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후보 경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이런 내용은 경과에 써도 됩니다. 굳이 상단에 노출시킬 필요가 없을 거같네요.
태그: 되돌려진 기여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47번째 줄: 47번째 줄: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은 2022년 3월 9일에 실시될 예정인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입후보할 [[국민의힘]]의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이다.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은 2022년 3월 9일에 실시될 예정인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입후보할 [[국민의힘]]의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이다.

2021년 8월 30일 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경선 일정이 시작되었다. 30일, 31일 실시된 후보 등록에 15명이 등록 신청을 하였다. 9월 3일, 3명이 탈락하고 1차 예비경선 후보자 12명이 결정되었다. 이후 9월 5일에는 당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후보 선출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1차 예비 경선은 오는 9월 15일, 2차 예비경선은 오는 10월 8일에 치러진다. 이후의 본 경선(11월 5일 이전)을 통해 국민의힘 대통령 선거 후보자를 결정한다.


== 경과 ==
== 경과 ==

2021년 9월 8일 (수) 17:49 판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후보 경선


← 2017년
2021년 11월 5일 이전
2026년 →

 

 

선거전 대통령 후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통령 후보 당선자

TBD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은 2022년 3월 9일에 실시될 예정인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입후보할 국민의힘의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이다.

경과

2021년 7월 5일, 국민의힘은 대통령선거 경선준비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친박계 중진 의원인 서병수 의원이 경선준비위원장을 맡았는데, 이에 대해 이준석 대표는 "201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새누리당 사무총장으로 대선 준비 실무를 맡아 훌륭한 성과를 보였기 때문에 서병수가 하는 것이 옳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인선 배경을 설명하였다.[1]

7월 18일, 경준위는 추석 전까지 두 차례 컷오프를 위한 예비경선을 치러 본 경선 진출자 4명을 확정하겠다고 밝혔다.[2]

7월 20일, 서병수 경준위원장은 추석 전 컷오프를 위하여 9월 15일에 1차 예비경선을 실시한다는 일정을 공개하였다.[3]

7월 27일, 경준위는 1차 예비경선의 경우 국민 여론조사를 100% 반영하기로 결정했다.[4]

8월 10일, 경준위는 2차 예비경선의 경우 국민 여론조사를 70%, 선거인단 여론조사를 30% 반영하기로 결정했다.[5]

8월 17일, 경준위는 8월 18일과 8월 25일로 예정되어있던 대권 주자 토론회를 취소하고 대신 8월 25일에 비전발표회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6] 앞서 경준위가 토론회 개최를 발표하자 윤석열 캠프 등은 선거관리위원회도 구성되지 않았고, 경선 후보 등록도 실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론을 할 수는 없다며 반발한 바 있었다. 이 때 이준석 대표가 토론회 개최를 지지하며 윤석열 캠프 등과 신경전을 벌이기도 하였다.

8월 20일, 서병수 경준위원장이 위원장 직에서 사퇴했다.[7] 서병수 위원장은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해서 의심을 받는 것에 대해 경선준비위원장으로서 상당히 자괴감을 느낀다"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8월 23일, 선거관리위원장에 정홍원국무총리를 내정했다.[8] 이준석 대표는 "원로들의 의견을 수렴했다"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정홍원이 선관위원장을 맡아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8월 30일, 예비경선 후보 등록을 시작해서 8월 31일 후보 등록을 마쳤다.[9] 예비경선 후보자로는 강성현 2021년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예비후보자, 박진 의원, 박찬주육군제2작전사령부 사령관, 안상수 전 의원, 오성균 전 나주 효사랑 요양병원 진료원장, 오승철 정치리더십연구회 회장, 원희룡제주특별자치도지사, 유승민 전 의원, 윤석열검찰총장, 장기표 국민의힘 김해시 을 당협위원장, 장성민 전 의원, 최재형감사원장, 하태경 의원, 홍준표 의원, 황교안미래통합당 대표[10]가 등록하였다. 다만 강성현, 오성균, 오승철 3인은 선관위 심사 결과 후보 자격을 박탈 당했다.

9월 5일, 정홍원 선관위원장이 사의를 표명했으나 이준석 대표의 만류로 철회하였다.[11] 또한 국민의힘 선관위는 경선 여론조사 역선택 방지 도입을 하지 않기로 하였다. 앞서 윤석열, 최재형 등은 경선 여론조사에 국민의힘 지지층이 아닌 시민들이 참여해 일부러 경쟁력이 없는 후보에게 표를 몰아줄 우려가 있다며 여론조사 실시 시 응답자에게 정권교체 지지 여부를 묻는 역선택 방지 도입을 촉구하였다. 이에 홍준표, 유승민 등은 국민의힘 지지층이 아닌 시민들의 의견까지 수렴하는 것이 옳다며 반대하고, 국민의힘 선관위는 역선택 방지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모습을 보며 당내 갈등이 빚어졌었다. 결국 국민의힘 선관위는 본경선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에게 국민의힘 지지 여부나 정권교체 지지 여부를 묻는 질문을 포함시키진 않되 대신 가장 본선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되는 후보를 묻는 질문을 포함시키기로 하였다. 또한 1차 컷오프를 100% 일반 국민 여론조사가 아니라 80%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 당원 투표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후보자

  • 기호가 배정될 때까지 순서는 이름 가나다 순으로 함.
  • 경력은 차관급 이상의 공직 혹은 당 대표직만 기재함.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선거 경선 후보
후보 생년 경력 비고
박진 1956년 제16·17·18·21대 국회의원
박찬주 1958년 제43대 육군제2작전사령부 사령관
안상수 1946년 제11·12대 인천광역시장
제15·19·20대 국회의원
원희룡 1964년 제37·38대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제16·18대 국회의원
유승민 1958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
바른정당 대표
제17·18·19·20대 국회의원
윤석열 1960년 제43대 대검찰청 검찰총장
제59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장기표 1945년 녹색통일당 대표
前 녹색사회민주당 대표
前 한국사회민주당 대표
장성민 1963년 국민대통합당 대표
제16대 국회의원
최재형 1956년 제24대 감사원장
제26대 사법연수원장
하태경 1968년 새로운보수당 책임대표
제19·20·21대 국회의원
홍준표 1953년 자유한국당 대표
제35·36대 경상남도지사
한나라당 대표최고위원
제15·16·17·18·21대 국회의원
황교안 1957년 미래통합당 대표
자유한국당 대표
제44대 국무총리
제63대 법무부 장관

일정

  • 8월 25일: 예비경선 후보군 비전발표회 실시
  • 8월 30일~8월 31일: 1차 예비경선 후보자 등록
  • 9월 15일: 1차 예비경선 실시, 2차 예비경선 후보자 발표
  • 10월 8일: 2차 예비경선 실시, 본경선 후보자 발표
  • 11월 5일 이전: 본경선 실시, 최종 후보자 발표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