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중 국제공항
보이기
타이중 국제공항 Taichung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RMQ - ICAO: RCMQ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간 | |||||
시간기준 | UTC+8 | |||||
운영기관 | 대만 교통부 민용항공국 | |||||
지역 | 타이중시 | |||||
위치 | ![]() | |||||
해발고도 | 202 m / 663 ft | |||||
좌표 | 북위 24° 15′ 52″ 동경 120° 37′ 14″ / 북위 24.26444° 동경 120.62056°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8/36 | 3658 | 45 | YES | 콘크리트 | ||
World Aero Data |
타이중 국제공항(중국어 정체자: 臺中國際機場, 영어: Taichung International Airport, IATA: RMQ, ICAO: RCMQ)은 대만 타이중시 사루구에 위치한 국제선 및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통칭은 중부국제공항(中部國際機場)이며 1954년 현재의 위치에 군민 공용의 비행장으로서 개설된 이후 2004년까지 대만 공군만 사용했다.
역사
[편집]타이중 공항의 전신은 일본 통치 시대에 설치된 공관 공항으로 1954년 미화 행동 방위 협정에 따라 확충되어 1966년 3월 20일에 칭취안강 공군기지(清泉崗空軍基地)라고 명명한 뒤 코드를 CCK로 결정했고 당시 극동지역 최대의 공군 기지로서 B-52 전략폭격기의 발착이 가능한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당시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국 공군의 B-52 전략폭격기가 칭취안강 공항에 배치되어 베트남을 공격하기 위한 중계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그 후 2003년 9월 4일 타이중 공항의 건설이 시작되었고 2004년 3월 5일에 군민 공용 공항으로서 타이중 시 중심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옛 수이난 공항(水湳空港)의 모든 국내선이 칭취안강 공항으로 옮겨진 뒤 명칭도 타이중 공항으로 개칭되었으며 옛 수이난 공항은 공용 정지되었다.
운항 노선
[편집]국제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 | 마카오, 서울(인천) |
![]() | 호치민 |
![]() | 다낭, 마카오, 서울(인천) |
![]() | 서울(인천)[1] |
![]() | 서울(인천), 부산 |
![]() | 난징 |
![]() | 홍콩(첵랍콕) |
국내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 | 진먼 |
![]() | 마궁, 진먼 |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 “KOREAN AIR NW23 REGIONAL NETWORK EXPANSION – 10NOV23”. 2023년 11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