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선호사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아선호사상자녀를 가질 때 아들을 낳는 것을 선호하는 문화적 관습이다. 과거 아시아 문화권에서 남아선호사상이 지배적이었지만,[1] 현대에는 인도남아시아 문화권에서 남아선호사상이 자주 관찰된다.[2][3] 남아선호사상의 결과 여아낙태, 여아살해 등이 일어나기도 한다.[4][5] 이는 성비 불균형의 원인이 된다.[2][6] 또한 남아선호사상은 여성 어린이여성 청소년들의 사회적 자유를 심각하게 제약하는 원인이 된다.[7]

원인[편집]

인류학적 원인[편집]

농경사회에서는 남성의 노동력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남아가 여아에 비하여 더욱 선호되었다.[8][9]

산업혁명 이후의 산업사회에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올라가면서 남아선호사상이 약해지고 있다.[10] 그러나, 성별추론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들이 많은 기여를 하는 가사노동은 일반적으로 소득을 창출하고 지위를 향상시키는 아들들의 노동만큼 가치가 높지 않다고 여겨지며, 이는 남아선호사상의 간접적 원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11] 이러한 기조는 진화생물학인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12]

종교적 요인[편집]

힌두교,[13] 유교[14] 등의 종교에서는 남아선호사상을 유도하는 종교적 교리가 존재하며, 이러한 종교에 영향을 받은 사회에서는 남아선호사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생물학적 원인[편집]

아무런 개입을 하지 않았을 때 생물학적으로 기대되는 남녀의 성비는 105–106:100으로, 남자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15]

각 나라의 남아선호사상[편집]

대한민국의 남아선호사상[편집]

대한민국에서는 남아선호사상이 21세기에 접어들며 완화되었다.[16] 그러나 대한민국에서 21세기에 급부상한 성별간의 갈등이 과거 20세기의 남아선호사상으로 생겨난 성비 불균형을 원인으로 한다는 분석이 있다.[17]

중국의 남아선호사상[편집]

중국의 전통적인 가부장제 문화의 영향으로 남자 아이에 대한 선호가 있었고, 이는 큰 사회문제로 비화되었다.[18]

인도의 남아선호사상[편집]

인도에서는 광범위하게 여아낙태, 여아살해 등이 일어나며 극심한 성비불균형이 관찰되고, 특히 남아선호의 정도가 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이 관찰되었다.[1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Hank, Karsten; Kohler, Hans-Peter. “Gender Preferences for Children in Europe: Empirical Results from 17 FFS Countries” (PDF). 《Demographic Research》 2 (1). doi:10.4054/DemRes.2000.2.1. 
  2. Edlund, Lena (1999년 12월). “Son Preference, Sex Ratios, and Marriage Pattern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7 (6): 1275–1304. doi:10.1086/250097. 
  3. 우에노 지즈코 (2012년 5월 2일). 나일등, 편집.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ISBN 9788956606217. 
  4. 이상렬; 정원엽 (2015년 11월 28일). “아들만 골라 낳는 중국·인도 짝 못 구한 남성들 범죄 극성”. 《중앙일보.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5. 정봉오 (2016년 9월 9일). “또 딸 임신? 며느리 배에 염산 부은 비정한 시어머니”. 《동아일보.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6. Hesketh, Therese; 외. (2011년 9월). “The consequences of son preference and sex-selective abortion in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CMAJ》 183 (12): 1374–1377. doi:10.1503/cmaj.101368. 
  7. United Nations (2000년 9월 18일).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5/2. United Nations Millennium Declaration” (PDF). 
  8. Wharton, Amy S. (2011년 3월). 《The Sociology of Gende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Wiley. 136쪽. ISBN 978-1-444-39724-6. 
  9. Manfredini, Matteo; 외. (2016). “Son Preference in a Sharecropping Society”. 《Population》 (영어) 71: 641–658. doi:10.3917/popu.1604.0683. 
  10. Lin, Tin-chi (2009년 4월). “The Decline of Son Preference and Rise of Gender Indifference in Taiwan Since 1990”. 《Demogr Res》 (영어) 20: 377–402. doi:10.4054/DemRes.2009.20.16. PMC 3747565. PMID 23970825. 
  11. Eklund, Lisa (2011). “Rethinking Son Preference – Gender, Population Dynamics and Social Change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DF). 《Lund University》 (영어). 
  12. Gorvett, Zaria (2016년 10월 18일). “Why billionaires have more sons”. 《BBC Future》.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13. Arnold, Fred; Choe, Minja Kim; Roy, T. K. (1998). “Son Preference, the Family Building Process and Child Mortality in India”. 《Population Studies》 52 (3): 301–315. doi:10.1080/0032472031000150486. 
  14. Xie, Z (1994). “Regarding men as superior to women: impacts of Confucianism on family norms in China”. 《China Population Today》 11 (6): 12–16. PMID 12290499. 
  15. Grech, Victor; Savona-Ventura, Charles; Vassallo-Agius, P (2002년 4월 27일). “Unexplained differences in sex ratios at birth in Europe and North America”. 《BMJ : British Medical Journal》 324 (7344): 1010–1011. doi:10.1136/bmj.324.7344.1010. PMC 102777. PMID 11976243. 
  16. 디지털뉴스팀 (2015년 11월 27일). “한국은 어떻게 남녀 성비 불균형을 바로잡았나···WSJ “한국의 극적인 변화가 교훈””. 《경향신문.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17. 박선영 (2016년 5월 19일). “[페미사이드 쇼크] 극단 치닫는 女 혐오… “무섭지만 굴하지 않겠다””. 《한국일보.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18. 정윤주 (2015년 10월 15일). “[한컷뉴스] 중국의 '남아선호사상'이 낳은 비극”. 《연합뉴스. 2019년 11월 13일에 확인함. 
  19. Purewal, Navtej K. (2010). 《Son Preference: Sex Selection, Gender and Culture in South Asia》. Oxford/New York: Berg. ISBN 978-1-84520-468-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