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평옹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8.32.172.117 (토론)님의 2014년 5월 3일 (토) 03:01 판

화평옹주(和平翁主, 1727년 6월 16일 (음력 4월 27일)~ 1748년 7월 19일 (음력 6월 24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영조의 서녀이다.

생애

1727년, 4월 27일(양력 6월 16일) 창경궁 집복헌(集福軒)에서 영빈 이씨(暎嬪 李氏) 소생으로 태어났으며 사도세자에게는 친누나에 해당한다. 1731년(영조 7) 마마를 앓아 영조가 모든 형의 집행을 정지시켰다. 1738년(영조 14) 12세의 나이에 예조참판 박사정(朴師正)의 아들인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에게 하가하였는데, 옹주는 평소 영조의 총애를 받아 그 의물이 매우 성대하였으며, 혼례를 치른 후에도 남편과 함께 궐 안에서 생활하였다. 1748년 6월 24일 22세의 나이로 요절하였고 영조가 그 죽음을 매우 슬퍼하였다.

임금이 화평 옹주(和平翁主)의 집에 행행하였다. 옹주는 곧 임금의 둘째 딸로 영빈(暎嬪) 이씨(李氏)의 소생이었다. 임금이 매우 사랑하였는데,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에게 하가(下嫁)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병이 위독했으므로, 가인(家人)을 시켜 아뢰기를,“병이 위독하여 다시 천안(天顔)을 모실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하자, 임금이 갑자기 행행하였다. 일이 갑작스러운 데에서 나왔으므로 백관(百官)이 미처 다 모이지 못한 탓으로 여위(輿衛)가 미비하여 의장(儀仗)을 이룰 수가 없었다. 옹주가 곧 이어 졸하자 임금이 매우 슬퍼하였으며, 빈소(殯所)에 임어하여서는 통곡하면서 슬픔을 스스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날씨가 매우 무더웠는데 밤새도록 환궁하지 않자, 대신과 여러 신하들, 정원(政院)이 누차 접견하게 해줄 것을 청하였으나, 인대(引對)를 허락하지 않고 앉아서 밤을 새웠다. 염습(殮襲)할 때 친림(親臨)하였으며, 일등(一等)으로 호상(護喪)하라고 명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67권, 1748년(영조 24)

영조는 화평옹주의 죽음을 슬퍼함이 지나치다고 신하들이 간하자, 노하여 그들을 파직시켰으며, 화평옹주의 장례를 성대히 치르게 하여 분묘를 만드는 데만도 수 개월이 소요되었다.[1] 화평옹주의 무덤은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에 있다. 1790년(정조 14)에 영조의 친필로 비문을 쓴 묘비가 세워졌다.

가족 관계

관련 항목

주석

  1. 《조선왕조실록》영조실록 68권, 1748(영조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