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달
![]() | |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
방송 기간 | 1994년 1월 8일 ~ 1994년 10월 16일 (본방) 1998년 8월 26일 ~ 12월 31일 (재방) |
방송 시간 | 토, 일 밤 8시 ~ 9시 (본방) 월 ~ 금 오전 8시 10분 → 월 ~ 목 오전 8시 10분(재방)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횟수 | 81부작 |
기획 | 김지일 |
제작사 | MBC 프로덕션 |
연출 | 정인 |
각본 | 김운경 |
출연자 | 한석규, 최민식, 채시라 외 |
여는 곡 | Various Artists - 서울의 달 (경음악) |
언어 | 한국어 |
《서울의 달》은 1994년 1월 8일부터 1994년 10월 16일까지 방영된 MBC 주말연속극이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 한석규 : 김홍식(33세) - 제비족
- 최민식 : 박춘섭(33세) 역 - 상경한 시골 노총각
- 채시라 : 차영숙(29세) 역 - 여상 졸업, 진우실업 경리과 재직, 홀어머니와 동생들을 부양
주인집 가족[편집]
- 이대근 : 장대변(60대) - 달동네 주인집
- 나문희 : 장대변의 아내(60대)
- 윤미라 : 장옥희(40대) - 대변의 큰딸, 커피 전문점 뭉크 사장, 김순만(명선 아범)하고 이혼
- 백윤식 : 김인철(40대) - 미술학원 선생, 이혼남으로 옥희의 재혼
- 이주희 : 김명선(19세) 역 - 옥희의 딸
영숙네 가족[편집]
셋방 사람들[편집]
- 김용건 : 박만석(51세) 역 - 제비족 춤선생
- 여운계 : 상국의 할머니 역 - 칠성의 어머니
- 박경순 : 권칠성 역 - 상국의 아버지, 미스 안 남편
- 김해숙 : 미스 안 역 - 상국의 어머니
- 김선우 : 권상국(10세) 역 - 권칠성의 아들
주변 인물[편집]
- 정승현 : 송갑조(송가) 역 - 동네 구멍가게 주인
- 홍진희 : 홍미선(41세) 역 - 사기꾼(꽃뱀)
- 정한헌 : 진우실업 경리과장 역
- 이미지 : 민경란(36세) 역 - 아들 하나를 둔 재산 많은 이혼녀, 홍식과 결혼하였다가 결국 또 이혼하는 여자
- 김원희 : 이호순 역 - 훗날 춘섭의 아내
- 장송미 : 황희영 역 - 진우실업 경리사원
- 박남현 : 구본갑 역 - 커피전문점 뭉크 종업원
박춘섭 관련 인물[편집]
- 홍승옥 : 춘섭 어머니 역
- 장연식 : 박춘옥 역 - 춘섭의 누이동생
송갑조 관련 관련 인물[편집]
- 김흥수 : 송찬식 역 - 송갑조(송가)의 아들
- 박소현 : 허춘자 역 - 송갑조(송가)와 좋아하는 사이
주인집 영감 장대변 관련 인물[편집]
민경란 관련 인물[편집]
- 이경호 : 박경호 역 - 경란의 남자친구
차영숙 관련 인물[편집]
그 외 인물[편집]
- 김영배 : 천호달 역 - 만석 밑에서 배우는 초보 제비족
- 김호영 : 윤대식 역 - 윤 사장, 제비 사기꾼, 홍식이 모시는 사장
- 송경철 : 밴드 마스터 역 - 일수꾼
- 김용숙 : 미스 주 역 - 진우실업 경리사원
- 이도련 : 이 변호사 역 - 경란과 홍식의 이혼 중재
- 신충식 : 청과상 사장 역
- 강소우 : 보람(6세) 역 - 병원 놀이를 좋아하는 귀여운 여자 아이
- 김민경 : 보람 엄마(36세) 역
- 김은수 : 이경아 역 - 카페 목마 종업원
- 원종례 : 윤 사장에게 사기당하는 여자 역
- 김진구 : 박 선생이 약수터에서 만나 장 영감한테 소개하는 여자
- 양택조 : 형사 역
- 이계인 : 가짜 형사 역
- 양희경 : 젓갈가게 사장 역 - 무허가 춤방 수강생
- 김하균 : 홍식이가 일부러 접촉 사고낸 자동차 소유주 역
- 신국, 안재욱, 홍세은, 이현경, 이민영, 최지우, 윤용현, 양정아, 이시은, 조민기, 차재홍 외
편성 변경 및 연장[편집]
- 1994년 5월 7일 : 5시부터 MBC 특별기획 《어린이에게 새생명을》 편성으로 인한 결방[1]
- 1994년 5월 8일 : 7시부터 35회 ~ 36회 연속 방영
- 후속작 《여울목》의 제작 지연으로 인해 당초 5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26부작 연장되어 76부작으로 종영하였다.
수상 경력[편집]
- 1994년 MBC 연기대상 대상 채시라
- 1994년 MBC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상 한석규
- 1994년 MBC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상 윤미라
- 1995년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상 김운경
OST[편집]
![]() | |
---|---|
장철웅의 사운드트랙 음반 | |
발매일 | 1994년 6월 |
장르 | 드라마 음악 |
레이블 | 현대음향(주) |
# | 제목 | 작사 | 작곡 | 가수 | 재생 시간 |
---|---|---|---|---|---|
1. | 서울의 달 (경음악) | 이정철 | 3:31 | ||
2. | 서울, 이곳은 (우정의 테마) | 김순곤 | 장철웅 | 장철웅 | 3:57 |
3. | 그때는 왜 (사랑의 테마) | 김성란 | 장철웅 | 장철웅 | 3:35 |
4. | 반성 | 이남우 | 이남우 | 장철웅 | 3:54 |
5. | 서울의 달 | 김순곤 | 이정철 | 장철웅 | 3:31 |
6. | 체념 (슬픔의 테마) | 안진우 | 안진우 | 장철웅 | 3:50 |
7. | 내가 알고 있는 사랑 | 장철웅 | 장철웅 | 장철웅 | 4:09 |
8. | 그때는 왜 (사랑의 테마) (경음악) | 장철웅 | 3:05 | ||
9. | 서울의 달 (Sub-Title) | 0:50 | |||
총 재생 시간: | 30:22 |
캐스팅[편집]
- 당초 김홍식 역에는 유인촌, 박춘섭 역에는 김영철이 출연할 예정이었다.
- 당시 유인촌은 이탈리아에 유학 중인 아내를 만나야 한다는 이유로, 김영철은 출연료 문제 때문에 거절했다. 결국 박춘섭 역에 최민식, 김홍식 역으로 한석규가 대타로 출연하게 되었다.
- 이에 대해 제작진은 <야망의 세월>에서 꾸숑(한국명 최태진) 역을 맡은 최민식의 터프한 이미지가 홍식 역에 맞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이에 김운경 작가는 "맘에 들지도 않는 배우들로 캐스팅 됐는데, 역할까지 엉뚱하게 맡기면 드라마 망가진다"고 항의했으며, 이 때문에 한석규가 김홍식, 최민식이 박춘섭 역으로 변경됐다.[2]
참고 사항[편집]
- 원래 제목은 <서울의 달빛>이었으나 김승옥의 소설 제목과 겹쳐 변경했다.
- 작가 김운경은 KBS에 기획서를 건넸으나 KBS 측에서 "제비족이 주인공이고 주무대가 캬바레인 드라마는 도저히 할 수 없다"라 밝혀 KBS 편성이 무산됐고 MBC에서 방송하기로 결정되었다. 줄곧 KBS에서만 연속극을 쓴 작가 김운경의 첫 MBC 연속극 집필작이다.
- 서울의 달동네를 배경으로 각자의 삶을 위해 애쓰는 소시민의 모습을 그려, 48.7%의 최고시청률과 평균 40%대의 시청률로 방영내내 1위를 기록하며[3] 큰 인기를 얻었다.
- 춤꾼의 세계를 다루어 건전한 가정 사회 풍토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비판이 있었다.[4]
- 여러 차례의 연장 과정에서 원래 계획보다 지나치게 늘어져, 시청자들로부터 "심하다"란 지적과 함께 초반의 재미까지 갉아먹었다는 평을 받았다.[5]
- 도시 서민의 삶과 애환을 밀도감있게 그렸다는 호평을 받아 1995년 3월 30일 열린 제7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의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6]
- 1998년 1월 개편에서 평일 오전 8시 10분으로 이동한[7] <MBC 드라마 걸작선>의 마지막 작품이 됐다.
- 2002년 1월 8일부터 영어는 "Moon of the Seoul"과 중국어(번체)는 "首爾之月"이라는 제목으로 아리랑 TV를 통해 방영되었다.
각주[편집]
- ↑ “특집「어린이에게 새 생명을」 (MBC·오후5:00)”. 경향신문. 1994년 5월 7일. 2019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김대성 (2004년 6월 9일). “[우리시대의 주인공] <8> 작가가 말하는 '서울의 달'”. 한국일보. 2016년 1월 3일에 확인함.
- ↑ 김기범 (2008년 8월 27일). “옥수동 ‘서울의 달’이 진다…12·13구역 본격 재개발”. 경향신문. 2012년 6월 6일에 확인함.
- ↑ “「춤꾼」그린「서울의 달」항의 빗발”. 동아일보. 1994년 2월 27일. 2012년 6월 6일에 확인함.
- ↑ 이대현 (1994년 9월 13일). “연속극 늘리기 “심하다 심해””. 한국일보. 2018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정연욱 (1995년 3월 31일). “제7회 방송작가상 시상식”. 동아일보. 2018년 5월 25일에 확인함.
- ↑ 연합 (1998년 1월 3일). “MBC.SBS 평일아침 드라마 2편 방송 괜찮을까”. 연합뉴스. 2018년 9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