜드가 조성되었다. 군청 소재지는 정선읍이고 행정구역은 4읍 5면이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시, 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가 개최될 예정이다.

역사

고구려의 잉패현(仍貝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인 757년 행정구역을 9주로 확정함에 따라 명주(溟州:강릉)의 영현(領縣)인 정선현으로 되었다. 고려 현종 9년(1018) 혹은 1012년에 정선현을 정선군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1895.5.26 공포)에 의거 강릉부 정선군이 충주부 정선군이 되었다가, 1896년 8월 4일 칙령 제 36호(1896.8.4 공포)에 의한 13도제 실시로 다시 강원도 정선군이 되었다.[3] 1906년 10월 1일 강릉군으로부터 임계면과 도암면이, 평창군으로부터 신동면이 편입(8면) 되었다.

자연 환경

지형, 지질

강원도의 동남부, 태백산맥 중에 위치한 까닭에 전역에 걸쳐 산악이 중첩하고, 남한강 유역 계곡에 좁고 길다란 평지가 있을 뿐이다. 즉 북부에는 발왕산(發旺山, 1,391km2), 서부에는 가리왕산(加里旺山, 1,561m), 동남부에 대덕산(大德山, 1,307m), 백운산(白雲山, 1,426m) 등이 있고, 이들 여러 산에서 발원한 많은 계류를 합하여 남한강은 역내를 감입곡류(嵌入曲流:meander)하면서 서남류하여 영월군에 들어간다.[5] 고생대에 형성된 지층은 하부 지층은 조선계로, 상부 지층은 평안계로 분류되며, 조선계는 주로 셰일과 석회암으로 구성되고, 평안계는 무연탄이 매장되어 있다. 정선에는 석회암 지역에서 형성되는 카르스트 지형이 나타나며, 이 지형의 특징인 돌리네, 우발레, 석회암 동굴이 발견된다.[6]

다음은 석회암 지질에 의해 형성된 정선군의 천연기념물과 시도기념물 목록이다.

정선 백봉령 카르스트 지대는 카르스트 지형이 일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카르스트 지형의 특징인 돌리네폴리에가 발달해 있으며, 임계면 가목리 북쪽 능선 주위에 약 50개의 돌리네가 분포하고 있다. 2004년 4월 9일 천연기념물 제440호로 지정되었다.[7]
정선 산호동굴에서는 동굴 산호가 여러 곳에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다른 동굴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대형 산호가 발달해 있다. 대형 석화가 동굴 산호로 전이되는 특이한 현상이 발견되어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2009년 12월 15일에 천연기념물 제509호로 지정되었다. [8]
정선 용소동굴은 대한민국에서 발견된 수중동굴 중 가장 큰 규모로, 석회암 지역의 지하수의 유동과 석회 동굴의 형성 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여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2015년 1월 16일에 천연기념물 제549호로 지정되었다.[9]
  • 화암굴 (강원기념물 제33호)
석회암으로 이뤄진 동굴로 큰 공간을 중심으로 작은 동굴이 가지처럼 뻗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동굴의 큰 공간은 직경 100m, 높이 40m에 달하여 대한민국의 석회 동굴에서 가장 큰 공간으로 알려져 있다. 1980년 2월 26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되었다.[10] 1922년부터 1945년까지는 상업적으로 운영되던 금광이었다.[11]
  • 정선 비룡굴 (강원기념물 제34호)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동굴로 가로로 길게 이어진 구조를 하고 있다. 과거에는 이 동굴에 용이 살면서 가뭄과 홍수 등을 일으킨다는 전설이 있었다. 물이 거의 흐르지 않아 퇴화 과정에 석화(石花)는 많이 발달하였으나 종유석이나 석순은 많이 발견되지 않는다. 1980년 2월 26일에 강원도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12]

기후

내륙 산간에 위치한 까닭에 기온의 교차가 몹시 크며, 특히 겨울에 추위가 심하고 여름은 서늘하다. 강수량은 비교적 많은 편이다.[13]

행정구역

정선군의 행정 구역은 4읍(정선·사북·신동·고한), 5면을 관할한다. 정선군의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3만9197 명, 1만9519 가구이다.[14]

읍면동 한자 면적 인구 세대 행정 지도
정선읍 旌善邑 213.78 11,460 5,050
고한읍 古汗邑 52.32 4,867 2,940
사북읍 舍北邑 47.08 5,425 2,608
신동읍 新東邑 119.84 3,810 2,038
남면 南面 130.93 3,450 1,754
북평면 北坪面 140.76 2,678 1,315
임계면 臨溪面 243.53 3,667 1,858
화암면 畫巖面 135.1 1,683 867
여량면 餘糧面 136.19 2,157 1,089
정선군 旌善郡 1219.53 39,197 19,519

인구

정선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5]

연도 총인구  
1966년 102,579명
1970년 113,437명
1975년 138,469명
1980년 133,817명
1985년 128,681명
1990년 88,368명
1995년 53,831명
2000년 46,048명
2000년 46,048명
2005년 41,017명
2010년 35,804명
2015년 36,701명

산업

정선시장

농림업

정선은 영월·평창·인제 등과 더불어 태백고원 지역에 있어서 기후가 냉량대를 이루고 있다. 경작지의 수직적 분포의 한계는 논은 800m, 밭은 1,400m로 되어 있으나 대체로 경지는 500~600m의 중간 산지대에 많다. 감자와 옥수수가 특히 많이 나며 양잠이 성하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감자·쌀·누에고치·꿀 등이다. 임상이 좋아 용재와 신탄의 산출이 많고, 산삼·당귀·지황 등 한약재도 많이 난다.[16]

광업

정선은 1980년대 전국 석탄 생산량의 28.5%를 차지했고, 지하자원으로 무연탄·금·구리·철·아연·납·흑연·비광·텅스텐 등의 매장이 많다. 함백 탄광과 상동 중석광산(현재는 부진)이 유명하고 아연은 수출로 외화를 획득하였다. 에너지 산업 합리화 정책 이후 쇠퇴하고 관광산업이 발달되고 있다.[17][18]

특산물

황기·석공예품·토종꿀·냉동 찰옥수수·정선산채·정선아라리자연향·아라리 대추원·영지버섯·정선전통식품·목공예품·인진쑥 등이 유명하다.[19]

문화와 관광

문화재

정선군에는 국가지정 보물 1개, 천연기념물 6개, 국가민속문화재 1건이 소재하고 있다. 도지정문화재로 유형문화재 3개, 무형문화재 1개, 기념물 5개, 민속문화재 4개, 문화재자료 2개가 있다.[20][21]

사찰과 보물

정선군의 정암사는 신라의 자장율사가 창건한 절로, 갈래사(葛來寺)라고도 한다. 자장율사가 건립한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있으며 뒤쪽에 세워진 수마노탑에 석가모니사리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불상은 따로 모셔져 있지 않다. 적멸보궁과 수마노탑은 각각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2호와 보물 410호로 지정되어 있다.[22]

정암사 수마노탑은 정암사 적멸보궁(寂滅寶宮) 뒤에 위치한 탑으로, 돌을 벽돌처럼 다듬어 쌓은 모전석탑(模塼石塔)의 일종이다. 보물 410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암사에서 발견된 여러 유물을 보았을 때 고려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탑지석에 의해 1653년에 중건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3]

강원도 지정 유형문화재
  • 정선 수고당 고택 (88호)
  • 정선 상유재 고택 (89호)
  • 정선강릉부삼산봉표 (113호)

자연 유산

한반도는 열목어 서식지의 최남한지로서 그 학술적 중요성이 인정되어 열목어 서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는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정암사 옆의 계류 지역이이다.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되었다.[24]
정선 반론산의 철쭉나무는 대한민국에서 알려진 철쭉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분취류는 이 지역에서만 나는 특산종으로서 보호되고 있다. 1986년 4월 17일 천연기념물 제348호로 지정되었다.[25]
정선 두위봉 주목은 수형이 아름답고 대한민국에서 발견된 주목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2002년 6월 29일 천연기념물 제433호로 지정되었다.[26]

관광

파일:정선 하이원리조트 밑 강원랜드.jpeg
하이원 리조트 카지노

정선아리랑제는 정선 아리랑을 보존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매년 10월에 열리는 축제로, 정선 아리랑과 다불어 다양한 지역의 아리랑이 공연된다.[27] 아리랑박물관은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에 등재된 아리랑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2016년에 개관하였으며, 아리랑 관련 유물 600점을 수집, 전시한다.[28]

하이원 리조트에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내국인의 입장이 허용되는 카지노가 있으며,[29] 슬롯머신, 바카라, 룰렛 등을 즐길 수 있다.[30] 또한 스키 슬로프와 골프장도 갖추어져 있어 스키스노보드, 골프를 즐길 수도 있다.[31][32]

교통

정선군은 산간지역으로 1957년 함백선이 처음 개통되었고, 그 후 정선선이 예미역으로부터 고한(古汗)까지 연장되고 태백선(고한∼황지)과 정선선이 연장(정선∼구절)되었다. 평창군을 통하여 영동고속도로가 있고, 국도 6호선, 31호선, 35호선, 42호선, 59호선이 있다.[33][34]

철도

태백선정선선이 정선군을 통과한다. 예미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태백선이 정차하며, 별어곡역, 선평역, 정선역, 나전역, 아우라지역, 구절리역정선아리랑열차가 운행한다.

버스

정선여객터미널에서 시외버스가 운행하며, 농어촌버스가 운행한다.

도로

국도 6, 42호선이 군을 동서로, 31, 35, 59호선이 남북으로 지난다.[34]

스포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시, 알파인 스키 활강 경기가 중봉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종목 중에서, 유일하게 정선군에서 개최되는 종목이다.

교육

고등학교

관련 작품

드라마

영화

예능

자매 도시

우호교류도시

인물

각주

  1. “행정구역(시군구)별 주민등록세대수”. 《국가통계포털》. 대한민국 통계청.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국가통계포털》. 대한민국 통계청. 2018년 2월 1일.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정선의 연혁
  4.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5.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정선의 자연
  6. 국토지리정보원 (2015년). 《한국지리지 강원도》. 389쪽. 
  7. “정선 백봉령 카르스트 지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8. “정선 산호동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9. “정선 용소동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10. “정선화암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11. “Hwaamdonggul Cave (화암동굴)”. 《visitkorea.or.kr》 (영어). 2018년 2월 20일에 확인함. 
  12. “정선비룡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1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후
  14.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년 3월 22일 확인.
  15.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16.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농림업
  17.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광업
  18. 장, 희순 (2010년 12월). “지방도시의 쇠퇴와 리조트산업의 역할 - 강원도 정선군을 대상으로”. 《사회과학연구》 49 (2): 82.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19.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특산물
  20. “정선 관광문화:보물”. 《정선여행》. 정선군청.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1. “우리지역 문화재”.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2. “정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3. “수마노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 2월 20일에 확인함. 
  24.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5.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6. “정선 두위봉 주목”.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7. “Jeongseon Arirang Festival (정선아리랑제)”. 《visitkorea.or.kr》. 2018년 2월 20일에 확인함. 
  28. 류, 일형 (2016년 5월 16일). '아리랑 문화의 중심' 정선아리랑센터 19일 개관”. 《연합뉴스》. 2018년 2월 9일에 확인함. 
  29. (주)강원랜드. “강원랜드 소개”. 2011년 5월 22일에 확인함. 
  30. http://www.high1.com/casinoInfo/html.high1
  31. http://www.high1.com/high1cc/html.high1
  32. http://www.high1.com/skiInfo/html.high1
  3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정선의 교통
  34. 김환수; 엄진기; 이준; 이광섭 (2013년 11월). “평창권 철도교통망 확충(안)”.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169. 2018년 2월 10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