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관리 주체 | 광주광역시청 대중교통과 |
---|---|
차적지 | 광주광역시 |
운행 지역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나주시, 장성군, 화순군 |
노선 수 | 101[1] |
차량 수 | 1,044 |
웹사이트 |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 |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광주광역시와 서구, 광산구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하며, 2006년 12월 21일부터 준공영제와 무료환승제가 시행되고 있다.
2022년, 현재 급행버스는 7개의 노선이있다.[2], 간선버스는 28개 노선, 지선버스는 61개 노선, 공영버스는 3개 노선, 마을버스는 광산구에 4개 노선, 서구에 2개 노선, 북구에 3개 노선, 남구에 3개 노선이 운행중이다.
역사
[편집]- 1954년 9월 23일 : 천일버스·삼양시내버스 설립
- 1966년 1월 20일 : 대창운수 설립
- 1966년 3월 3일 : 현대교통 설립
- 1974년 10월 7일 : 광주시내버스 공동운수협정 인가(5개 업체, 41개 노선, 494대)[3]
- 1980년 3월 3일 : 동양운수 설립
- 1985년 6월 5일 : 대진운수 설립
- 1987년 2월 28일 : 삼아교통 설립
- 1989년 2월 28일 : 동화운수 설립
- 1992년 6월 1일 : 대광시내버스 설립
- 1995년 6월 30일 : 광주시내버스[4] 나주시내까지 연장 운행
- 1997년 7월 1일 : 시내버스 번호체계 개편. 모든 노선번호를 출발지-경유도로-도착지의 3자리수로 바꿈.
- 1998년 10월 1일 : 시내버스 번호체계 환원
- 2001년 6월 8일 : 천연가스버스 도입[5]
- 2003년 6월 1일 : 좌석버스 고급화[6]
- 2004년 10월 10일 : 노선개편과 무료환승 시행
- 2004년 10월 29일 : 대원시내버스 설립
- 2005년 2월 6일 : 저상버스 도입
- 2006년 12월 21일 : 준공영제 실시와 노선별 고정배차 실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노선개편 실시와 무료환승 확대[7]
- 2007년 2월 8일 : 2차 노선 조정
- 2009년 1월 1일 : 삼양시내버스 순천교통에 매각, 을로운수 설립[8]
- 2009년 11월 5일 : 동양운수에서 세영운수로 사명 변경
- 2009년 12월 14일: 대광시내버스에서 라정시내버스로 사명 변경
- 2012년 9월 1일 : 현대교통이 을로운수에 인수, 계열사 편입[9]
- 2014년 7월 29일 : 삼아교통이 현대교통 차고지 병합과 동시에 인수, 계열사 편입[10]
- 2017년 1월 26일 : 천일버스에서 삼원운수로 사명 변경
노선
[편집]번호체계
[편집]- 광주광역시의 버스 번호 체계는 생활권명과 2~3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 경기·부산·대구에서 급행버스가 좌석버스로 운영되는 데 반하여, 광주광역시는 좌석02번 1개 노선을 제외하고는 대전처럼 도시형버스로 급행버스를 운영한다.
- 생활권명 + (시외/공영구분) + 권역번호 + 일련번호
- 급행간선노선(01~09) : 지하철처럼 주요지점만 경유하면서 신속하게 이동
- 간선노선 (10~49) : 지역별 대생활권 연결
- 지선노선 : 지역내 생활권과 통학권을 연결
- 간선과 지선노선의 구분은 여기서는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이 때 공영노선 및 특수노선은 지선노선에 속한다.
- 좌석버스의 경우 무등산국립공원에서 광주역, 유스퀘어, 광주광역시청, 광주송정역을 거쳐 도산동과 나주 혁신도시까지 운행하는 좌석02번 노선 한 개만이 존재한다.[13]
노선 목록
[편집]구분 | 노선 |
---|---|
좌석 | 좌석02 |
급행 | 순환01 · 수완03 · 매월06 · 진월07 · 첨단09 |
간선 | 일곡10 · 수완12 · 선운14 · 지원15 · 매월16 · 진월17 · 문흥18 · 송정19 · 첨단22 · 첨단23 · 지원25 · 매월26 · 봉선27 · 일곡28 · 송정29 · 첨단30 · 송암31 · 금호36 · 봉선37 · 일곡38 · 문흥39 · 지원45 · 금호46 · 송암47 · 운림50 · 운림51 · 운림54 · 금남58 · 첨단95 · 송정98 |
지선 | 첨단20 · 송정33 · 운림35 · 첨단40 · 수완49 · 지원52 · 문흥53 · 금남55 · 지원56 · 금남57 · 금남59 · 양산60 · 매월61 · 상무62 · 상무63 · 상무64 · 유덕65 · 송암68 · 대촌69 · 대촌70 · 대촌71 · 송암72 · 송암73 · 송암74 · 진월75 · 봉선76 · 진월77 · 진월78 · 진월79 · 문흥80 · 두암81 · 용봉83 · 용전84 · 용전85 · 용전86 · 석곡87 · 임곡89 · 임곡90 · 임곡91 · 첨단92 · 송정93 · 첨단94 · 송정96 · 송정97 · 송정99 · 송정100 · 선운101 · 지원152 · 대촌170 · 진월177 · 두암181 · 용전184 · 충효187 · 충효188 · 첨단192 · 첨단193 · 진곡196 · 송정197 · 대촌270 · 임곡290 · 송정296 · 228 · 419 · 518 · 1187 · 1187-1 |
시티투어 | 광주시티투어버스 |
마을 | 700 · 701 · 713 • 714 • 715 · 720 · 720-1 · 760 · 763 · 777 · 788 · 799 |
인접 시·군 노선
[편집]지역 | 노선 |
---|---|
나주 | 160· 1160· 600번대· 999· 999-1 |
담양 | 농어촌(225 · 303) · 좌석(311 · 322) |
장성 | 100 · 101 · 102 · 103 · 104 · 106 · 107 |
화순 | 200 · 200-1 · 216 · 217 · 217-1 · 218 · 218-1 · 318 · 318-1 |
함평 | 500 |
운임
[편집]시내버스 운임표 | ||||||||||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현금 | 카드 | |||||
좌석버스 | 1,800원 | 1,700원 | 1,500원 | 1,350원 | 1,000원 | 850원 | ||||
간선버스 | 1,400원 | 1,250원 | 1,000원 | 800원 | 500원 | 400원 | ||||
지선버스 | ||||||||||
마을버스 | ||||||||||
공항버스 | - | 2016년 8월 1일 시행한 시내버스 운임이며 환승운임 및 시계외운임 미포함 |
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준공영제 실시와 동시에 좌석버스 제도가 좌석02번을 제외하고 모두 폐지되어 도시형버스로 운영된다. 그래서 운임은 버스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다. 승차권은 2008년 1월 1일부로 발매가 중단되었으며, 같은 해 6월 30일까지만 사용할 수 있었다. 또는 아직도 승차권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광주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으로 문의하면 환불받을 수 있다.[14] 공항버스 1000번은 어린이요금이 없고, 어린이도 청소년요금을 지불하여야 한다.
시계외 운임
[편집]광주광역시 경계선을 넘을 때부터 추가운임을 받으며, 이전에는 광주 시계외권[15]으로 갈 때는 구간운임제로 운행하였으나 2006년 12월 21일부터 거리비례제로 변경하여 운행한다. 시계외 운임은 광주광역시 경계부터 2km당 성인은 140원, 청소년 및 초등생은 71.4원씩 추가된다.
교통카드
[편집]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는 2004년 10월 10일부터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6]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현금을 먼저 충전한 뒤에 사용하는 선불제 교통카드와 이용한 뒤 운임을 정산하는 후불제 교통카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교통카드도 일부 사용이 가능하다.
- 선불 교통카드는 광주광역시에서 충전과 사용이 가능한 마이비카드의 한 종류인 빛고을카드, 한페이카드, 캐시비카드, 티머니카드, 레일플러스카드, 원패스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초기에는 마이비카드 중에서도 광주광역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빛고을카드만 가능하였으며, 다른 지역 마이비카드와 캐시비카드는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광주은행과 롯데정보통신 합작으로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을 개발하여 2011년 한페이카드를 도입하였고, 2013년 7월 19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간 상호 광역 환승제를 도입하게 되면서 캐시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4년 코레일의 레일플러스와 대구의 원패스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티머니는 2016년 1월 30일부터 이용할 수 있다.
- 후불 교통카드는 광주은행, KB, 농협, 롯데, BC, 삼성, 신한, 외환, 하나, 현대카드가 사용된다.
-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요금 지불 시 성인은 "감사합니다", 청소년은 "반갑습니다", 어린이는 "안녕하세요"라는 멘트가 나온다.
환승제도
[편집]광주광역시의 시내버스 환승제도는 2004년 10월 10일에 최초로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최초 승차 후 1시간 이내에 환승할 경우 무임으로 환승이 가능, 횟수 제한은 1회였으나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는 환승이 불가능하였다. 그 후 2006년 12월 21일부터 마을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에도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환승횟수 제한 없음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 환승제도는 광주광역시 차적의 시내버스 노선과 광주 도시철도만 해당되었으며 광주광역시 지역을 운행하는 전라남도 차적의 타 지역 시내버스는 환승할 수 없었고, 승차 후 1시간 이내에 환승해야 했기 때문에 장시간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환승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2013년 7월 19일부터 광주광역시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15] 광역환승할인제를 시행하게 되면서 환승 방식이 최초 승차 1시간 이내에서 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 또한 범위도 인근 전라남도의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가 포함되어 이들 버스 노선도 환승할인 혜택을 받게 되었다. 새로 시행된 광역환승할인제를 이용할 때 다음 사항을 주의하여야 한다.
- 환승은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 기존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광주 도시철도, 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간 환승은 시내환승이 되어 횟수 제한이 없으며, 무임 환승이 그대로 적용된다.
-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인근 전라남도 지역의 시내버스·농어촌버스 간 환승 시 광역환승이 되어 1회만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 광역환승할 경우 운임이 50% 할인되어 성인은 630원, 청소년은 400원, 초등생은 200원이 지불된다.
- 광역환승 및 시내환승을 할 때는 반드시 내리기 전에 하차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어야 한다.
- 광주광역시 차적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를 이용하고 최종으로 내려 환승하지 않을 때는 하차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지 않아도 된다.
- 시계외운임은 환승할인 대상이 아니므로 추가운임은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
-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광주광역시 시 경계 내일 때는 전라남도 농어촌버스와 광역환승이 불가능하여 새로 운임을 지불하게 된다.
- 이용하는 교통수단 간의 기본운임 차이가 날 경우 이용하는 교통수단 중 가장 높은 운임을 기본운임이 지불된다.
- 광역환승 후 버스에서 내릴 때 교통카드를 찍지 않고 내릴 경우 할인받았던 운임이 페널티 운임이 되어 다음 승차 시 추가로 지불하게 된다.
운영 업체
[편집]2016년 5월 기준이다.[17]
운행업체 | 면허 대수 | 주소 | 면허 일자 | |||
---|---|---|---|---|---|---|
대수 합계 |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 | 시외버스 | |||
대원버스 | 67 | 67 | - | - | 서구 유덕로51번길 6 | 2004년 10월 29일 |
대진운수 | 55 | 55 | - | - | 북구 하서로 768 | 1985년 6월 5일 |
대창운수 | 334 | 334 | - | - | 북구 첨단과기로 240 | 1966년 1월 20일 |
동화운수 | 70 | 70 | - | - | 동구 남문로 333 | 1989년 2월 28일 |
라정버스 | 55 | 55 | - | - | 광산구 평동산단외로 185 | 1992년 6월 1일 |
삼아교통 | 53 | 53 | - | - | 광산구 동곡로 411-7 | 1987년 2월 28일 |
세영운수 | 75 | 75 | - | - | 남구 송암로98번길 11 | 1980년 3월 3일 |
을로운수 | 185 | 185 | - | - | 남구 송암로24번나길 12 | 1954년 9월 23일 |
삼원운수 | 60 | 60 | - | - | 북구 불태3로 3 | 1954년 9월 23일 |
현대교통 | 82 | 82 | - | - | 광산구 동곡로 411-7 | 1966년 3월 3일 |
총 10개 업체 | 998 | 998 |
각주
[편집]- ↑ 마을버스를 포함하면 115개 노선이다.
- ↑ 이 중 좌석02번은 급행좌석버스이다.
- ↑ '광주시내버스 공동배차 및 농어촌버스 개선방안 연구' 2004년 12월, 광주전남발전 연구원 정하욱 연구위원 작성
- ↑ 송정196번으로 당시 555번이였다.
- ↑ 광주 천연가스 시내버스 첫선 Archived 2014년 8월 26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2001년 6월 8일 작성.
- ↑ 광주시내 좌석버스 7월부터 리무진형 교체 Archived 2014년 8월 26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2003년 5월 29일 작성.
- ↑ 광주시내버스 준공영제 21일부터…카드 한장에 환승 OK, 서울신문, 2006년 12월 14일 작성.
- ↑ ‘55년 광주의 발’ 삼양버스 퇴장 Archived 2014년 10월 14일 - 웨이백 머신, 한겨레, 2009년 1월 8일 작성.
- ↑ 현대교통, 을로운수에서 인수, 광주드림, 2012년 9월 7일 작성.
- ↑ 을로운수, 현대교통, 삼아교통은 순천교통 계열사다.
- ↑ 준공영제 시행 이전부터 공영노선이었다.
- ↑ 228번은 2·28 대구 학생의거에서, 419번은 4·19 혁명에서, 518번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 1187번은 무등산의 해발 고도에서 그 번호를 따온것이다.
- ↑ “혁신도시~광주 버스노선 신설 광주-나주시 지루한 줄다리기”. 전남일보. 2015년 2월 18일.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 - 버스운임안내”. 2007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나주, 장성, 화순, 담양 등
- ↑ 광주시 교통카드 도입 시행 첫날 표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연합뉴스, 2004년 10월 10일 작성.
- ↑ 광주조합 업체현황 Archived 2016년 3월 30일 - 웨이백 머신, 전국버스운송조합, 2016년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