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진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4번째 줄: 54번째 줄:


==참고 문헌 ==
==참고 문헌 ==
*{{서적 인용 | 이름= Fernando Q.| 성= Gouvêa| 발행년도= 1997|| 제목= ''p''-adic Numbers : An Introduction| 판= 2판 | 출판사= Springer| isbn= 3-540-62911-4|총서=Universitext|issn=0172-5939|=10.1007/978-3-642-59058-0}}
*{{서적 인용 | 이름= Fernando Q.| 성= Gouvêa| 발행년도= 1997|| 제목= ''p''-adic Numbers : An Introduction| 판= 2판 | 출판사= Springer| isbn= 3-540-62911-4|총서=Universitext|issn=0172-5939|=10.1007/978-3-642-59058-0 | mr = 1488696 }}
*{{서적 인용 | 이름= Alain M.| 성= Robert| 발행년도= 2000| 제목= A Course in ''p''-adic Analysis| 출판사= Springer| isbn= 978-1-4419-3150-4
*{{서적 인용 | 이름= Alain M.| 성= Robert| 발행년도= 2000| 제목= A Course in ''p''-adic Analysis| 출판사= Springer| isbn= 978-1-4419-3150-4
| doi = 10.1007/978-1-4757-3254-2 | 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198|issn=0072-5285}}
| doi = 10.1007/978-1-4757-3254-2 | 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198|issn=0072-5285|mr=1760253}}
* {{서적 인용 |last=Koblitz |first=Neal |year=1996 |title=''p''-adic Numbers, ''p''-adic Analysis, and Zeta-Functions |edition=2판 |publisher=Springer |isbn= 978-1-4612-7014-0|series=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58|issn=0072-5285|날짜=1984|doi=10.1007/978-1-4612-1112-9|mr=0754003}}
*{{서적 인용 | 이름= Lynn Arthur| 성= Steen| 발행년도= 1978| 제목= Counterexamples in Topology| 출판사= Dover| id= ISBN 0-486-68735-X}}
*{{서적 인용 | 이름= Lynn Arthur| 성= Steen| 발행년도= 1978| 제목= Counterexamples in Topology| 출판사= Dover| id= ISBN 0-486-68735-X}}



2013년 7월 22일 (월) 17:12 판

수론에서, p진수(p進數, p-adic number)는 유리수의 체를 마치 어떤 소수 p에 대한 로랑 급수처럼 해석하여 완비시켜 얻는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의의 소수 p에 대해, p진수들을 전부 모은 p진체 Qp는 유리수체 Q완비화이다. 또한 Qp에는 p진 부치(valuation)가 주어져 있기에 거리공간이 되며 따라서 위상공간이기도 하다. 이 거리공간은 완비(즉, 모든 코시 수열이 수렴한다)이며, 그렇기에 Qp 상에서 마치 실수체 R 상에서와 같은 해석학을 전개할 수 있는 것이다. p진법 체계의 유용성은 상당 부분 이와 같은 대수적 구조와 해석적 구조 사이의 상호 연관성에서 나온다.

개론

유리수체 는 표준 노름 에 대하여 완비 거리공간을 이루지 않는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코시 수열들의 동치류들을 취하여 이를 완비화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여 실수체 을 얻는다. 유리수체의 표준 노름은 매우 유용하지만, 원하면 유리수체에 다른 노름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노름에 대하여 완비화하면 다른 체를 얻게 된다. p진수는 이렇게 정의되는 체 가운데 하나다.

수론에서, 유리수들을 어떤 주어진 소수 p에 대한 형식적인 단항식으로 취급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모든 0이 아닌 유리수는 (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음)의 꼴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는 "변수" 에 대한 단항식 또는 와 유사하게 생각할 수 있다. 이제, 를 일종의 무한소로 취급하면, 의 인수를 더 많이 포함할 수록 더 "작고", 의 인수를 더 많이 포함할 수록 더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수체 위에 의 인수를 더 많이 포함할 수록 더 노름이 작아지는 노름을 정의할 수 있다. p진체는 유리수체를 이 노름에 대하여 완비화한 체이다.

역사

쿠르트 헨젤1897년수론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 원래 수론에서 도입되었지만, 오늘날 p진수는 초기의 목적에 비해 훨씬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p진 해석학미적분학의 p진법 버전이라 할 수 있다.

정의

소수라고 하자. 유리수체 에 다음과 같은 노름 를 정의할 수 있다.

()

(모든 0이 아닌 유리수는 와 같은 꼴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 노름을 p진 노름(영어: p-adic norm)이라고 한다.

유리수체 를 이 노름에 대하여 완비시켜 얻는 체를 p진체 라고 하며, 그 원소를 p진수라고 한다.

p진 복소수

p진 복소수체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p진체 완비 거리공간이지만 대수적으로 닫힌 체가 아니다. 그 대수적 폐포를 취하여, 대수적으로 닫힌 체 를 얻을 수 있다.
  2. 대수적 폐포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지만 완비 거리공간이 아니다. 그 완비화를 취하여, 라는 체를 얻는다. 이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자 완비 거리공간이다. 이를 p진 복소수체로 정의한다.

성질

p진 노름

p진 노름은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아래에서, 는 임의의 유리수다.

이는 모든 노름들이 만족시키는 =삼각부등식 보다 더 강한 조건이다.
  • 의 표준 노름을 라고 쓰자. 그렇다면,
이다.

p진체

p진체 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킨다.

  • 집합의 크기이다. 즉, 실수체의 크기와 같다.
  • 유리수체를 부분체로 가지는 이다. 그 체의 표수는 0이다.
  • 는 순서 구조를 가하여 순서체로 만들 수 없다.
  • 위상공간으로서, p진체 국소 컴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지만, 컴팩트하지 않다.

p진 복소수체

p진 복소수체 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시킨다.

  • 는 대수학적으로 표준 복소수체 와 동형이다. 즉, 에 비표준 노름을 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따라서, 이며, 대수적으로 닫힌 체임을 일 수 있다.
  • 위상공간으로서, 하우스도르프 공간이지만 국소 컴팩트하지 않다.

참고 문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