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악기)
소금(小笒, 영어: sogeum, sogum 또는 sogŭm)은 한국의 전통 관악기 중의 하나이다. 향악기로 분류되며, 대금, 중금과 함께 신라삼죽(新羅三竹)에 속하는 악기이다.
기원과 역사[편집]
《삼국사기》에 따르면, 소금을 비롯한 신라삼죽은 '신라에서 기원된 것으로 누가 만든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1]
《악학궤범》 이후의 문헌에는 소금이라는 이름이 나타나 있지 않는데, 이는 당악기의 하나인 당적과 형태와 음이 비슷하여 당적에 자리를 넘겨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이후 1950년대 초 국악사양성소의 교과 과정 속에서 소금이라는 이름이 재생되었다.[2]
이용과 편성[편집]
소금은 〈보허자〉, 〈낙양춘〉과 같은 당악과 〈보태평〉, 〈정대업〉등의 당악계 음악 및 〈여민락〉, 〈수제천〉과 같은 향악의 합주에 편성된다.
현대 음악에서는 특유의 영롱한 소리 때문에 각종 창작국악에 널리 이용된다.
형태[편집]
재질은 주로 대나무이다.현대에는 제작의 편의 및 보급을 위해 플라스틱으로 만들기도 한다.
플루트와 흡사하며,길이는 재료로 삼은 대나무에 따라 다르나 약 40cm가량 되며, 취구(吹口)가 있는 쪽 끝은 막혀 있다.
지공은 모두 6개이며 음정의 조절을 위하여 끝에 칠성공을 파기도 한다.
-현재의 전문가들은 창작곡을 연주 할때에는 정악곡을 할 때의 소금보다 얇은 관대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줄곧 쓰던 소금보다 좀 더 높은음을 자유 자재로 연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역[편집]
소금의 음역은 임종(林: B♭)부터 중청남려(㵜: C〃)까지이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
이 글은 악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한국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