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해석학에서 유니터리 작용소(unitary作用素, 영어: unitary operator)는 힐베르트 공간의 자기동형사상이다. 즉, 내적을 보존시키는 전단사 선형 변환이다.
힐베르트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유계 작용소를 유니터리 작용소라고 한다.
(
는
의 에르미트 수반)
는 전사 함수이며, 모든
에 대하여
이다.
의 상은
의 조밀 집합이며, 모든
에 대하여
이다.
만약 마지막 조건에서 상에 대한 조건을 생략할 경우,
는 등거리 변환이라고 한다. 이는 유니터리 작용소보다 더 약한 개념이다. 등거리사상은
를 만족시키지만,
는 만족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항등 함수
는 항상 유니터리 작용소이다.
유한 차원 실수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유니터리 작용소는 직교행렬이다. 유한 차원 복소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유니터리 작용소는 유니터리 행렬이다.
힐베르트 공간
의 기저
위의 대칭군
의 원소
로부터 유도되는 선형변환
![{\displaystyle \sum _{b\in {\mathcal {B}}}v_{b}b\mapsto \sum _{b\in {\mathcal {B}}}v_{b}\sigma (b)}](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f4cc2b12923a75f1b3f4d2a291dc33a036827e8)
은 유니터리 작용소이다. 대신,
가 단사 함수이지만 전사 함수가 아니라면, 이는 등거리 변환이지만 유니터리 작용소가 아니다.
유클리드 공간 위의 복소수 L2 공간
위의 푸리에 변환 연산자
![{\displaystyle {\mathcal {F}}\colon L^{2}(\mathbb {R} ^{n};\mathbb {C} )\to L^{2}(\mathbb {R} ^{n};\mathbb {C} )}](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da57fb0fafa1f338a54c082338d5d37d88e7141)
는 유니터리 작용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