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주 정역
보이기
가환대수학에서 베주 정역(Bézout整域, 영어: Bézout domain)은 베주 항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역이다.
정의
[편집]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왼쪽 베주 환(영어: left Bézout ring)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베주 환(영어: right Bézout ring)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가환환의 경우 왼쪽·오른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정역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정역을 베주 정역이라고 한다.
- 왼쪽 베주 환이다.
- 오른쪽 베주 환이다.
- (베주 항등식) 임의의 에 대하여, 최대공약수 가 존재하며, 또한 인 가 존재한다.
- 모든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국소화 가 값매김환이다.
-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하여, 국소화 이 값매김환이다.
성질
[편집]베주 정역은 최대공약수 정역(영어: GCD domain)이자 프뤼퍼 정역(영어: Prüfer domain)이다.
가환환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 주 아이디얼 정역이다.
- 베주 정역이며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다.
- 베주 정역이며 뇌터 환이다.
가환환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가군
[편집]오른쪽 베주 환 위에서, 꼬임 없는 왼쪽 가군의 개념은 평탄 왼쪽 가군과 일치한다.[1]:§1[2]:128, Proposition 4.20 (여기서, 꼬임 없는 왼쪽 가군 은 임의의 에 대하여 인 것이다.) 반대로, 왼쪽 베주 환 위에서, 꼬임 없는 오른쪽 가군의 개념은 평탄 오른쪽 가군과 일치한다.
예
[편집]모든 대수적 정수의 정역은 베주 정역이지만, 뇌터 환이 아니며 유일 인수 분해 정역도 아니다.
각주
[편집]- ↑ Hattori, Akira (1960). “A foundation of torsion theory for modules over general rings”. 《Nagoya Mathematical Journal》 (영어) 17: 147–158. ISSN 0027-7630. MR 0137745. Zbl 0117.02202.
- ↑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외부 링크
[편집]- “Bezout ring”.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Definition and basic properties of Bezout domains”.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1월 4일.
- “Exhibit a Bezout domain that is not a PID”. 《Project Crazy Project》 (영어). 2010년 12월 22일.
- “Definition: Bézout domain”. 《ProofWiki》 (영어).
- “Bezout ring”. 《CommAlg》 (영어).
- “Bezout domain”. 《CommAlg》 (영어).
- “Bezout implies gcd”. 《CommAlg》 (영어).
- “Gcd not implies Bezout”. 《CommAlg》 (영어).
- “What is the divisibility theory for Bezout domains?” (영어). Math Over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