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시간의 화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Arthur Stanley Eddington.jpg|섬네일|upright=0.9|[[아서 스탠리 에딩턴]] (1882–1944)]]
[[파일:Arthur Stanley Eddington.jpg|섬네일|upright=0.9|[[아서 스탠리 에딩턴]] (1882–1944)]]
'''시간의 화살'''('''arrow of time''' 또는 '''time's arrow''')는 [[시간]]의 '단방향성' 또는 '[[비대칭성]]'을 가정하는 개념이다. 1927년 영국의 천체 물리학자 [[아서 에딩턴]]이 개발한 개념으로, 아직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해결되지 않은 일반 물리학 문제]]이다. 에딩턴에 따르면 이 방향은 [[원자]]들, [[분자]]들 및 [[물체]]들의 조직을 연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4차원]]적 상대론적 세계 지도("단단한 종이의 블록") 위에 그려질 수 있다고 한다.[1]
'''시간의 화살'''('''arrow of time''' 또는 '''time's arrow''')는 [[시간]]의 '단방향성' 또는 '[[비대칭성]]'을 가정하는 개념이다. 1927년 영국의 천체 물리학자 [[아서 에딩턴]]이 개발한 개념으로, 아직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해결되지 않은 일반 물리학 문제]]이다. 에딩턴에 따르면 이 방향은 [[원자]]들, [[분자]]들 및 [[물체]]들의 조직을 연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4차원]]적 상대론적 세계 지도("단단한 종이의 블록") 위에 그려질 수 있다고 한다.<ref>{{Cite book |last=Weinert |first=Friedel |url=https://books.google.com/books?id=-R4ANHu-csMC&pg=PA143 |title=The Scientist as Philosopher: Philosophical Consequences of Great Scientific Discoveries |date=2004-11-25 |publisher=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978-3-540-21374-1 |page=143 |language=en}}</ref>


시간 역설의 화살표는 원래 1800년대에 기체(및 기타 물질)에 대해 [[열역학]]/[[통계 물리학]]의 [[w:Microscopic scale|미시적(microscopic)]] 설명과 [[거시 규모|거시적]] 설명 사이의 불일치로 인식되었다: [[w:Microscopic scale|미시적(microscopic)]] 수준에서는 물리적 과정이 완전히 또는 대부분 [[시간 역전 대칭|시간 대칭적]]이라고 여겨진다: 만일 시간의 방향이 반대라면, 그것들을 설명하는 이론적 진술은 여전히 참으로 남아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거시적]] 수준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의 방향(또는 ''흐름'')이 분명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시간 역설의 화살표는 원래 1800년대에 기체(및 기타 물질)에 대해 [[열역학]]/[[통계 물리학]]의 [[w:Microscopic scale|미시적(microscopic)]] 설명과 [[거시 규모|거시적]] 설명 사이의 불일치로 인식되었다: [[w:Microscopic scale|미시적(microscopic)]] 수준에서는 물리적 과정이 완전히 또는 대부분 [[시간 역전 대칭|시간 대칭적]]이라고 여겨진다: 만일 시간의 방향이 반대라면, 그것들을 설명하는 이론적 진술은 여전히 참으로 남아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거시적]] 수준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의 방향(또는 ''흐름'')이 분명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2024년 2월 19일 (월) 18:46 판

아서 스탠리 에딩턴 (1882–1944)

시간의 화살(arrow of time 또는 time's arrow)는 시간의 '단방향성' 또는 '비대칭성'을 가정하는 개념이다. 1927년 영국의 천체 물리학자 아서 에딩턴이 개발한 개념으로, 아직 해결되지 않은 일반 물리학 문제이다. 에딩턴에 따르면 이 방향은 원자들, 분자들 및 물체들의 조직을 연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4차원적 상대론적 세계 지도("단단한 종이의 블록") 위에 그려질 수 있다고 한다.[1]

시간 역설의 화살표는 원래 1800년대에 기체(및 기타 물질)에 대해 열역학/통계 물리학미시적(microscopic) 설명과 거시적 설명 사이의 불일치로 인식되었다: 미시적(microscopic) 수준에서는 물리적 과정이 완전히 또는 대부분 시간 대칭적이라고 여겨진다: 만일 시간의 방향이 반대라면, 그것들을 설명하는 이론적 진술은 여전히 참으로 남아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거시적 수준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의 방향(또는 흐름)이 분명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1. Weinert, Friedel (2004년 11월 25일). 《The Scientist as Philosopher: Philosophical Consequences of Great Scientific Discoveries》 (영어).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3쪽. ISBN 978-3-540-21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