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냉대 기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냉대에서 넘어옴)

캐나다의 냉대 기후 지역의 침엽수림

냉대 기후(冷帶氣候) 또는 아한대 기후(亞寒帶氣候)는 중위도 지역 북부와 고위도 지역에서 발달하는 쾨펜의 기후구분의 기후대 중 하나이다. 기호는 D로 저위도부터 4번째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플론의 기후구분에서는 냉대(기호:6)와 아한대(기호:6a)는 구별된다. 플론의 기후구분의 경우, 냉대(6)는 쾨펜의 기후구분의 툰드라 기후(ET)에 상응하며, 아한대(6a)는 쾨펜의 기후구분의 아한대·냉대와 일치한다.[1]

정의

[편집]
  • 최한월의 평균 기온이 -3℃ 미만일 것(겨울철 내린 눈이 봄까지 녹지 않을 것).
  • 최난월의 평균 기온이 10℃ 이상일 것(수목이 자랄 수 있을 것).
  • 연평균 강수량이 건조 한계 이상일 것.

기후구

[편집]

쾨펜

[편집]

'쾨펜의 기후구분'도 참조 쾨펜은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 따라 3개의 기후로 구분하고, 여름 기온에 따라 각각 4가지로 분류하였다.

f는 습윤(feucht), w는 겨울에 건조(wintertrocken), s는 여름에 건조(sommertrocken)의 독일어 약자이다.

트러타

[편집]

트러타(Trewartha)는 쾨펜이 하위 구분으로 사용한 여름 기온에 따라 4개 기후구로 나누었다.

겨울이 길고 춥지만, 사계절의 변화를 보이고 식물의 생육기간이 길어서 농목업이 가능한 혼합림형(Da,Db)과 짧은 여름과 혼합림형보다 더 길고 추위가 심한 겨울로 인해 토양이 메말라 농업에 적합하지 않은 침엽수림형(Dc,Dd)로 구분된다.

특징

[편집]

온대 기후에 비해 겨울이 상대적으로 더 춥고 혹독하다. 온대 기후에서는 아무리 추워도 영하로 거의 내려가지 않지만, 냉대기후는 겨울에 영하로 내려간다. 그렇기 때문에 눈이 내리고 얼음이 언다.

온도를 기준으로 보면 최한월 영하 3c° 이하 영하 35c° 이상의 기후대를 의미한다. 대신 최난월 기후는 영상 10c° 이상으로 올라가, 여름에는 상당히 더운 경우가 있다. 한대 기후와는 달리 특정 시기에만 혹한이 찾아온다.

수림(樹林) 기후 중에서는 한란(寒暖)의 차이가 가장 큰 기후이다.(연교차가 크다.) 시베리아 동부 내륙 지역 등에서는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빙설 기후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추위가 나타나는 때가 있어 세계적인 연교차를 이루고 있다.

수목의 생육 및 여름철 농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대기후에 비하면 많은 인간이 거주한다.

농업·임업·축산업과 같은 산업 외에 근대 이후 홋카이도, 유럽 동부나 미국캐나다국경 부근에는 고도의 산업 집적이 이루어져 많은 도시가 있다.

분포 지역

[편집]

몽골,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한반도 중부 및 북부, 일본 홋카이도, 러시아 대부분, 독일 동부부터 동유럽까지, 알프스산맥 주변, 캅카스산맥 주변,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국가들, 발트해 연안 국가들, 미국 북부에서 캐나다에 걸친 지역 등 주로 유라시아북아메리카의 대략 위도 40° 이상(대륙 서안에서는 50-60° 이상)의 고위도 지역이나 고고도 지역에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아이슬란드 남부나 일본 북부는 몇 안 되는 냉대에 속하는 섬나라다('섬'이라면 캐나다 동쪽 끝의 케이프 브레턴섬이나 뉴펀들랜드섬도 이 기후대에 속한다). 남반구에서는 이 위도에 육지가 적고 남아메리카 남쪽 끝의 푸에고섬 등 몇 안 되는 육지에서는 연교차가 작은 해양성 기후가 되어 오히려 여름 기온에서, 즉 최한월 평균 기온이 영하 3℃ 미만이 되지 않고 최난월 평균 기온이 10℃ 이상이냐 미만이냐에 따라 온대인지 한대인지 구분되기 때문에 육상에 냉대가 나타나는 것은 북반구뿐이다.

식생과 토양

[편집]
  • 트러타에 의한 세분에 따라 냉대 지역의 식생과 토양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습윤 대륙성 기후(Da, Db)에 속하는 지역(주로 남부)에서는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혼합림이 펼쳐져 비옥한 갈색 삼림토가 분포하고 있다.
  • 아한대 기후(Dc, Dd)에 속하는 지역(주로 북부)에서는 타이가라는 침엽수 단순림(단일 수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삼림)이 형성되어 한랭한 기후 때문에 유기물 분해가 진행되지 않고 용탈작용에 의해 산성포졸이라는 척박한 회백색 흙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하에는 일 년 내내 얼어 있는 영구동토가 펼쳐진다. 지구 온난화의 진행과 함께 영구 동토가 녹아 갇혀 있던 유기물이 분해되어 강력한 온실 효과 물질인 메탄이 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악순환이 형성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요 농작물

[편집]

, 호밀, 감자 등.

땅이 메말라 곡물 생산 등 농작물 재배에 적합하지 않거나 월평균 기온이 10℃ 이상인 상태가 3개월 이하(Dc, Dd 기후) 지속되는 지역에서는 방목낙농이 이뤄진다. 지역에 따라서는 서늘한 기후에 강한 감자·호밀·메밀 등이 재배되기도 한다. 홋카이도와 중국 동북부 등 비교적 저위도에서 여름철 따뜻하고 습윤한 지역에서는 벼농사도 이루어지고 있다.

낙농은 주로 큰 소비 지역과 가까운 지역, 방목은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矢澤 1989, 306–7쪽

참고 문헌

[편집]
  • 矢澤, 大二 (1989년 11월 20일). 《『気候地域論考―その思潮と展開―』》. 古今書院. ISBN 4-7722-1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