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H-975 충무공이순신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DDH-975 충무공 이순신 | |
---|---|
![]() 림팩 2004 훈련에 참가중인 DDH-975 충무공 이순신함 | |
대략적인 정보 | |
함명 | 충무공 이순신 |
함종 | 구축함 |
함번 | DDH-975 |
제작 | 대우조선해양 |
운용 | ![]() |
진수 | 2002년 5월 22일 |
배치 | 2003년 12월 1일 |
일반적인 특징 | |
배수량 | 4400t(만재 5520t) |
전장 | 150m[1] |
선폭 | 17.4m[2] |
흘수 | 7.3m[3] |
추진 | CODAG, GE LM2500 (58,200 hp) *2 |
속력 | 29노트 |
항속거리 | 10,200km (5,500 해리)[4] |
승조원 | 300명[5] |
무장 | 5인치 함포 *1 골키퍼 CIWS *1 21연장 RAM 발사기 *1 SM-2 블럭3A *32 4연장 해성 미사일 발사기 *2 3연장 청상어 어뢰발사관 *2 천룡 순항 미사일 (국산 토마호크) 홍상어 (국산 ASROC) |
탐지 장비 | AN/SPS-49(V)5 시그널 MW-08 해상감시레이다 대우 SPS-95K I밴드 항법레이다 시그널 STIR 240 화력관제레이다 *2 ATLAS DSQS-21BZ 함수소나 SQR-220K 흑룡 예인 소나 |
전자전 | SLQ-200(V)K SONATA K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SLQ-261K TACM |
항공장비 | Mk.99A 슈퍼링크스×2 |
DDH-975 충무공 이순신(DDH-975忠武公李舜臣)은 대한민국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제1번함이다. 천룡 순항 미사일을 운용할 수 없다.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방공 구축함이자 원거리 작전 능력을 보유한 차세대 주력 구축함이다.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구축함이다. 또한, 캐나다 헬리팩스급에 적용된 적외선 감소설계를 도입했다고 한다. 왕건함부터는 Batch-II로 나뉘며, 국산 ASROC이 장착된다.
명칭의 유래[편집]
이 함선의 이름인 충무공 이순신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일본 수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한 조선 중기의 무관 이순신에서 유래되었다.
최초의 SM-2 발사[편집]

무인표적기 BQM-74E Chukar가 구축함에서 발사되고 있다
림팩 2004에 참가한 충무공이순신함은 대한민국이 도입한 SM-2 미사일을 최초로 발사했다.[6][7]
- 2004년 7월 29일 - 20km 거리에서 450노트(마하 0.68) 속도로 접근하는 BQM-74E를 격추했다.
- 2004년 7월 31일 - 113km 거리에서 450노트(마하 0.68) 속도로 접근하는 BQM-74E를 격추했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