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이마직박구리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조류 |
목: | 참새목 |
과: | 직박구리과 |
속: | 직박구리속 |
종: | 검은이마직박구리 |
학명 | |
'Pycnonotus sinensis' | |
[출처 필요] | |
보전상태 | |
생김새[편집]
특별한 특징은 목덜미와 검은색 머리의 측면을 덮는 큰 흰색 반점이다. 검은이마직박구리는 눈 뒤쪽에서 이마 뒤쪽으로 흰색 무늬가 있다. 몸 윗면은 연두색이고, 몸 아랫면은 회백색이다.
서식[편집]
숲 가장자리,공원,마을에 서식한다. 중국과 베트남 북부, 타이완 ,일본, 한국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2002년 10월 어청도에서 처음 발견된 길잃은새였지만, 이후 우리나라에서 번식하여[1]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점점 개체수가 증가하여 텃새로 자리잡았다.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전남 신안서 발견된 아열대 조류 검은이마직박구리”. 2022년 7월 17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