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매
![]() | ||||||||||||||||
![]() 참매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stur gentilis | ||||||||||||||||
![]() 참매의 분포 지역 | ||||||||||||||||
이명 | ||||||||||||||||
Accipiter gentilis[2]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
참매 | |
천연기념물 제323-1호 | |
지정일 | 1982년 11월 16일 |
소재지 | 전국 일원 |
참매(northern goshawk)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는 수리목 수리과의 수리매의 일종이다.[3] 몸 길이는 약 50-56cm이며 무게는 수컷이 보통 800g, 암컷이 1kg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며, 배에는 회갈색 줄무늬가 빽빽히 나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조로 지정되어 있다.
어원[편집]
‘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매’([maj])로 표기하고 있다. ‘보라매’라는 말은 중세 몽골 문어로 ‘어린 사냥매’를 뜻하는 단어 boro에서 왔다.
생태[편집]
살아가기[편집]
산림에 단독 또는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암컷은 2-4개의 알을 낳는데, 알은 엷은 청색 또는 엷은 푸른 잿빛이 난다.
서식[편집]
한국·일본·유럽·북아메리카·시베리아·중국 동북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수리과의 다른 새들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사냥[편집]
송골매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냥한다. 주로 매복 사냥을 선호하는데, 주 먹이는 비둘기, 꿩, 오리 등 작은 조류와 토끼, 청설모 같은 소형 포유류도 사냥한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Accipiter gentil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695683A93522852. https://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22695683A93522852.en. Downloaded on 08 November 2021.
- ↑ 국립생물자원관. “참매”.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대한민국 환경부.
- ↑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7.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개정)》.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