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귀광대버섯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귀광대버섯

생물 분류ℹ️
계: 균계
문: 담자균문
아문: 담자균아문
강: 담자균강
목: 주름버섯목
과: 광대버섯과
속: 광대버섯속
종: 마귀광대버섯
학명
Amanita pantherina
크롬볼츠(1846년)

마귀광대버섯(false blusher, panther amanita or panther cap)은 광대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이다.[1] 환각을 유발하는 독성이 있으며 중독되어 기억상실을 겪은 사례가 있다.[2]

생김새[편집]

  • : 5–18 cm로 넓게 펼쳐진다.[3] 볼록한 윗면은 갈색의 반구형으로 흰 점이 나있고 평평한 아랫쪽은 크림 빛이 도는 흰색이다. 축축하고 쉽게 떨어져 나간다.
  • 주름살: 갓 밑으로 조밀하게 발달해 있으며 희무끄래 한 색을 띈다.[3]
  • 포자: 길쭉한 타원형으로 이보텐산을 포함하고 있다.[3] 크기는 8–14 x 6–10 µm 정도이다.[4]
  • 자루: 길이 5–15 cm, 폭 3-6 cm 정도로[3] 원통형이다. 아랫쪽이 두텁고 위로 갈수록 얇으며 흰색을 띄나 자라면서 황갈색 빛을 낸다.
  • 냄새: 날감자 비슷한 퀴퀴한 냄새가 난다.

서식[편집]

마귀광대버섯은 특히 너도밤나무속 등이 우거진 활엽수 숲에 드문드문 자란다.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걸쳐 생장하며[5] 서아시아와 유럽이 자생지이나 목재의 운반과정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어 남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되고 있다.[6]

균근이 나무에 침착하여 기생한다.

독성[편집]

마귀광대버섯의 독성 물질은 이보텐산무스카린이다.[7] 둘 다 향정신성 물질로 환각과 감정 이상을 일으킨다. 광대버섯이라는 이름 역시 이 독성물질의 작용 때문에 붙은 것이다. 쥐를 이용한 무스카린의 독성 실험에서 반수치사량은 0.23 mg/kg으로 독성이 크지는 않아 러시아에서는 보드카와 함께 곁들여 먹는 경우도 있다. 무스카린의 중독 증상으로 땀과 침이 많이 흐르고 일시적인 시력저하가 나타나며 복통, 공동수축, 혈압저하 등이 일어난다.[8]

마귀광대버섯을 비롯한 광대버섯류를 판매하는 것은 여러 나라에서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9][10]

기후변화 지표종[편집]

마귀광대버섯은 대한민국 환경부가 지정한 기후변화 지표종이다.[11]

각주[편집]

  1. 마귀광대버섯, 국립생물자원관
  2. 한정호 외, 〈기억상실을 유발한 마귀광대버섯 중독 1례〉, 《대한응급의학회지》, 제15권 제6호, 2004년
  3. Davis, R. Michael; Sommer, Robert; Menge, John A. (2012). 《Field Guide to Mushrooms of Western North Americ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쪽. ISBN 978-0-520-95360-4. OCLC 797915861. 
  4. Kuo, M. (2005, March). Amanita pantherina. Retrieved from the MushroomExpert.Com Web site: http://www.mushroomexpert.com/amanita_pantherina.html
  5. Jordan P & Wheeler S (2001). 《The Ultimate Mushroom Book》. Hermes House. 
  6. Asef M.R. (2020). 《Field guide of Mushrooms of Iran》. Tehran: Iran-Shanasi Press. 360쪽. ISBN 9786008351429. 
  7. Barceloux D. G. (2008). 〈41 (Isoxazole-containing mushrooms and pantherina syndrome)〉 (PDF). 《Medical toxicology of natural substances: foods, fungi, medicinal herbs, plants, and venomous animals》. Canada: John Wiley and Sons Inc. 298쪽. ISBN 978-0-471-72761-3. 
  8. 조재현 외, 〈버섯의 유독물질〉, 《한국산림과학회지》, 제26권 제1호, 2010년
  9. Openbaar Ministerie (12-01-2008). Paddoverbod van kracht 보관됨 2012-09-05 - archive.today. Retrieved 5 May 2016.
  10. 생버섯, 함부로 먹으면 생명이 위험, 산림청, 2020년 9월 24일
  11.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국립생물자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