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설탕 대체 첨가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회용 설탕 대체품 .: 이퀄 (아스파탐; 파란색), 스위트 앤 로우 (사카린, 분홍색), 스플렌다 (수크랄로스, 노란색). 스테비아는 초록색이다.[1]

설탕 대체 첨가물(雪糖 代替 添加物, 영어: Sugar substitute) 또는 설탕 대체품(雪糖 代替品)은 설탕 기반 감미료에 비해 식품 에너지가 훨씬 적으면서도 설탕과 같은 단맛을 제공하는 식품 첨가물로서 제로 칼로리(비영양성)[2]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다. 인공감미료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를 통해 파생되거나 화학 합성을 통해 가공될 수 있다. 설탕 대체품은 작은 알약, 분말, 패킷 등 다양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설탕 대체품 단맛 수준[편집]

단맛 수준과 에너지 밀도는 수크로스 기준

식물 추출[편집]

이름 수크로스 대비 중량별 상대적 단맛 단맛 수준 에너지 밀도 비고
브라제인 1250 Protein
커큘린 1250 Protein; also changes the taste of water and sour solutions to sweet
에리스리톨 0.65 14 0.05
프럭토올리고당 0.4
글리시리진 40
글리세롤 0.6 0.55 1.075 E422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0.65 0.85 0.75
이눌린 0.1
이소말트 0.55 1.1 0.5 E953
아이소말토올리고당 0.5
아이소말툴로스 0.5
락티톨 0.4 0.8 0.5 E966
모그로사이드 V 300
마빈린 100 Protein
말티톨 0.825 1.7 0.525 E965
말토덱스트린 0.15
만니톨 0.5 1.2 0.4 E421
미라쿨린 A protein that does not taste sweet by itself but modifies taste receptors to make sour foods taste sweet temporarily
모나틴 3,000 Sweetener isolated from the plant Sclerochiton ilicifolius
모넬린 1,400 Sweetening protein in serendipity berries
오슬라딘 500
펜타딘 500 Protein
폴리덱스트로스 0.1
알룰로스 0.7
솔비톨 0.6 0.9 0.65 Sugar alcohol, E420
스테비아 250 Extracts known as rebiana, rebaudioside A, a steviol glycoside; commercial products: Truvia, PureVia, Stevia In The Raw
타가토스 0.92 2.4 0.38 Monosaccharide
토마틴 2,000 Protein; E957
자일리톨 1.0 1.7 0.6 E967

인공[편집]

이름 수크로스 대비 중량별 상대적 단맛 상품명 승인 비고
아세설팜 칼륨 200[3] Nutrinova FDA 1988 E950 Hyet Sweet
아드반탐 20,000[3] FDA 2014 E969
알리탐 2,000 approved in Mexico, Australia, New Zealand, and China. Pfizer
아스파탐 200[3] NutraSweet, Equal FDA 1981, EU-wide 1994 E951 Hyet Sweet
아스파탐-아세설팜 염 350 Twinsweet E962
Carrelame 200,000
시클라민산 나트륨 40 FDA banned 1969, approved in EU and Canada E952, Abbott
둘신 250 FDA banned 1950
글루신 300
러그던에임 220,000–300,000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1650 EU 1994 E959
네오탐 7,000–13,000[3] NutraSweet FDA 2002 E961
P-4000 4,000 FDA banned 1950
사카린 200–700[3] Sweet'N Low FDA 1958, Canada 2014 E954
수크랄로스 600[3] Kaltame, Splenda Canada 1991, FDA 1998, EU 2004 E955, Tate & Lyle

당알코올[편집]

당알코올의 상대적 단맛[4][5]
Name 수크로스 대비 중량별 상대적 단맛 칼로리 (kcal/g) 수크로스 대비 칼로리당 단맛 수크로스 대비 단맛이 동등한 칼로리
아라비톨 0.7 0.2 14 7.1%
에리스리톨 0.8 0.21 15 6.7%
글리세롤 0.6 4.3 0.56 18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0.4–0.9 3.0 0.52–1.2 83–190%
이소말트 0.5 2.0 1.0 100%
락티톨 0.4 2.0 0.8 125%
말티톨 0.9 2.1 1.7 59%
만니톨 0.5 1.6 1.2 83%
솔비톨 0.6 2.6 0.92 108%
자일리톨 1.0 2.4 1.6 62%
수크로스 대비 1.0 4.0 1.0 10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tein, Anne (2011년 5월 11일). “Artificial sweeteners. What's the difference?”. 《Chicago Tribune》. 2015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3일에 확인함. 
  2. “Nutritive and Nonnutritive Sweetener Resources |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Center | NAL | USDA”. 《www.nal.usda.gov》. 2020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17일에 확인함. 
  3.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High-Intensity Sweeteners Permitted for Use in Food in the United State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7년 12월 19일. 2017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1일에 확인함. 
  4. “Sugar alcohols fact sheet”. 《IFIC Foundation》 (미국 영어). Food Insight. 2009년 10월 15일. 2020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23일에 확인함. 
  5. Godswill AC (February 2017). “Sugar alcohols: chemistry, production, health concerns and nutritional importance of mannitol, sorbitol, xylitol, and erythritol.” (PDF).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Academic Research》 3 (2): 31–66. ISSN 2488-9849. 2018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