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주최한국연예정보신문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은 한국연예정보신문이 주관하는 문화·연예·예술인을 대상으로 하는 상이다. 1992년 제정되었으며, 한국 문화·예술의 질적 향상과 문화 콘텐츠의 진흥·발전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제정 당시부터 2007년까지는 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2008년 제16회 때부터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으로 이름을 바꿨다.[2]

심사 및 시상[편집]

한해 동안 활동한 문화·연예·예술인을 대상으로 하여 누리꾼들의 투표와 문화·연예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후보자를 선정한다. 이후 이를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집행위원회가 추천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여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영화, 드라마 등 예술 분야 5개의 대상, 20개 부문상 및 각 분야에 10개 부문상 등 총 70명에게 시상이 이루어진다.[1]

역대 수상자[편집]

1999년 제7회 수상자[편집]

2000년 제8회 수상자[편집]

2001년 제9회 수상자[편집]

2002년 제10회 수상자[편집]

2003년 제11회 수상자[편집]

2004년 제12회 수상자[편집]

2005년 제13회 수상자[편집]

2006년 제14회 수상자[편집]

2007년 제15회 수상자[편집]

2008년 제16회 수상자[편집]

2009년 제17회 수상자[편집]

2010년 제18회 수상자[편집]

2011년 제19회 수상자[편집]

2012년 제20회 수상자[편집]

2013년 제21회 수상자[편집]

2014년 제22회 수상자[편집]

2015년 제23회 수상자[편집]

2016년 제24회 수상자[편집]

  • 여자최우수연기상 : 진세연
  • 드라마특별상 : 이한위
  • 연기신인상 : 유풀잎
  • 영화 남우신인상 : 권수현
  • 뮤지컬여자최우수상 : 홍지민
  • 예능스타상 : 김지선, 강예빈
  • 개그여자우수상 : 오나미
  • K팝가수상 : 헤이즈
  • K팝신인상 : 우리아
  • 해외스타상 : Totyanna Rae
  • 모델우수상 : 최연수

2017년 제25회 수상자[편집]

2018년 제26회 수상자[편집]

2019년 제27회 수상자[편집]

2020년 제28회 수상자[편집]

  • 총 대상 : 송해
  • 드라마 최우수 연기상 : 윤상현, 오윤아
  • 드라마 우수 연기상 : 정석용, 이학주, 박소진(걸스데이)
  • 영화 최우수 연기상 : 이희준
  • 영화 신인상 : 이봉근, 최정운
  • 영화 작품상 : 윤단비 감독 <남매의 여름밤>
  • 영화 감독상 : 홍원찬 감독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예능 대상 : 최수종, 하희라
  • 예능 남자 스타상 : 광희
  • 예능 여자 스타상 : 미주 (러블리즈)
  • 성인가요 대상 : 혜은이
  • 성인가요 10대 가수상 : 이동준, 박구윤, 서지오, 우연이, 금잔디, 안소정
  • 성인가요 스타상 : 김수찬, 나태주, 이일민
  • K-POP상 : 폴킴, 노을, 아스트로, 송하예, 에이프릴, 위키미키, 로켓펀치

2021년 제29회 수상자[편집]

  • 총 대상 : 안성기
  • 드라마 대상 : 이지아
  • 드라마 최우수 연기상 : 안보현, 오나라
  • 드라마 우수 연기상 : 허성태, 진지희
  • 영화 최우수 연기상 : 변요한, 염혜란
  • 영화 신인 감독상 : 이지원 <아이들은 즐겁다>
  • 예능 스타상 : 김해준, 이은지
  • 예능 신인상 : 김민기
  • 성인가요 대상 : 조항조
  • K-POP 스타상 : 적재, STAYC(스테이씨), 박재정, 라붐, 케이시, 싸이퍼, 위클리
  • K-POP 신인상 : EPEX

각주[편집]

  1. 연예정보신문.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 시상식 정보 > 개요”. 2012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0일에 확인함. 
  2. 한국연예정보신문. “신문사소개”.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