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악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篪)는 가로로 부는 한국 전통 관악기이다.

수서 동이전에 의하면 백제악에 지가 악기로 등장[1] 하고, 삼국사기에도 백제의 관악기로 "적, 도피필률, 각, 우, 지"등이 있다고 소개[2] 되어 있어 백제의 관악기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6세기경 백제 음악에 사용됐던 고, 각, 공후, 쟁, 우, 지, 적 가운데 고, 각을 제외한 나머지 다섯 악기는 남조 음악을 대표하는 청상악에서 쓰인 악기들과 일치하므로, 백제 음악이 남조 음악을 수용했다고 볼 수 있다.[3] 그러므로, 지는 남조에서 기원한 악기이다.

가로로 부는 악기는 오른쪽 끝에 지공보다 크게 둥근 취구를 파는 것이 일반적인데, 지는 둥글게 판 구멍에다가 세로로 부는 악기의 취구 모양을 만들어 꽂는다. 또, 취구 반대편 끝의 막혀 있는 부분을 다른 지공과 달리 십자 모양으로 구멍을 판 점도 특이하다. 음역은 편종이나 편경과 같이 12율 4청성을 낸다.[4] 다섯 개의 지공 가운데 제1공은 관의 옆면에 뚫고 나머지는 관의 윗면에 뚫는다. 음색은 부드럽지만, 음량이 약한 편이다. 지금은 문묘제례악에서만 쓴다.[5]

각주[편집]

  1. 곽영효 편저 (1999년 6월 5일). 《한국의 전통음악 제1편 국악이론 美》. 서울: 국악춘추사. 186쪽쪽. 
  2. 김성혜 (2006년 10월 20일). 《신라음악사 연구》. 서울: 민속원. 174쪽쪽. 
  3. 송방송 (1984년 3월 5일). 《한국음악통사》. 서울: 일조각. 56~57쪽쪽. 
  4. 장사훈 (1985년 10월 5일). 《최신 국악총론》.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219~220쪽쪽. 
  5. 권오성 (1999년 2월 27일). 《한민족음악론》. 서울: 학문사. 271쪽쪽.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