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 소시지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586 kJ (379 kcal) |
1 g | |
당분 | 1 g |
35 g | |
15 g | |
무기질 | 함량 %DV† |
철분 | 49% 6.4 mg |
나트륨 | 45% 680 mg |
This is one of many types of blood sausage, likely with a large amount of added bacon. |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선지 소시지 또는 피 소시지(blood sausages)는 동물의 선지(피)를 익히거나 건조한 것을 재료로 삼아 만든 소시지이다. 유럽의 블랙 푸딩에서 한국의 피순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요리이다. 재료로 사용되는 선지는 돼지, 소, 양, 오리, 염소 등 다양한 동물에게서 얻을 수 있다.
서양에서는 선지와 함께 고기, 지방, 옥분, 양파, 밤, 보리, 귀리 따위를 죄다 섞어 소시지를 채운다. 동양에서는 쌀이 사용되고,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갈아 놓은 염소고기 또는 소고기, 지방, 붉은양파 등을 쓴다.
목록[편집]
내장의 속에 고기가 많이 들어가서 선지 소시지보다 고기 소시지에 가까운 음식은 제외하였다.
- 순대(피순대): 한국의 선지 소시지.
- 초투가산 게데스(цутгасан гэдэс): 몽골의 선지 소시지.
- 블랙 푸딩(Black pudding): 영국의 선지 소시지.
- 해기스(Haggis): 스코틀랜드의 선지 소시지. 양 또는 송아지의 내장을 다진 양파, 오트밀, 쇠기름, 향신료, 소금 등과 섞은 뒤 그 위장에 넣어서 삶은 것이다.
- 모르시야(Morcilla): 스페인의 선지 소시지.
- 보티파라 네그라(Botifarra negra): 카탈루냐의 선지 소시지. 선지 대신 고기를 많이 넣어 색깔이 붉지 않고 하얀 보티파라 블랑카(Botifarra blanca)와는 다르다.[4]
- 부댕 누아르(Boudin noir): 프랑스의 선지 소시지. 선지와 돼지 부속물을 넣는다. 고기와 우유를 많이 넣어 색깔이 붉지 않고 하얀 부댕 블랑(Boudin blanc)과는 다르다.[5]
- 산구이나초(Sanguinaccio): 이탈리아의 선지 소시지.[6]
- 비롤도(Biroldo):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산구이나초로, 돼지 선지와 머릿고기, 돼지껍데기와 여러 가지 향신료를 소의 두 번째나 세 번째 위에 넣어 만든다.[7]
- 부리스토(Buristo):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산구이나초로, 돼지 선지에 돼지고기와 건포도를 섞어 소의 두 번째나 세 번째 위에 넣어 만든다.[7]
- 말레가토(Malegato):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산구이나초로, 돼지 선지와 내장을 돼지 창자에 넣어 만든다.[7]
- 산자리(Sangiari): 이탈리아 칼라브리아주의 산구이나초로, 선지에 리코타와 와인을 섞어 만든다.[8]
- 옐리토(Jelito): 체코의 선지 소시지. 선지와 지방, 다진 보리를 돼지 창자에 넣어 만든다.[9] 차갑게 하여 먹는다.[10]
- 카산카(Kaszanka): 폴란드의 선지 소시지. 선지와 메밀이 들어간다.[10]
- 무스타마카라(Mustamkkara): 핀란드의 선지 소시지. 선지와 보리가 들어가며, 월귤잼과 함께 먹는다.[11]
- 베리보르스트(Verivorst): 에스토니아의 선지 소시지. 무스타마카라와 유사하다.[1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육경희 (2017). 《순대실록》. 서울: BR미디어. ISBN 9788993508376.
![]() |
이 글은 음식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