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 쑹산 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타이베이 쑹산 공항
Taipei Songshan Airport


타이베이 쑹산 공항의 전경

IATA: TSA - ICAO: RCSS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8
운영기관 중화민국 교통부 민용항공국
지역 타이베이시
위치 중화민국 중화민국 타이베이시 쑹산구
해발고도 5 m / 18 ft
좌표 북위 25° 4′ 10″ 동경 121° 33′ 6″ / 북위 25.06944° 동경 121.55167°  / 25.06944; 121.55167
웹사이트 http://www.tsa.gov.tw/
지도
TSA은(는) 타이완 안에 위치해 있다
TSA
TSA
TSA(타이완)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10/28 2605 60 YES 아스팔트
World Aero Data

타이베이 쑹산 공항(중국어 정체자: 臺北松山機場, 영어: Taipei Songshan Airport, IATA: TSAICAO: RCSS)은 중화민국타이베이시 쑹산구에 있는 공항이다.

개요[편집]

일본 통치 시대에 쑹산 비행장으로 건설되었고 1945년일본타이완 통치 종료와 함께 중화민국에 반환된 후 중화민국의 항공 노선의 중심적인 공항이 되었다. 당시의 국제선 중에서 일본선은 주요한 지위를 차지해 하네다 국제공항, 오사카 국제공항, 후쿠오카 공항을 연결하는 노선이 있었지만 1979년 2월에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이 개항한 후 국내선 전용이 되었다. 하지만 타이완 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이용객이 줄어들자 2008년에 다시 국제선 정기 전세편이 운항했고, 2009년 국제선 정기편을 다시 신설하면서 현재는 일본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을 연결하는 국제선이 운항하고 있다.

교통 및 통계[편집]

2018년 쑹산 공항은 62,5932명의 승객과 4,7132.9t의 화물을 처리했다. 타이베이 (쑹산)과 킨멘 사이의 노선은 2018년 126,7630명의 여행객으로 대만에서 가장 붐비는 국내선이다. 2018년에 가장 많은 승객이 탑승한 10개의 노선은 다음과 같다.

타이베이 (쑹산)간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2018년 기준)[1][2]
순위 공항 이용 승객 (2018년) 항공사
1 일본 도쿄 (하네다) 1,418,248 중화항공, 에바 항공, 전일본공수, 일본항공
2 중화민국 킨멘 1,267,630 만다린 항공, 유니 항공, 원동항공
3 중화민국 펑후 1,036,535 만다린 항공, 유니 항공, 원동항공
4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훙차오) 727,278 중화항공, 에바 항공, 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상하이 항공
5 중화민국 마츠 난간 252,172 유니 항공
6 중화민국 타이중 249,056 만다린 항공, 유니 항공
7 대한민국 서울 (김포) 242,363 중화항공, 에바 항공, 이스타항공, 티웨이 항공
8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푸둥) 205,552 유니 항공, 상하이 항공
9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 162,734 만다린 항공, 원동항공, 샤먼 항공
10 중화인민공화국 샤먼 147,771 유니 항공, 샤먼 항공

쑹산 공군기지[편집]

대만 수도 타이베이의 공군기지로서, 대만 총통과 부총통에 대한 공군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0년 8월 29일, 일본 오키나와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미국 해군 EP-3E 정찰기가 쑹산 공군기지에 착륙했다. 다음날 30일 다시 이륙해 가데나로 복귀했다. 중국은 대만이 자신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2020년 6월 미 C-40A 수송기가 대만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해 통과한 것만으로도 중국은 "주권과 안전을 침해하고 국제법을 위반했다"고 반발하며 수호이-30 전투기를 출격시키는 등 긴박하게 대응했다.

연혁[편집]

운항 노선[편집]

국제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화민국 에바 항공 도쿄(하네다), 상하이(훙차오), 서울(김포), 톈진, 충칭
중화민국 중화항공 도쿄(하네다), 상하이(훙차오), 서울(김포)
대한민국 이스타항공 서울(김포)[3]
대한민국 티웨이항공 서울(김포)
일본 일본항공 도쿄(하네다)
일본 전일본공수 도쿄(하네다)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국제항공 상하이(훙차오), 톈진, 충칭
중화인민공화국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훙차오)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항공 상하이(푸둥), 상하이(훙차오)
중화인민공화국 샤먼 항공 샤먼, 푸저우
중화인민공화국 쓰촨 항공 청두, 충칭

국내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화민국 유니항공 난간, 베이간, 진먼, 타이둥, 핑둥, 헝춘
중화민국 만다린 항공 가오슝, 마궁, 진먼, 타이둥

교통 수단[편집]

첩운[편집]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쑹산공항역(BR13)에서 도보 1분이다. 2009년 7월 4일에 타이베이 첩운 네이후 선이 연장되어, 본공항 지하에 개업했다.

버스[편집]

타이베이 시내 각지에 노선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그 외에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지룽, 중리 등에 고속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택시[편집]

터미널 도착 로비에 택시 승강장이 있고 택시가 대기하고 있다.타이베이시와 주자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난항에 접속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台北松山機場國際及兩岸定期航線班機載客率-按航線分” (PDF). 2019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7일에 확인함. 
  2. “台北松山機場國內航線班機載客率及市場占有率-按航線分” (PDF). 2019년 1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27일에 확인함. 
  3. “이스타항공, 9월 3년반만에 국제선 운항 재개…김포∼대만 노선(종합)”. 2023년 6월 30일.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