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포뮬러 원 시즌
보이기




2012년 포뮬러 원 시즌은 63번째 FIA 포뮬러 원 시즌이다. 3월 18일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로 시작된 시즌은 11월 25일 브라질 그랑프리까지 총 20라운드로 진행되었다. 이 중에는 5년 만에 포뮬러 원에 복귀한 미국 그랑프리와 2011년 바레인 봉기로 취소되었던 바레인 그랑프리가 포함되었다.
시즌 초반은 일곱 개의 그랑프리에서 각기 다른 일곱 명의 선수가 우승하는 혼전이 펼쳐졌다.[1] 매 그랑프리마다 바뀌던 우승자는 유럽 그랑프리에서 페르난도 알론소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면서 끝났다.[2] 알론소는 이후 독일 그랑프리 우승과 영국, 이탈리아, 싱가포르 그랑프리 포디엄에 힘입어 드라이버 챔피언십 선두를 달렸다. 그러나 알론소는 벨기에와 일본 그랑프리에서 경기 시작 직후 리타이어하면서 드라이버 챔피언십 전년도 우승자인 제바스티안 페텔에게 추격을 허용하였고, 이들의 점수는 열여섯번째 그랑프리인 한국 그랑프리에서 역전된다. 이후 페텔은 선두 자리를 시즌 끝까지 유지하여, 2013년 시즌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3] 페텔은 이 시즌을 우승으로 마감하며 드라이버 챔피언십 3회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도 세웠는데, 이는 포뮬러 원 60년 역사상 세 번째로 달성한 것이다. 또한 페텔과 웨버의 성적에 힘입어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타이틀은 레드불 레이싱이 3년 연속으로 획득하였다.
라운드 목록
[편집]라운드 | 경기 이름 | 그랑프리 | 서킷 | 날짜 |
---|---|---|---|---|
1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오스트레일리아 GP | ![]() |
3월 18일 |
2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 말레이시아 GP | ![]() |
3월 25일 |
3 | 중화인민공화국 그랑프리 | 중화인민공화국 GP | ![]() |
4월 15일 |
4 | 바레인 그랑프리 | 바레인 GP | ![]() |
4월 22일 |
5 | 스페인 그랑프리 | 스페인 GP | ![]() |
5월 13일 |
6 | 모나코 그랑프리 | 모나코 GP | ![]() |
5월 27일 |
7 | 캐나다 그랑프리 | 캐나다 GP | ![]() |
6월 10일 |
8 | 유럽 그랑프리 | 유럽 GP | ![]() |
6월 24일 |
9 | 영국 그랑프리 | 영국 GP | ![]() |
7월 8일 |
10 | 독일 그랑프리 | 독일 GP | ![]() |
7월 22일 |
11 | 헝가리 그랑프리 | 헝가리 GP | ![]() |
7월 29일 |
12 | 벨기에 그랑프리 | 벨기에 GP | ![]() |
9월 2일 |
13 | 이탈리아 그랑프리 | 이탈리아 GP | ![]() |
9월 9일 |
14 | 싱가포르 그랑프리 | 싱가포르 GP | ![]() |
9월 23일 |
15 | 일본 그랑프리 | 일본 GP | ![]() |
10월 7일 |
16 | 대한민국 그랑프리 | 대한민국 GP | ![]() |
10월 14일 |
17 | 인도 그랑프리 | 인도 GP | ![]() |
10월 28일 |
18 | 아부다비 그랑프리 | 아부다비 GP | ![]() |
11월 4일 |
19 | 미국 그랑프리 | 미국 GP | ![]() |
11월 18일 |
20 | 브라질 그랑프리 | 브라질 GP | ![]() |
11월 25일 |
선수 목록
[편집]번호 | 이름 | 팀 | 포인트 |
---|---|---|---|
1 | ![]() |
![]() |
281 |
2 | ![]() |
![]() |
179 |
3 | ![]() |
![]() |
188 |
4 | ![]() |
![]() |
190 |
5 | ![]() |
![]() |
278 |
6 | ![]() |
![]() |
122 |
7 | ![]() |
![]() |
49 |
8 | ![]() |
![]() |
93 |
9 | ![]() |
![]() |
207 |
10 | ![]() |
![]() |
96 |
10 | ![]() |
![]() |
0 |
11 | ![]() |
![]() |
46 |
12 | ![]() |
![]() |
63 |
14 | ![]() |
![]() |
60 |
15 | ![]() |
![]() |
66 |
16 | ![]() |
![]() |
10 |
17 | ![]() |
![]() |
16 |
18 | ![]() |
![]() |
45 |
19 | ![]() |
![]() |
31 |
20 | ![]() |
![]() |
0 |
21 | ![]() |
![]() |
0 |
22 | ![]() |
![]() |
0 |
23 | ![]() |
![]() |
0 |
24 | ![]() |
![]() |
0 |
25 | ![]() |
![]() |
0 |
각주
[편집]- ↑ Autosport (2012년 6월 10일). “Hamilton becomes seventh winner in seven races in the Canadian Grand Prix”. 2013년 3월 14일에 확인함.
- ↑ Autosport (2012년 6월 24일). “Alonso becomes first double winner in 2012 with superb European GP victory”. 2013년 3월 14일에 확인함.
- ↑ Autosport (2012년 11월 25일). “Brazilian GP: Vettel is champion as Button wins thrilling race”. 2013년 3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