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니톨
보이기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2R,3R,4R,5R)-Hexane-1,2,3,4,5,6-hexol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9-65-8 |
ATC 코드 | A06AD16 B05BC01 B05CX04 R05CB16 |
PubChem | 6251 |
드러그뱅크 | DB00742 |
ChemSpider | 6015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6H14O6 |
분자량 | 182.172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유의어 | D-Mannitol, mannite, manna sugar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7%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미미함 |
생물학적 반감기 | 100분 |
배출 | 콩팥: 90%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수액 (의학) 경구 투여 |
만니톨(영어: mannitol)은 약물로도 사용되는 당알코올의 일종이다.[1][2] 당으로서 당뇨병 식단의 감미료로서 종종 사용되는데, 이는 창자로부터의 흡수 부족에 기인한다.[1] 약물로서 녹내장에서처럼 안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 뇌압(ICP) 수치를 낮추기 위해 활용된다.[3][2] 의학적으로 주사를 통해 투여된다.[4] 보통은 15분 내에 효력이 시작되며 최대 8시간까지 지속된다.[4]
의학용으로 사용했을 경우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수분-전해질 불균형와 탈수가 포함된다.[4] 다른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심부전과 신부전 악화가 포함된다.[4][2] 임신 중에 복용해도 안전한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4] 만니톨은 삼투압이뇨제계 약물에 속하며 뇌와 안구로부터 유체를 끌어옴으로써 동작한다.[4]
만니톨은 1806년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가 발견하였다.[5]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6]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1회 복용량 기준 대략 US$1.12 ~ 5.80이다.[7] 미국에서의 치료비는 $25 ~ 50이다.[8] 원래 서양물푸레나무로부터 만들어졌고 이것이 만나로 불리는 이유는 성경에서 언급된 음식과 그 모습이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이다.[9][10] 만니톨은 다른 약물을 감출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세계반도핑기구의 금지 약물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1]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Varzakas, Theodoros; Labropoulos, Athanasios; Anestis, Stylianos (2012). 《Sweeteners: Nutritional Aspects, Applications, and Production Technology》 (영어). CRC Press. 59–60쪽. ISBN 9781439876732. 10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다 《WHO Model Formulary 2008》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332쪽. ISBN 9789241547659.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Wakai, A; McCabe, A; Roberts, I; Schierhout, G (2013년 8월 5일). “Mannitol for acute traumatic brain injur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8): CD001049. doi:10.1002/14651858.CD001049.pub5. PMID 23918314.
- ↑ 가 나 다 라 마 바 “Mannitol”.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6 Ma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January 2015에 확인함.
- ↑ Kremers, Edward; Sonnedecker, Glenn (1986). 《Kremers and Urdang's History of Pharmacy》 (영어). Amer. Inst. History of Pharmacy. 360쪽. ISBN 9780931292170. 10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Mannitol”.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8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 ↑ Hamilton, Richart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344쪽. ISBN 9781284057560.
- ↑ Cottrell, James E.; Patel, Piyush (2016). 《Cottrell and Patel’s Neuroanesthesia》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160쪽. ISBN 9780323461122. 10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ardal, Stan; Waechter, Jason; Martin, Doug (2010). 《Applied Pharmacology》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411쪽. ISBN 1437735789. 10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THE 2017 PROHIBITED LIST INTERNATIONAL STANDARD” (pdf). January 2017. 5쪽. 2018년 7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만니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RXList-osmi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