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다리
![]() | ||||||||||||||
![]()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lauda arvensis |
종다리(영어: Eurasian skylark)는 종다리과에 속하는 새로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다. 학명은 Alauda arvensis이다. 이전 명칭은 노고지리이며 종달새라 불리기도 한다. 고천자, 규천자, 운작, 종지조라고도 한다.
개요[편집]
한국에서 흔히 번식하는 텃새이다. 몸길이는 18cm정도이며, 대체로 갈색을 띄며 무늬가 있다. 날개를 펼치면 끝부분에 흰색이 보이며 뒷발톱이 길다. 종다리는 흥분하면 머리깃을 세운다.
서식[편집]
서식지는 농경지(논, 밭 등), 풀밭 등이며, 겨울철엔 무리를 지어다닌다. 둥지는 땅위에 지어 알은 한번에 3~6개를 낳고 알의 색은 회백색 바탕에 어두운색 반점이 있으며, 암수가 교대로 11일정도 품는다.
먹이[편집]
분포[편집]
여름철에 만주, 연해주, 사할린, 시베리아 등 냉대, 아한대지역에서 번식하는 개체들은 겨울철에 한국, 중국, 일본 등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이 지역에서는 텃새로 생활하는 새도 있다.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