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K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인터위키 삭제
29번째 줄: 29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 {{저널 인용|제목=18 Lectures on K-Theory|이름=Ioannis P.|성=Zois|id={{arxiv|1008.1346}}. {{bibcode|2010arXiv1008.1346Z}}|날짜=2010-08}}
* {{저널 인용|제목=18 lectures on K-Theory|이름=Ioannis P.|성=Zois|id={{arxiv|1008.1346}}. {{bibcode|2010arXiv1008.1346Z}}|날짜=2010-08}}
* {{책 인용|장=Algebraic v. topological K-theory: a friendly match|이름=Guillermo|성=Cortiñas

|제목=Topics in algebraic and topological K-theory|기타=Springer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2008|쪽=103–165|doi=10.1007/978-3-642-15708-0_3|id={{arxiv|0903.3983}}. {{bibcode|2009arXiv0903.3983C}}|isbn=978-3-642-15707-3|출판사=Springer|위치=Berlin|날짜=2011}}
[[분류:대수적 위상수학]]
[[분류:대수적 위상수학]]
[[분류:K이론]]
[[분류:K이론]]

2013년 3월 13일 (수) 02:46 판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위상 K이론(topological K-theory)은 위상공간 위의 벡터다발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보다 일반적인 K이론의 특수한 경우다. 마이클 아티야프리드리히 히르체브루흐가 창시하였다.

정의

컴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고,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K군(K-group) 위의 -벡터다발들의 그로텐디크 군이다. 보통 실수 K군은 , 복소 K군은 라고 쓴다. 여기서 O, U는 직교군(orthogonal group)과 유니터리 군(unitary group)의 이름의 약자이다. K군은 그로텐디크 군이므로 아벨 군이다. 또한, 벡터다발텐서곱을 통하여 K군은 (곱셈 단위원을 가진) 가환환을 이룬다.

이제부터는 첨자 를 암묵적으로 생략한다.

가 점 를 갖추었다고 하자 (pointed space). 그렇다면 축소 K군(reduced K-group) 는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준동형사상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다.

벡터다발의 차원에 해당하는,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사상이 존재한다.

여기서 는 정수 계수를 가지는 체흐 코호몰로지다. 만약 연결공간이라면 이다. 이 경우 이며, 벡터공간 차원 벡터다발들이 이루는 그로텐디크 군이다.

성질

펑터성

연속함수 가 주어지면, 이에 따라 선형변환 가 존재한다. 이는 반변펑터를 이룬다.

분류공간

  • 은 무한차원 실수 벡터 공간에서 원점을 지나는 차원 부분공간들의 공간(그라스만 공간)이다. 이 경우 이다. 여기서 연속함수들의 집합이다. 마찬가지로, 은 무한차원 복소 힐베르트 공간에서 원점을 지나는 복소 차원 부분공간들의 공간이며, 이다. 즉, 분류공간(classifying space)은 이며, 의 분류공간은 이다.

보트 주기성

보트 주기성(Bott periodicity)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