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창
보이기
최경창(崔慶昌, 1539년 ~ 1583년[1])은 조선의 문신이자 시인이다. 자는 가운, 호는 고죽, 본관은 해주이며, 사후 이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최규서(崔奎瑞)는 그의 현손이며,[2] 이민서는 그의 생손(甥孫)이며,[3] 이덕수(李德壽)는 현손녀사위[玄孫壻]이다.[4]
생애
[편집]1568년(선조 원년)에 문과에 급제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582년(선조 15년) 종성 부사를 거쳐 1583년(선조 16년) 방어사의 종사관에 임명되어 서울로 올라오던 도중 죽었다.[1]
일화
[편집]기생 출신의 첩 홍랑[5]과 시문을 교유한 일화[6]가 유명하다. 시를 잘 지었으며 피리도 잘 불었다. 어려서 영암 바닷가에 살 때 해적의 무리에게 포위되자 퉁소를 구슬프게 불었는데, 그 연주법이 너무 뛰어나 해적들은 신이 부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모두 흩어져 돌아갔다.[1]
조선 중기 팔문장계
[편집]문장에 뛰어나 이이, 송익필, 이달, 최립, 백광훈, 이산해, 하응림 등과 함께 팔문장계로 불렸다.[1]
저서
[편집]- 《고죽유고》
- 한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한시 〈기성진상좌승〉(寄性眞上座僧)
전기 자료
[편집]- 박세채, 《남계집》 권12, 고죽시집 후서[7]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박세채, 《남계집》 권12, 고죽시집 후서
- ↑ 심육, 《저촌유고》 권45, 영의정 간재 최 공 묘표
- ↑ 이민서, 《서하집》 권12, 최경창의 고죽집 발문[崔孤竹集跋]
- ↑ 이덕수, 《서당사재》 권9, 망처 해주 최씨 묘지명; 박세당, 《서계집》 권14, 유인 해주 최씨 묘표
- ↑ 《선조실록》 권10, 선조 9년(1576년) 5월 2일(갑오) 2번째 기사; 권13, 선조 12년(1579년) 6월 8일(임오) 2번째 기사 참조. 여기에서는 기생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는다.
- ↑ 남학명, 《회은집》 권5, 잡설, 사한(詞翰), 崔孤竹贈洪娘詩序曰萬曆癸酉秋。~ 後人何以知咸關舊時曲之有謂耶。聊記之。 내용 참조. 여기에는 홍랑과의 사이에서 아들 하나를 낳았다(有一子)고 기록되어 있다.
- ↑ 전기자료의 형식이 전(傳)이나 묘도문자(묘지명, 묘표, 묘갈명 등)가 아니라 후서(後序)이다.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