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질병관리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질병관리본부
疾病管理本部
설립일
  • 1945년 모범 보건소, 조선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설립
  • 1966년 국립보건연구원으로 개칭
  • 2004년 질병관리본부로 확대 개편
전신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생명2로 187
상급기관 보건복지부
웹사이트 http://www.cdc.go.kr

질병관리본부(疾病管理本部, 영어: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질본)는 국가 전염병의 연구와 관리, 생명과학 연구, 교육 등을 수행하는 보건복지부 소속의 연구기관으로, 옛 이름인 국립보건원(보건원)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그 기원은 1912년 조선총독부 경무국 위생과에 설치된 세균실과 1935년에 설립된 보건원 양성소에서 찾을 수 있다. 전염성 및 비전염성 각종 질환의 관리, 보건복지 요원의 교육 및 훈련 등을 담당하고 있으며, 본부장은 고위고무원 가급(1급 상당)이다.[1] 과거에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2009년 8월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가 확정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2로 187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으로 2010년 11월 이전하였다.[2]

연혁

  • 1945년 9월, 광복 후 정부보건과학기관이 조선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로 명칭 변경
  • 1946년 10월, 모범보건소(중앙보건원)으로 명칭 변경
  • 1954년 1월, 중앙생약시험장 신설
  • 1963년 12월, 국립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국립보건원, 국립생약시험소가 '국립보건원'으로 통합
  • 1977년, 방사선표준부 및 마산분원 신설
  • 1981년, 후천성면역결핍증과 신설
  • 1987년, 국립보건안전 연구원 신설
  • 1989년, 생물공학과, 식품화학과, 수질검사과 신설
  • 1996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청 분리, 특수질환부(현 생명의학부) 신설
  • 1998년 12월, 국립사회복지연구원을 국립보건원 훈련부(현 보건복지연수부)에 통합
  • 1999년 5월, 감염질환부 신설 (현 전염병관리부)
  • 2000년 11월, 중앙유전체연구센터 발족 (현 유전체연구소)
  • 2001년 3월, 전염병관리부내 전염병정보관리과 신설, 마산분원 폐지
  • 2004년 1월, 질병조사감시부 신설, '국립보건원'을 '질병관리본부'로 확대개편, 산하에 국립보건연구원과 지방 13개 검역소를 둠
  • 2005년, 질병관리본부 6개 센터(전염병대응센터, 질병예방센터, 감염병센터, 면역병리센터, 생명의과학센터, 유전체센터), 32개 팀으로 개편
  • 2007년, 공중보건위기대응팀 신설, 6개 센터, 33개 팀으로 개편
  • 2009년 5월 2일, 신종인플루엔자 A(H1N1) 모니터링 센터 가동(총 40명, 전산요원 10명 포함, 2교대 근무)[3]

소속 기관

질병관리본부의 소속기관은 1연구원 7센터 14검역소이다.

역대 본부장

역대 질병관리본부장
제1대 김문식 2004년 1월 19일 ~ 2004년 3월 12일
제2대 오대규 2004년 3월 17일 ~ 2007년 4월 9일
제3대 이종구 2007년 4월 10일 ~ 2011년 5월 31일
제4대 전병율 2011년 6월 1일 ~ 2013년 6월 3일
제5대 양병국 2013년 9월 30일 ~ 현재

같이 보기

주석

  1. 질병관리본부장 전병율 씨 국립재활원장 방문석 씨《동아일보》2011년 6월 2일
  2. “식약청 등 다음달부터 오송 이전 시작”. 한국정책방송. 
  3. “질병관리본부, 신종인플루엔자 모니터링 센터 가동”. 911TV. 2009년 8월 21일에 확인함.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