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제1군단 (대한민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khwong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6일 (월) 13:36 판
제1군단
파일:ROK I Corp.gif
활동 기간1950년 7월 5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종류전술 지휘 부대
역할경기도 서부전선 방어
규모군단
명령 체계3야전군
본부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
별칭광개토부대
          파랑, 하양, 밝은 초록
마스코트광개토태왕
참전한국 전쟁
지휘관
50대 군단장김용우 중장
(육사 39기)

제1군단 "광개토부대"(第一軍團, 영어: ROK I Corps)는 고구려 19대 왕인 광개토왕의 시호를 별명으로 쓰는 대한민국 육군군단이다. 경기도 고양시에 본부를 두고 예하 부대로 4개 상비사단과 1개 동원사단을 두고 있는, 군단급 부대로서는 규모가 세계에서 가장 큰 부대이다.[1] 경례구호는 충성이다.

1군단은 한국 방어 계획상 제1 중요 접근로인 1번 국도, 즉 통일로를 중심으로 한국군의 방어 주력(병력·화력·장비·감시체제·방공시설 지휘 및 통신시설, 진지 편성 장애물 등)을 집중 투입한 지역을 담당한다.

역사

한국 전쟁

한국 전쟁이 발발한지 3일째 되는 날, 조선인민군의 공세에 밀려 한강 이남으로 철수한 육군 본부는 1950년 6월 28일, 수도를 지키기 위해 한강 방어선을 구축할 목적으로 경기도 시흥군 동면 독산리(지금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에서 임시로 시흥지구 전투 사령부(始興地區戰鬪司令部)를 창설하였다. 사령관으로 취임한 김홍일 소장수도사단, 2 사단, 7 사단을 지휘하여 7월 4일까지 조선인민군의 진격을 지연시켰다. 다음날, 시흥지구 전투 사령부는 경기도 평택에서 구두명령에 의한 육군 1차 개편계획에 따라 1 군단으로 개편되고, 김홍일 소장이 초대 군단장으로 취임하였다.[2] 예속된 부대는 7사단에서 1 사단으로 교체되어 수도사단, 1 사단, 2 사단이었다.[3]

1951년 10월 1일, 3 사단을 이끌고 동부 해안을 따라 진격하였으며, 10월 10일 원산에 주둔하고 있던 조선인민군의 12 사단 예하 2개 경비여단과 맞닥뜨렸다. 1 군단은 미국 7 함대 예하 77 임무대의 함포 지원을 받아, 원산에 상륙할 예정이었던 미국 10 군단을 대신하여 2개 경비여단을 격퇴하고 원산을 점령하였다. 직후, 3 사단을 원주에 주둔시키고 수도사단을 이끌고 계속 북쪽으로 진격하여 10월 17일에는 함흥흥남을 점령하였다. 12월 24일, 흥남에서 철수하였다.[4]

휴전 이후

1953년 12월 15일 1야전군에 배속되었다. 1973년 7월 1일 3야전군으로 5군단, 6군단과 함께 재배속되었다.

조직

역대 지휘관

  • 제1대 김홍일 소장 - 1950년 7월 5일 ~ 1950년 9월 ??일
  • 제2대 김백일 소장 - 1950년 9월 ??일 ~ 1951년 3월 28일
  • 제3대 백선엽 소장 - 1951년 4월 12일 ~
  • 제?대 최석 소장 - 1960년 4월 ??일 ~
  • 제?대 임부택 소장 - 1960년 10월 ??일 ~ 1962년 3월 ??일
  • 제21대 최우근 중장 (육사 3기)
  • 제22대 박희동 중장 (육사 3기)
  • 제23대 양봉직 중장 (육사 6기)
  • 제24대 이희성 중장 (육사 8기)
  • 제25대 황영시 중장 (육사 10기)
  • 제26대 김윤호 중장 (육사 10기)
  • 제27대 이기백 중장 (육사 11기)
  • 제28대 백운택 중장 (육사 11기)
  • 제29대 박희도 중장 (육사 12기)
  • 제30대 최세창 중장 (육사 13기)
  • 제31대 류승국 중장 (육사 13기)
  • 제32대 문영일 중장 (육사 14기)
  • 제33대 이필섭 중장 (육사 16기)
  • 제35대 김상준 중장 (육사 19기)
  • 제36대 조성태 중장 (육사 20기)
  • 제37대 김척 중장 (육사21기)
  • 제38대 박영익 중장 (육사 23기)
  • 제39대 강신육 중장 (육사 24기)
  • 제40대 정중민 중장 (육사 25기)
  • 제41대 오현구 중장 (육사 26기)
  • 제43대 임충빈 중장 (육사 29기)
  • 제44대 장광일 중장 (육사 31기) - 2006년 12월 5일 ~ 2008년 4월 3일
  • 제45대 황중선 중장 (육사 32기) - 2008년 4월 3일 ~ 2009년 11월 9일
  • 제46대 권오성 중장 (육사 34기) - 2009년 11월 9일 ~ 2010년 12월 ??일
  • 제47대 최종일 중장 (육사 34기) - 2010년 12월 ??일 ~ 2012년 5월 3일
  • 제48대 모종화 중장 (육사 36기) - 2012년 5월 3일 ~ 2013년 10월 31일
  • 제49대 엄기학 중장 (육사 37기) - 2013년 10월 31일 ~ 2015년 4월 13일
  • 제50대 김용우 중장 (육사 39기) - 2015년 4월 13일 ~

참고

  1. 강병철. “육군 1군단, 역대 군단장 초청 행사”. 연합뉴스. 2014년 11월 22일에 확인함. 
  2. “시흥지구전투사령부”. 국가보훈처. 2012년 7월 7일에 확인함. 
  3. “한국군 1군단 창설”. 대한민국 육군. 2011년 10월 24일에 확인함. 
  4. 이인준 (2010년 7월 8일). “(6·25 60주년) 기억해야 할 전쟁사(18) '흥남철수작전'. 뉴시스. 2012년 7월 7일에 확인함. 
  5. 배정현. "2분내로 적기를 격추하는 게이머들입니다". 연합뉴스. 2012년 1월 8일에 확인함.