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종 (고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21.140.170.251 (토론)님의 2014년 5월 8일 (목) 23:18 판
고려 원종
高麗 元宗
고려 제24대 국왕
재위 1259년 ~ 1274년
전임 고종
후임 충렬왕
부왕 고종
이름
왕정(王禎)
초명 왕전(王倎), 왕식(王植)
신상정보
부친 고종
모친 안혜왕후
배우자 정순왕후
종교 불교

원종(元宗, 1219년 4월 5일 (음력 3월 19일) ~ 1274년 7월 23일 (음력 6월 18일)은 고려 제24대 국왕(재위: 1259년~1274년)이다. 초명은 전(倎), 나중에 식(植)으로 개명하였고, 는 정(禎), 는 일신(日新),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경왕(忠敬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순효대왕(順孝大王)이다. 고종과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는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靜順王后)인데, 이후 충렬왕이 순경태후(順敬太后)로 추존했다. 능은 소릉(韶陵)이다.

고려 역대 제왕 중 묘호를 사용한 마지막 황제이며, 이후에는 원나라의 간섭으로 쓰지 못하였다. 그리고 왕의 시호 앞에 글자는 원나라의 충성을 맹세하는 증거인 "충(忠)"자를 넣어야 했다. 그리고 이때 이후로 ""은 "고" 또는 "과인"으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선지"는 "왕지"로 명칭이 격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관직 용어들의 명칭들도 모두 격하되었다.

생애

원종(元宗)은 고종 22년(1235)에 태자가 되었으며, 고종 46년(1259) 강화를 맺기 위해 (元)에 갔다가 그해 고종이 죽자 이듬해 귀국하여 즉위했다.

1259년부터 127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1259년부터 1268년까지 김준(金俊)이 실권하였고 1268년부터 1269년까지 친정을 하였으며 1269년 안경공 왕창(安慶公 王淐)이 실권 탈취를 기도를 했다가 실패한 바 있고 1269년부터 1270년까지 임연(林衍)이 실권을 맡았으며 1270년 임유무(林惟茂)가 잠시 실권하였고 1270년부터 1274년까지 다시 친정을 하였다.

최씨무인정권의 종료

원종의 비 정순왕후최우(崔瑀, ←최충헌의 아들)의 외손녀이다. 최우의 자녀인 최항(崔沆)과 김약선의 처 우봉 최씨(牛峰崔氏)는 남매지간이며, 최항의 아들 최의(崔竩)와 김약선의 처 우봉 최씨(牛峰崔氏)의 딸 정순왕후는 고종사촌이다. 고종 45년(1258) 전전승지 김준(金俊, 초명은 金仁俊)과 대사성 유경(柳璥), 추밀원사 최온(崔昷) 등이 삼별초를 이끌고 최의의 집에 쳐들어가 최의를 살해함으로써 최씨무인정권이 종료되었다.

무신정권의 종료

원종 9 년(1268) 무신들을 경계하여 임연으로 하여금 실권자인 김준을 죽이게 했으나, 뒤를 이어 집권한 임연과 또다시 대립하였다. 원종 10년(1269) 임연에 의해 폐위되었으며, 원종 11년(1270)에 임연의 아들 임유무가 집권하자 원의 요구로인해 개경 환도를 추진하였으나 임연의 아들 임유무가 크게 반대하였다. 이에 원종송송례(宋松禮)와 어사중승 홍문계(洪文系)를 시켜 제거함으로써 무신정권이 종료되고, 다시 친정을 하게되었다.

원종의 친원정책

원종은 태자시절에 원를 방문한 이후 줄곧 친원 정책을 펴며 몽고의 요구대로 적극적으로 개경환도를 추진하고 있었다. 하지만 김준은 개경환도 이후에 원의 입김이 강해지면 자연스럽게 자신의 입지가 좁아진다는 판단에 따라 되도록 개경환도를 늦추고 있었다. 이미 조정에 대한 원의 압력이 극도에 달해 있었고 조정 대신들 역시 태반이 친원 세력으로 교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원의 동녕부 설치

원종 10년(1269) 최탄(崔坦) 등이 서경(西京, 평양)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자비령(연탄군·봉산군) 이북의 서해도 6성(평안도지역)과 함께 원에 투항하자, 원은 서경(평양)에 동녕부를 두고 서해도 6성(평안도지역)을 직할통치하였으며 원나라와 국경이 되었다. 이지역은 나중에 충렬왕시기(1290)에 회복되었다.

원과의 전쟁종료와 강화

원종이 태자시절에 고종 46년(1259)에 원나라의 4대칸인 몽케가 죽자 아리크 부케(카라코룸과 몽고서부세력: 오이라트부)와 쿠빌라이(대도:북경, 몽고동부세력)가 대립하였고 이에 원종은 쿠빌라이를 지지하였고, 이해에 고종이 죽자 원종이 왕위에 오를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후에 쿠빌라이가 5대칸으로 즉위(원 세조)하자 고려의 풍습을 지켜내고 유지할 수 있는 불개토풍(不改土風), 즉 고려는 원의 속국이 되더라도 고유한 풍습을 고치지 않아도 된다는 선언을 얻어내었다.

삼별초의 항쟁

개경으로 환도한 후 삼별초의 해산을 명령하자 배중손(裵仲孫)을 중심으로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다. 원종 14년(1273)에 이들의 반란은 제주 삼별초를 끝으로 여·몽 연합군에 의하여 평정되었다.

왜구 정벌

탐라에 다루가치 총관부를 둔 원나라로부터 일본 원정을 위한 전함 300척을 만들라는 요청을 받았다. 원종 15년(1274)에 고려-원 연합군은 일본 정벌에 나섰다.

제주도에서 말을 기르게 된 것은 고려 원종 때 원나라에서 제주도에 목장을 설치하고, 충렬왕 2년(1276)에 원에서 말 160 마리를 들여오면서부터라고 한다.

가계

  • 고조부: 인종 (仁宗) - 제17
  • 고조모: 공예왕후 (恭睿王后) 임씨(任氏)
    • 종 증조: 의종 (毅宗) - 제18
    • 종 증조: 신종 (神宗) - 제20
      • 재종 조부: 희종 (熙宗) - 제21
  • 증조: 명종 (明宗) - 제19

관련 작품

드라마

기타

원나라로부터 시호를 하사받은 첫 군주였다. 그러나 사망 직후 아들 충렬왕이 바로 묘호를 올렸으므로 묘호가 쓰이고 있다. 그에 이어 아버지 고종에게도 충헌왕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충렬왕은 원나라로부터 세 번째로 시호를 받은 군주였다.

관련 항목

전임
고종
제24대 고려의 제왕
1259년 ~ 1269년
후임
영종
전임
영종
제24대 고려 왕
1270년 ~ 1274년
후임
충렬왕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