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널 더글러스 MD-11
(맥도넬더글러스 MD-11에서 넘어옴)
MD-11 | |
---|---|
![]() KLM의 MD-11 (퇴역) | |
종류 | 광동체 대형 3발 제트 여객기 |
첫 비행 | 1990년 1월 10일 |
현황 | 생산 종료 |
주요 사용자 | |
생산 시기 | 1988년 ~ 2001년 |
생산 대수 | 200대 |
개발 원형 | 맥도널 더글러스 DC-10 |
맥도널 더글러스 MD-11, 혹은 MD-11은 미국 맥도널 더글러스에서 개발한 3발 대형 광동체기이다. 전신 기종인 DC-10을 개량하여 제작되었다..
특징[편집]
보잉 747 시리즈 중 보잉 747-400과 함께 윙렛이 딸린 항공기이며, 특이사항은 윙렛 하단부에 에어버스의 A300과 비슷한 윙팁의 깍지가 붙어 있다. 기존 DC-10과 같은 트라이제트 여객기로 모양은 비슷하게 생겼으나, DC-10에 비하여 수직 미익이 작은 탓에 조종이 힘들었고 사고율 역시 DC-10보다 높았다.
2000년에 단종됐다. 상대적으로 여객형보다 화물기로 인기가 높아서, 최근에는 일부 여객기를 제외한 모든 MD-11 여객기들이 대부분 화물기로 개조되어 기령 만료까지 운용되고 있다. 여객기 부문의 최후 운용 항공사로는 2015년까지 계속 운용하였던 KLM[1]으로 돌아갔으며, 이보다도 더 앞선 시점인 핀에어는 2011년 MD-11을 퇴역한 바 있다.
종류[편집]
- MD-11: MD-11의 기본형. 1986년에 개발을 완료 했고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약 10년간 131대가 생산되었다. 주로 아메리칸 항공, 델타 항공, 스위스 항공, KLM이 주 고객이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항공이 2003년까지 사용하다가 화물기로 개조, 사용하였다.
- MD-11C: 기존 MD-11형 모델을 기반으로한 콤비형 모델로서 후방에 보잉 747기 형태의 화물칸을 탑재하고 4.1 m × 2.6 m 사이즈의 컨테이너를 8개 적재할 수 있다. 알리탈리아 카고가 주 고객이었으며, 2002년부터 전 기종이 화물기로 개조되고 있다. 총 5대가 제작되었다.
- MD-11CF: 기존 MD-11 여객기 형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여객기에서 화물기로, 화물기에서 여객기로 즉시 용도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MD-11CF기는 총 6대만 제작되었다.
- MD-11ER: MD-11기의 항속거리 연장형 모델로, 1994년 싱가포르 에어쇼서 처음 등장하였다. MD-11ER은 기존 MD-11에 비해 항속거리가 2,410km 증가된 13,410km이다.(MD-11의 최대 항속거리는 11,000km이다). 최근까지 사용한 핀에어는 이 기종을 화물기로 개조하였다. 5대만 제작되었다.
- MD-11F: MD-11기의 화물기 형태로 UPS 항공, 페덱스 익스프레스가 주 사용 고객이며 과거 대한항공에서도 2003년까지 사용한 적이 있다. 최대 적재중량이 90,787kg이며 보잉 747F와 비슷하다. 기체 노후화 및 기령 만료 후에는 보잉 777F로 대체 중에 있다.
제원[편집]
MD-11 (여객용) |
MD-11CF (화물/여객 전환용) |
MD-11F (화물용) |
MD-11C (콤비형) |
MD-11ER (항속거리 연장형) | |
---|---|---|---|---|---|
좌석 수, typical |
410 (1 class) 323 (2 class) 293 (3 class) |
N/A (화물기) |
290 (1 class) 214 (2 class) 181 (3 class) |
410 (1 class) 323 (2 class) 293 (3 class) | |
화물 탑재량 | 32 LD3 (lower compartment) | 26 pallets +32 LD3 (lower compartment) |
21,096 cu ft (597 m3) 26 pallets on the main deck +32 LD3 (lower compartment) |
6 pallets +32 LD3 (lower compartment) |
32 LD3 (lower compartment) |
총 길이 | 202 ft 2 in (61.62 m) with GE engines 200 ft 11 in (61.24 m) with P&W engines | ||||
동체 폭 | 19 ft 9 in (6.02 m) | ||||
날개 길이 | 169 ft 6 in (51.66 m) | ||||
날개 면적 | 3,648 ft2 (338.9 m2) including winglets | ||||
꼬리 높이 | 57 ft 9 in (17.60 m) | ||||
최대이륙중량 (MTOW)* |
standard: 602,500 lb (273,300 kg) heavy: 630,500 lb (286,000 kg) |
standard: 625,000 lb (283,000 kg) heavy: 630,500 lb (286,000 kg) |
standard: 610,000 lb (280,000 kg) heavy: 630,500 lb (286,000 kg) |
standard: 610,000 lb (280,000 kg) heavy: 630,500 lb (286,000 kg) |
630,500 lb (286,000 kg) |
최대착륙즁량 | 430,000 lb (200,000 kg) | 471,500 lb (213,900 kg) optional: 481,000 lb (218,000 kg) (218,405 kg) |
491,500 lb (222,900 kg) | 458,000 lb (208,000 kg) | 491,500 lb (222,900 kg) |
총 무게 | 283,975 lb (128,809 kg) | 288,296 lb (130,769 kg) | 248,567 lb (112,748 kg) | 283,975 lb (128,809 kg) | 291,120 lb (132,050 kg) |
최대이륙중량서 최대이륙거리 | 10,300 ft (3,100 m) | ||||
최대 항속거리 (최대탑재시) |
6,840 nmi (12,670 km) | Pass: 6,840 nmi (12,670 km) Freight: 3,950 nmi (7,320 km) |
3,950 nmi (7,320 km) | 6,720 nmi (12,450 km) | 7,240 nmi (13,410 km) |
최고속도 | 0.88 Mach (587 mph, 945 km/h, 520 kn) | ||||
표준 속도 | 0.82 Mach (544 mph, 876 km/h, 473 kn) | ||||
상승한도 | 43,000 ft (13,000 m) | ||||
엔진 (3x) | P&W PW4460 - 모듈:Convert 282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local 'cat' (a nil value). PW4462 - 62,000 lbf (280 kN) GE CF6-80C2D1F - 61,500 lbf (274 kN) |
보유 항공사[편집]
화물 항공사[편집]
|
이전 보유 항공사[편집]
사건 및 사고[편집]
- 1998년 9월 1일, 스위스 항공 111편 여객기가 캐나다 핼리팩스 근처 바다에 추락하여 탑승객이 모두 사망했다. MD-11 여객기 관련 추락 사고 중 다수의 사망자를 낸 사고 이기도 하다.
- 1999년 4월 15일, 대한항공 MD-11 화물기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인근 공사장에 추락, 조종사 및 승무원 전원 사망하였다.
- 1999년 8월 22일, 방콕을 출발해 홍콩을 거쳐 타이페이로 향하던 중화항공 642편인 MD-11 항공기가 홍콩에 착륙하는 도중 바람에 휩쓸려 비행기가 뒤집혀 3명이 사망하고 312명이 부상당했다.
- 2009년 3월 23일, 페덱스 익스프레스 80편 항공기가 나리타 국제공항에 착륙 도중 불시착 후 폭발하여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
- 2010년 7월 27일, 루프트한자 카고 8460편 맥도넬더글러스 MD-11 항공기가 킹 칼리드 국제공항에 착륙 도중 추락하였다. 사고 기체는 화재가 발생하여 복구가 불가능하였으나, 유일한 탑승 인원이었던 기장과 부기장은 다행히 탈출할 수 있었다.[2][3][4]
- 2016년 6월 6일, UPS 항공 61편이 인천국제공항 이륙 하려다 활주로 이탈과 노즈 기어 붕괴로 사고가 났지만, 승무원 4명 모두 부상 없이 살아남았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KLM이 가지고 있었던 MD-11 여객기는 2015년까지 화물기 개조 없이 계속 운용하였다가 보잉 777-200ER과 300ER로 대체되었다.
- ↑ “UPDATE 2-Lufthansa cargo plane crashes at Saudi airport”. Reuters. 2010년 7월 27일. 2010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BBC News - Lufthansa cargo plane crashes at Riyadh airport”. Bbc.co.uk. 2010년 3월 27일. 2010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Flight 8460 at the Aviation Safety Network
- ↑ “美화물기 인천공항 활주로 이탈 사고”.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맥도널 더글러스 MD-11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