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 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환대수학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람다 환(λ環, 영어: λ-ring)은 벡터 공간외대수 연산과 유사한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일련의 연산들이 부여된 가환환이다.

정의[편집]

다항식 Pn, Pm,n[편집]

기본 대칭 다항식

을 정의하자.

다항식

은 다음 성질에 의하여 유일하게 정의되는 정수 계수 다항식이다.[1]:8, §2.1

여기서 다음과 같은 약자를 사용하였다.

람다 환[편집]

람다 환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1]:7, Definition 2.1[2]:§16.4[3]:7, Definition 1.10

  • 가환환
  • 각 자연수(음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함수 . 이들을 람다 연산(영어: th λ-operation)이라고 한다.

이 함수 들은 다음과 같은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합의 람다 연산)
(곱의 람다 연산)
(람다 연산의 합성)

람다 환의 모임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룬다. 두 람다 환 , 사이의 준동형대수 구조로서의 준동형이다. 즉, 환 준동형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2]:§16.4[3]:10, Definition 1.25

람다 환과 람다 환 준동형은 범주 를 이룬다.

애덤스 연산[편집]

코호몰로지 연산의 일종인 애덤스 연산위상 K군으로부터 임의의 람다 환에 대하여 일반화할 수 있다.[1]:§2.2

람다 환 에 대하여, 람다 연산의 생성 함수를 정의하자.[2]:(16.10)[3]:7, (1.7)

그렇다면, 위의 애덤스 연산

은 다음과 같다.[2]:§16.20

즉, 애덤스 연산을 람다 연산으로부터 정의할 수 있으며 반대로 람다 연산을 애덤스 연산으로부터 정의할 수도 있다.

성질[편집]

람다 환 에 대하여, 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 아벨 군준동형을 이룬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3]:7, Proposition 1.13
  • 정수 에 대하여, 이다.

범주론적 성질[편집]

람다 환의 범주에서 가환환의 범주 로 가는 망각 함자

왼쪽 수반 함자오른쪽 수반 함자를 동시에 갖는다.[2]:§16.1

여기서

  • 함자 자유 람다 환(영어: free λ-ring) 함자이다. 이는 람다 환이 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루므로 항상 존재한다.
  • 함자 가환환 위의 람다 환 구조로 대응시킨다.

[편집]

이항환[편집]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환환 이항환(二項環, 영어: binomial ring)이라고 한다.

  • 덧셈군 꼬임 부분군자명군이다. 즉, 표준적 준동형 단사 함수이다.
  • 모든 이항 계수 를 원소로 포함한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가 되는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항환 위에 을 정의한다면, 이는 람다 환을 이룬다.[3]:Theorem 5.3 예를 들어, (한원소 공간 위의 위상 K군[3]:9, Example 1.16) 정수환 는 이항환이며 따라서 람다 환을 이룬다.[3]:6, §1.2.1

이항환의 개념은 모든 애덤스 연산이 항등 함수인 람다 환의 개념과 동치이다.[4]

비트 벡터[편집]

가환환 위의 형식적 멱급수환 속의, 항의 계수가 1인 형식적 멱급수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

을 생각하자. 이는 -곱셈에 대하여 가환 모노이드를 이룬다.

위에 다음과 같은 가환환 및 람다 환 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1]:7, §2[2]:§9.1

  • 의 덧셈은 의 곱셈이다.
  • 의 곱셈은 다음과 같다.[2]:§9.15
  • 의 람다 연산은 다음과 같다.[2]:(16.8)

이 환은 계수의 (큰) 비트 벡터 환 과 동형이다. 비트 벡터는 통상적으로 위에 비트 다항식들을 통해 주어지는 특별한 가환환 구조로 정의된다. 이 경우

는 환의 동형을 정의한다.[2]:(9.22)[3]:Theorem 4.16 이를 아르틴-하세 지수 함수(영어: Artin–Hasse exponential map)라고 한다.

이는 함자

를 정의하며, 이는 망각 함자

오른쪽 수반 함자이다.

대칭 다항식 환[편집]

가산 무한 개의 변수 형식적 멱급수환 을 생각하자. 의 원소는 유한 또는 무한 개의 항들의 합이며, 각 항은 유한 개의 변수 들의 곱이다.

가산 무한 개의 변수 대칭 다항식 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형식적 멱급수이다.[1]:§2.2[2]:(9.38), (9.39)

  • 임의의 순열 에 대하여 이다. (여기서 는 양의 정수의 집합 위의 대칭군이다.)
  • 에 속하는 항들의 계수의 집합은 유계 집합이다 (즉, 상계를 갖는다).

대칭 다항식들의 집합은 부분환을 이루며, 그 모든 원소는 기본 대칭 다항식

들의 유한 곱들의 유한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이 환을 로 표기할 수 있다.

그 위에 다음과 같은 람다 환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2]:§16.65

그렇다면, 는 1변수 정수 계수 다항식환 위의 자유 람다 환이다.[1]:Theorem 2.1[2]:Theorem 16.74 즉, 자유 람다 환 함자 함자 아래 이다. 또한, 아래 임의의 환 준동형

은 다음과 같은 람다 환 준동형이다.

위상 K이론[편집]

파라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위의 위상 K군 는 람다 환을 이룬다.[3]:9, Example 1.16 이 경우 벡터 다발 위의 외대수 이다.

표현환[편집]

유한군 위의 체 계수 표현환 (군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표현들의 반환그로텐디크 구성)은 람다 환을 이룬다.[3]:9, Example 1.17 이 경우, 군의 표현외대수이다.

역사[편집]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1958년에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를 연구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5][2]:§16.1

역사적으로, 으로 정의된 항등식들을 따르는 가환환들은 "특수 람다 환"(영어: special λ-ring)으로 불렸으며, "람다 환"이라는 용어는 이 조건들이 생략된, 더 일반적인 개념을 일컬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후자의 개념은 더 이상 널리 사용되지 않으며, "람다 환"이라는 용어는 특수 람다 환을 일컫는다.[2]:§16.1

참고 문헌[편집]

  1. Hopkinson, John Robert (2006). 《Universal polynomials in lambda rings and the K-theory of the infinite loop space tmf》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지도 교수 Michael J. Hopkins).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수학과. 
  2. Hazewinkel, Michiel (2009). 〈Witt vectors. Part 1〉. Hazewinkel, Michiel. 《Handbook of algebra. Volume 6》 (영어). Elsevier. 319–472쪽. arXiv:0804.3888. Bibcode:2008arXiv0804.3888H. doi:10.1016/S1570-7954(08)00207-6. ISBN 978-0-444-53257-2. MR 2553661. 
  3. Yau, Donald (2010). 《Lambda-rings》 (영어). World Scientific. doi:10.1142/7664. ISBN 978-981-4299-09-1. MR 2649360. 
  4. Elliott, Jesse (2006). “Binomial rings, integer-valued polynomials, and λ-rings”. 《Journal of Pure and Applied Algebra》 (영어) 207 (1): 165–185. doi:10.1016/j.jpaa.2005.09.003. ISSN 0022-4049. MR 2244389. 
  5. Grothendieck, Alexander (1958). “La théorie des classes de Chern”. 《Bulletin de la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프랑스어) 86: 137–154. ISSN 0037-9484. MR 011602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